• 제목/요약/키워드: Fusarium solani f. sp. pisi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토양조건(土壤條件)에 따른 수종(數種) 진균포자(眞菌胞子)의 발아(發芽) (Germination of Some Fungal Spores under Different Soil Conditions)

  • 심재욱;이민웅
    • 한국균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1-48
    • /
    • 1988
  • 경기도내(京畿道內) 12개 지역(地域)에서 채집(採集)된 102개 토양(土壤)을 대상으로 하여 토양(土壤)pH, 토양수분함량(土壤水分含量), 농작물(農作物)의 경작(耕作)등 토양(土壤)의 상태에 따라 Fusarium종(種)의 포자발아율(胞子發芽率)을 조사하고 포자발아(胞子發芽)에 대한 유발토양(誘發土壤)과 억제토양(抑制土壤)의 토양미생물(土壤微生物) 분포수(分布數)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Fusarium solani f. sp. pisi는 98개 토양에서 Fusarium oxysporum f. sp.cucumerium은 95개 토양에서 Fusarium oxysporum f. sp. raphani는 82개 토양에서 Fusarium coccophilum, Fusarium coccophilum은 83개 토양에서 각각 50% 미만의 포자발아율(胞子發芽率)를 나타내었다. 2. 토양pH를 4개 군(群)으로 나눈 후 조사하였을 때 Fusarium solani f. sp. pisi, Fusarium oxysporum f. sp. cucumerium은 pH 5.1-6.0의 21개 토양에서 Fusarium oxysporum f. sp. raphani는 pH4.1-5.0의 33개 토양에서 포자발아율(胞子發芽率)이 가장 높았다. 3. 토양수분함량을 5개 군(群)으로 나눈 후 조사하였을 때 Fusarium solani f. sp. pisi, Fusarium coccophilum, Fusarium oxysporum f. sp. cucumerium은 41-60%의 토양수분함량(土壤水分含量)을 지닌 4개 토양에서 Fusarium f. sp. raphani는 토양수분함량(土壤水分含量) 21-30%의 22개 토양에서 가장 높은 포자발아율(胞子發芽率)을 나타내었다. 4. 토양(土壤)pH와 포자발아(胞子發芽), 토양수분함량(土壤水分含量)과 포자발아(胞子發芽)에 대한 상관관계(相關關係)의 조사에 있어서 토양(土壤)pH와 포자발아율(胞子發芽率)에서는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없었고 Fusarium oxysporum f. sp. raphani에서만 토양수분함량(土壤水分含量)과 포자발아율(胞子發芽率)사이에 고도의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r=0.29)가 있었다. 5, 농작물(農作物) 경작지(耕作地) 토양(土壤)과 비경작지(非耕作地) 토양(土壤)에서 각Fusarium종(種)의 포자발아(胞子發芽)은 모두 고도의 통계적(統計的)인 유의성(有意性)이 있었으며 두 대조토양 사이에서는 오직 Fusarium solani f. sp. pisi만 통계적(統計的)인 유의성(有意性)이 인정되었다. 6. 포자발아(胞子發芽)에 대한 억제토양(抑制土壤)과 유발토양(誘發土壤)의 미생물분포수(微生物分布數)는 고선란(故線蘭), 세균(細菌), 곰팡이의 순서로 많았으며 억제토양(抑制土壤)이 유발토양(誘發土壤)보다 미생물분포수(微生物分布數)가 훨씬 높았으며 억제토양(抑制土壤)과 유발토양(誘發土壤)에서 미생물(微生物)의 분포수(分布數)는 유발토양(誘發土壤)의 세균분포수(細菌分布數)를 제외하고 모두통계적(統計的)인 유의성(有意性)이 인정되었다.

  • PDF

Mycological Characteristics of Fusarium solani f. sp. pisi Isolated from Pea, Ginseng and Soybean in Korea

  • Jung, Yong-Sung;Kim, Young-Tae;Yoo, Sung-Joon;Kim, Hong-Gi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5권1호
    • /
    • pp.44-47
    • /
    • 1999
  • Fungal isolates belong to Fusarium solani (perfect stage : Nectria haematococca) were isolated form pea, ginseng roots and soybean during 1995 and 1996 in Korea. Thirty-five isolates were identified as F. solani f. sp. pisi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ir pathogenicity. Microconidia formed on the long conidiophore were ovoid or oblong sizing 5~14 x 2.5~5.0 $\mu\textrm{m}$. Macroconidia were formed on carnation leaf agar media with 4.8~5.3 x 32.0~40.7 $\mu\textrm{m}$ in size. They belonged to $\beta$-type since their 3-septate macroconidia were smaller than $5\mu\textrm{m}$ in width. Chlamydospores were smooth- or rough- walled and formed in terminal or lateral branches of hyphae, intercalary, or in chains. Most isolates were highly virulent to pea seedlings, producing dark brown or rot lesion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f. solani f. sp. pisi being pathogenic to pea in Korea.

  • PDF

Leaching Model System에 의한 토양(土壤) 정균현상(靜菌現象)의 분석(分析) (Quantitative Evaluation of Leaching Model System for Soil Fungistasis)

  • 허현;홍인표;이민웅
    • 한국균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54-259
    • /
    • 1987
  • 4가지 균주의 포자를 4가지의 용액으로 Non-leaching과 Leaching하에서 배양하고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Non-leaching배양된 Fusarium solani f. sp. pisi의 경우 포자발아율은 pfeffer's solution에서 90%로 가장 낮았으며 Buffer solution에서 99%로 가장 높았다. Leaching배양의 경우 subsoil extract에서 51%로 포자발아가 억제되었고 pfeffer's solution에서 63%로 덜 억제되었다. Non-leaching배양한 Fusarium oxysporum f. sp. cucumerium의 경우 포자발아율은 증류수에서 31%로 가장 적게 억제되었고 Buffer solution에서 45%로 가장 많이 억제되었다. Leaching배양의 경우 Buffer solution에서 17.5%로 가장 억제되었고 증류수에서 25%로 덜 억제되었다. Non-leaching배양한 Helminthosporium sativa의 경우 증류수에서 86.1%로 발아가 낮았고 Buffer solution에서 98%로 높았다. Leaching배양의 경우 Buffer solution에서 47%로 발아가 억제되었고 증류수에서 80.4%로 덜 억제되었다. Non-leaching배양한 Mortierella n. sp.의 경우 발아율은 subsoil extract에서 38.5%로 낮았고 증류수에서 62.5%로 높았다. Leaching배양의 경우 발아율은 증류수에서 15%로 크게 억제되었고 pfeffer's solution에서 37.5%로 덜 억제되었다.

  • PDF

인삼근부병에 관한 연구 1 (On the Root Rot of Ginseng(I))

  • 김종희;이민웅
    • 미생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4-98
    • /
    • 1974
  •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April 1 to September 31, 1973. Ten strains of Fusarium spp. were isolated from the diseased ginseng in two local areas at Kangwha-Gun nad Kumsan-Gun in Korea. Among of them, 2 strains ($G_1$, $G_4$) did not have virulence to ginseng in reinoculation. Their cultur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and hose virulence to pea seedling were examined. Taxonomical identification of 8 isolates followed by the method of Wollenweber, Snyder nad Toussoun, Booth, Matuo and Snyder. All of eight strains were identified as the Fusarium solani f.sp.pisi(Jones) Synd. et Ha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