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gicide resistance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32초

Distribution of Monilinia fructicola Isolates Resistant to Dicarboximide or to both Procymidone and Carbendazim in Korea

  • Cha, Byeong-Jin;Lim, Tae-Heo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9권1호
    • /
    • pp.46-50
    • /
    • 2003
  • To evaluate the sensitivity of Monilinia fructicola to dicarboximides used in controlling brown rot of peach, the fungus was isolated from commercial peach orchards in Chochiwon (CH), Chongdo (CD), Gyeongsan (GY), and Youngduk (YO) in Korea. The population shift of dicarboximide-resistant isolates of M. fructicola was investigated for 3 years starting 1998. The frequency of procymidone-resistant isolates (PRI) was higher in CD and GY than in CH and YO. The frequency of PRI was higher in the mid season (July-August) than in the rest of the year. Cross-resistance rate of PRI to iprodione was over 87.8% during the investigation, and double-resistance to both procymidone and carbendazim was less than 10%. However, the rate of cross-resistant isolates to vinclozolin was low. In the orchards in GY and CH without any fungicide spray, the PRI population was persistent and did not vary for 3 years. The results suggest that dicarboximide resistance of M. fructicola could be a problem in controlling brown rot and blossom blight on peach trees because it may take a long time to recover the population with sensitive isolates even in the absence of these fungicides.

Resistance of Saccharomyces cerevisiae to Fungicide Chlorothalonil

  • Shin, Jae-Ho;Kim, Young-Mog;Park, Jong-Woo;Kim, Jang-Eok;Rhee, In-Koo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1권3호
    • /
    • pp.219-223
    • /
    • 2003
  • The toxicity of chlorothalonil on the growth of yeasts was investigated using several yeast strains. An alcohol tolerant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F38-1, was the most chlorothalonil-tolerant. The glutathione content and the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y were related to the chlorothalonil-tolerant phenotype. Several thiol compounds affect the dissipation of chlorothalonil.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effects of chlorothalonil dissipation among the thiol compounds tested. The growth of yeast cells was arrested by chlorothalonil. It took about 13 h to dissipate 1 mg/l of chlorothalonil, and the growth was restored as the chlorothalonil content decreased. The glutathione content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are suggested to be among the most important factors of yeast resistance to chlorothalonil.

Tolyfluanid에 대한 인삼 잿빛곰팡이병균의 감수성 (Sensitivity of Botrytis cinerea Isolated from Infected Leaves of Ginseng to Tolyfluanid)

  • 김주형;김가혜;김홍태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88-193
    • /
    • 2011
  • 2005년부터 2006년까지 인삼 재배지에서 분리한 218개의 Botrytis cinerea 균주의 tolyfluanid에 대한 감수성 정도를 조사하였다. Tolyfluanid를 농도별로 첨가한 PDA배지에서 B. cinerea의 균사생장 억제정도를 조사하여 살균제에 대한 B. cinerea 균주들의 감수성 정도를 3 group으로 구분하였다. 분리한 병원균은 감수성 정도에 따라서,$2.0\;{\mu}g\;mL^{-1}$이하인 균주들을 HS group으로, 2.0에서부터 $18.0\;{\mu}g\;mL^{-1}$ 사이에 속하는 균주들을 S group으로, 그리고 $18.0\;{\mu}g\;mL^{-1}$ 이상인 균주들을 LS group으로 구분하였다. 전체 균주 중에서 174개 균주가 S group에 속하였으며, 각각 22개 균주가 HS와 LS group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tolyfluanid의 B. cinerea에 대한 균사생장 억제와 포자발아 억제 효과는 높은 정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포장에서 분리한 B. cinerea의 tolyfluanid에 대한 저항성 모니터링의 기준과, 저항성 발현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Responses of Peach Blossom Blight and Brown Rot Fungus Monilinia fructicola to Benzimidazole and Diethofencarb in Korea

  • Lim, Tae-Heon;Kim, Jin-Ho;Cha, Byeong-Ji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2권1호
    • /
    • pp.1-6
    • /
    • 2006
  • The population shifts of Monilinia fructicola isolates which were resistant to the fungicide benzimidazoles were investigated in four regions of Korea from 1998 to 2000. The isolation frequency of benzimidazole-resistant isolates ranged from 18.8% to 29.6% in Chongdo and from $22.0\%$ to $26.8\%$ in Gyeongsan during the same period. However, the frequency of benzimidazoleresistant isolates was less than $4.0\%$ in Chochiwon and Youngduk during the same period. Benzimidazoleresistant isolates showed cross-resistance among benzimidazoles. On the other hand, none of the isolates showed cross-resistance to diethofencarb and carbendazim. Regardless of the year, the benzimidazole-resistant isolates of $EC_{50}$ higher than 500 $\mug%$ a.i./ml were isolated more frequently in mid and late season than in early season. In an orchard of Gyeongsan that had not been exposed to any fungicides for several years, the population of benzimidazole-resistant isolate had persisted without much fluctuation for three yea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enzimidazole resistance of M. fructicola is becoming a problem in controlling brown rot and blossom blight of peach in regions like Chongdo and Gyeongsan.

국내 재배 트리티케일에 발생한 붉은곰팡이병의 다양성 및 독소화학형 분석 (Identification and Chemotype Profiling of Fusarium Head Blight Disease in Triticale)

  • 양정욱;김주연;이미랑;강인정;정현정;박명렬;구자환;김욱한
    • 식물병연구
    • /
    • 제27권4호
    • /
    • pp.172-17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겨울철 사료작물로써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트리티케일에서 발생한 붉은곰팡이병 원인균의 동정 및 독소 type을 분석하고 트리티케일에 효율적으로 적용 가능한 방제 약제를 선발하고자 분리된 붉은곰팡이 균주의 농약저항성 발생 여부를 분석하였다. 조성, 신조성, 신영, 신성, 세영 등 5개 트리티케일 품종에서 평균 9.15%의 병 발생 이삭률을 보였으며, 병 발생 낱알률은 29.2%로 나타났다. 그 결과 트리티케일에서 발생한 붉은곰팡이병 발생률은 평균 3.52%로 나타났다. 붉은곰팡이병에 감염된 개체로부터 총 91개의 균주가 분리되었으며, 이 중 붉은곰팡이 균주는 총 72개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균주의 형태 및 internal transcribed spacer 1,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α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 결과, 트리티케일에서 분리한 균주들은 전부 Fusarium asiaticum으로 동정되었다. 분리 동정된 균주들의 독소 type을 PCR을 통해 분석한 결과, nivalenol (NIV) type 독소는 64.6%, 3-acetyldeoxynivalenol은 4.6%, 15-acetyldeoxynivalenol은 30.8%로 대부분이 NIV type독소를 생성하는 F. asiaticum으로 분석되었다. 최근 봄철 이상 기상현상으로 여러 식량 작물에 붉은곰팡이병 발생률이 높아지고 있다. 트리티케일의 경우 붉은곰팡이병을 방제할 수 있는 등록약제가 없다. 본 실험에서는 보리와 밀에 등록된 약제를 대상으로 트리티케일에서 분리된 붉은곰팡이병 균주들의 약제 내성을 측정한 결과 captan, hexaconazole, difenoconazole·propiconazole 합제는 균사 생장 억제 효과가 있었다. Fludioxonil의 경우 72개 균주 중 6개의 균주가 권장 농도에서 반수영향생육기준치인 42.5 cm를 넘은 47.96±3.15의 균사 생장율을 보여 fludioxonil에 대한 내성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 보고 되는 F. asiaticum에 의한 트리티케일의 붉은곰팡이병 발생 사례이며, 또한 붉은곰팡이가 생성하는 독소 타입을 구명하고, 등록 방제 약제가 없는 트리티케일에 효율적으로 방제가 가능한 내성 미발생 약제를 제시하는 중요한 연구 결과이다.

멕시코와 네팔도입 고추 유전자원의 두 가지 점무늬병에 대한 저항성 (Resistance to Two Leaf Spot Diseases of Pepper Genetic Resources Introduced from Mexico and Nepal)

  • 조은형;김정훈;전수경;이지선;김병수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3권
    • /
    • pp.43-51
    • /
    • 2005
  • 멕시코와 네팔에서 수집한 고추 유전자원 50점과 이병성 및 저항성 대조품종에 Stemphylium solani와 S. lycopersici 의 혼합접종으로 흰별무늬병(gray leaf spot)에 대한 저항성을 검정하고, 살균제를 살포하여 회복시킨 다음 다시 Xanthomonas campestris pv. vesicatoria를 접종하여 더뎅이병에 대한 저항성을 검정하였다 더뎅이병에는 KC866, KC872, KC902, KC905이 이미 알려진 KC43, KC47, KC220, KC319, KC320, KC380 등과 함께 저항성으로 나타났다. 더뎅이병, bacterial spot)에는 KC897이 이미 저항성으로 보고된 KC177(PI163192)보다 발병이 적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어서 네팔에서 도입된 KC889, KC896, KC898이 저항성으로 나타났다.

  • PDF

Chemical Resistance of Diaporthe citri against Systemic Fungicides on Citrus

  • Zar Zar Soe;Yong Ho Shin;Hyun Su Kang;Yong Chull Jeu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9권4호
    • /
    • pp.351-360
    • /
    • 2023
  • Citrus melanose, caused by Diaporthe citri, has been one of the serious diseases, and chemical fungicides were used for protection in many citrus orchards of Jeju Island. Establishing a disinfectant resistance management system and reducing pesticide usage would be important for contributing to safe agricultural production. In this study, monitoring of chemical resistance was performed with 40 representative D. citri isolates from many citrus orchards in Jeju Island. Four different fungicides, kresoxim-methyl, benomyl, fluazinam, and prochloraz manganese, with seven different concentrations were tested in vitro by growing the mycelium of the fungal isolates on the artificial medium potato dextrose agar. Among the 40 fungal isolates, 12 isolates were investigated as resistant to kresoxim-methyl which could not inhibit the mycelium growth to more than 50%. Especially isolate NEL21-2 was also resistant against benomyl, whose hyphae grew well even on the highest chemical concentration. However, any chemical resistance of fungal isolates was found against neither fluazinam nor prochloraz manganese. On the other hand, in vivo bio-testing of some resistant isolates was performed against both kresoxim-methyl and benomyl on young citrus leaves. Typical melanose symptoms developed on the citrus leaves pre-treated with both agrochemicals after inoculation with the resistant isolates. However, no or less symptoms were observed when the susceptible isolates were inoculated.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some resistant isolates of D. citri occurred against both systemic fungicides, which may be valuable to build a strategy for protecting citrus disease.

느타리버섯의 Benomyl 저항성(抵抗性)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Benomyl Resistance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spp.))

  • 유성준;신관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8
    • /
    • 1984
  • 1. Benomyl은 버섯류(類)의 균사생장(菌絲生長)을 억제(抑制)하였는데 $ED_{50}$은 Pleurotus spp. 25ppm, Agaricus bisporus 50ppm, Flammulina velutipes 200ppm으로서 Pleurotus spp.가 benomyl에 대하여 감수성(感受性)이 가장 높았다. 2. Benomyl 함유배지(含有培地)에서 계대배양(繼代培養)할 때 5세대(世代) 및 10세대(世代)에는 1세대(世代)보다 균사생장(菌絲生長)이 증가(增加)하였고 생장증가율(生長增加率)은 명(各) 버섯균(菌)의 benomyl $ED_{50}$농도(濃度)에서 가장 높았다. 3. Benomyl 처리(處理) 배지(培地)에서의 계대별(繼代別) 균사생장(菌絲生長)은 균(菌)의 종류(種類)에 따라 달라서 P. florida는 5세대(世代), Agricus bisporus는 7대(代)까지는 균사생장(菌絲生長)이 증가(增加)하다가 그후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다. 4. Benomyl의 계속처리(繼續處理)는 mutant sector의 발생(發生)을 유기(誘起)하였는데 sector의 출현(出現)은 benomyl의 처리농도(處理濃度)가 낮을때 빨랐으며 P. ostreatus가 P. florida 보다 빨랐다. 5. Benomyl에 의해 유기(誘起)된 mutant sector는 약제(藥劑)에 계속처리(繼續處理)된 모(母) colony 보다 균사생장(菌絲生長)이 빨랐으나 benomyl에 대한 저항성(抵抗性)에는 차이(差異)가 없었다. benomyl란 함유배지(含有培地)에서 계대배양시(繼代培養時) 정상(正常) colony에서 보인 균사생장(菌絲生長)의 증가(增加)는 약제저항성(藥劑抵抗性)에 기인(起因)하는 것이었다.

  • PDF

2005년과 2006년에 채집한 고추 역병균(Phytophthora capsici)의 Metalaxyl에 대한 약제 반응 (Response to metalaxyl of Phytophthora capsici isolates collected in 2005 and 2006)

  • 김선보;이수민;민지영;김홍태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05-312
    • /
    • 2007
  • 2005년과 2006년에 전국의 고추 재배지에서 분리한 역병균의 metalaxyl에 대한 약제 반응을 조사하였다. Metalaxyl에 대한 $EC_{50}$값을 가지고 저항성을 결정하였는데, $1.0\;{\mu}g\;mL^{-1}$ 이상인 경우를 저항성으로 규정하였다. 이 기준에 따르면 2005년에 분리한 역병균에서는 29.0%가, 2006년에는 21.8%가 저항성 균주로 밝혀졌다. 또한 2006년에 분리한 균주는 분리한 지역에 따라서 저항성 균주의 비율에 차이가 있었는데, 충남지역이 33.3%로 가장 높은 분리 빈도를 보였고, 충북과 경북이 26.3과 11.1%의 저항성 균주의 비율을 보였다. Metalaxyl에 대해서 감수성과 저항성인 균주들 중에서 각각 2균주씩을 선발하여, 각각 균주들에 대한 metalaxyl의 작용특성을 조사하였다. 감수성 균주인 P. capsici 06-37과 06-86은 $0.8\;{\mu}g\;mL^{-1}$의 metalaxyl 처리 구에서 균사생장이 98.1과 89.6%가 억제되었지만, 저항성 균주인 P. capsici 06-130과 06-155에 대한 균사생장 억제율은 48.7과 45.3%로 매우 낮았다. 하지만 metalaxyl은 선발한 4균주의 유주포자낭의 발아, 유주포자나출, 유주포자 발아 등에는 큰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살균제에 대한 반응과는 관련이 없었다. 온실시험 결과, 감수성 균주인 06-37은 고추 유묘에서 전혀 병원성이 없었지만, 나머지 균주들은 뚜렷한 병원성을 보였다. $25\;{\mu}g\;mL^{-1}$의 metalaxyl을 토양 관주처리하고 병원균을 접종한 다음, 9일 후에 방제 효과를 조사하면, 감수성균인 06-86에 대해서는 100%의 방제 효과를 보여 주었지만, 저항성 균주인 06-130에 대해서는 20%의 효과를 보였고, 06-155에 대해서는 전혀 병 발생을 억제하지 못하였다.

Genetic characteristics of Phytophthora capsici mutants induced by dimethomorph

  • Nam Moon;Lee, Kyoung-Mi;Jang, Kuang-Il;Jeong young Song;Kim, Hong-Gi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117.1-117
    • /
    • 2003
  • Phytophthora blight, caused by P. capsici, is very important disease of pepper. Many fungicides to control of Phytophthora blight have been developed, but most of fungicides disappeared in short periods. Nowadays dimethomorph was known as one of the most effective to control of this disease. P. capsici isolates from pepper fields were collected and surveyed their growth in dimethomorph amended V8 medium in order to evaluate their fungicides resistance. The fungicide resistant isolates were not founded among them. Most of the sensitive isolates were inhibited perfectly in V8 medium amended with 10ppm dimethomorph. Mutants of P. capsici by dimethomorph, was grown very well in 250ppm. The difference of pathogenicity, colony morphology, drug response, RT-PCR results was identified between sensitive and resistance isolates. This study should be provided a basic information about the occurrence of dimethomorph resistant isolates and genetic changes in P. capsici popul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