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ctional silane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7초

Ag/에폭시간 계면 접착력 향상을 위한 전해 실란 처리 (Electrolytic silane deposition to improve the interfacial adhesion Ag and epoxy substrate)

  • 공원효;박광렬;류호준;배인섭;강성일;최승회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77-83
    • /
    • 2023
  • The reliability of leadframe-based semiconductor package depends on the adhesion between metal and epoxy molding compound (EMC). In this study, the Ag surface was electrochemically treated in a solution containing silanes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Ag and epoxy substrate. After electrochemical treatment, the thin silane layer was deposited on the Ag surface, whereby the peel strength between Ag and epoxy substrate was clearly improved. The improvement of peel strength depended on the functional group of silane, implying the chemical linkage between Ag and epoxy.

Influence of Silane Coupling Agents on the Interlaminar and Thermal Properties of Woven Glass Fabric/Nylon 6 Composites

  • Donghwan Cho;Yun, Suk-Hyang;Kim, Junkyung;Soonho Lim;Park, Min;Lee, Sang-Soo;Lee, Geon--Woong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119-126
    • /
    • 2004
  •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silane coupling agents, featuring different organo-functional groups on the interlaminar and thermal properties of woven glass fabric-reinforced nylon 6 composites, has been by means of short-beam shear tests, dynamic mechanical analysis,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thermogravimetric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fiber-matrix interfacial characteristics obtained using the different analytical methods agree well with each other. The interlaminar shear strengths (ILSS) of glass fabric/nylon 6 composites sized with various silane coupling agents are significantly improved in comparison with that of the composite sized commercially. ILSS of the composites increases in the order: Z-6076 with chloropropyl groups in the silanes > Z-6030 with methacrylate groups> Z-6020 with diamine groups; this trend is similar to that of results found in an earlier study of interfacial shear strength. The dynamic mechanical properties, the fracture surface observations, and the thermal stability also support the interfacial results. The improvement of the interfacial properties may be ascribed to the different chemical reactivities of the reactive amino end groups of nylon 6 and the organo-functional groups located at the ends of the silane chains, which results from the increased chemical reactivity in order chloropropyl > methacrylate > diamine.

탄소나노튜브와 바인더의 상호작용이 탄소나노튜브/바인더 박막의 정전기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termolecular interactions between CNTs and silane binders on the opto-electrical properties of SWNT/silane binder films)

  • 한중탁;김선영;정희진;정승열;이건웅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7-98
    • /
    • 2009
  • Here, we describe a versatile strategy for precise control of the optoelectrical properties of the single walled carbon nanotube (SWNT)/silane binder hybrid films by noncovalent hybridization. Stable SWNT/silane binder solutions were prepared by direct mixing of high concentration CNT solutions and silane sol solutions. The critical binder content was determined by varying the amount of binder in the SWNT/binder solutions. A binder content of 50 wt% was used to prepare the other SWNT/binder solutions. This study demonstrates how the intermolecular interactions between the SWNTs and the silanes can affect the conductivity of the CNT/binder network films by characterizing the optoelectrical and Raman spectroscopic properties of the SWNT/silane films containing silane binders with various functional groups. The use of the PTMS binder with phenyl groups was found to be most effective in the fabrication of transparent and conductive films on glass substrates. Such a precise control of the optoelectrical properties of SWNT/binder films can be useful to fabricate the high performance conductive thin films, with ramifications for understanding the fundamental intermolecular interaction in carbon materials science.

  • PDF

광촉매와 초발수 처리를 이용한 셀프클리닝 섬유의 제조 및 평가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Self-cleaning Fabrics using Photocatalyst and Superhydrophobic Finishing)

  • 정의경;우희주;조승빈;배진석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88-293
    • /
    • 2018
  • This study reported the dual functional self-cleaning PET fabrics prepared from $TiO_2$ and hexadecyltrimethoxysilane treatment, which have photodegradation and superhydrophobicity on the fabric surface. Phodegradation and superhydrophobicity of the resulting fabric were compared with $TiO_2$ or silane treated fabrics. The dual functional self-cleaning PET fabric showed less photodegradation than the $TiO_2$ treated fabric. However, the dual functional self-cleaning fabrics showed superior superhydrophobicity to silane treated fabric with increased water contact angle and significantly decreased roll-off angle. This suggested that the dual functional PET fabric has a great potential to be the commercialized self-cleaning fabric because it is repellent to soil or dust and even if soil or dust is adsorbed on the fabric surface, it can be removed by water rolling off on the surface or photodegradation by the photocatalyst.

이온빔 및 이미다졸-실란 화합물에 의한 폴리이미드 필름과 구리의 접착 특성 (Adhesion Properties between Polyimide Film and Copper by Ion Beam Treatment and Imidazole-Silane Compound)

  • 강형대;김화진;이재흥;서동학;홍영택
    • 접착 및 계면
    • /
    • 제8권1호
    • /
    • pp.15-27
    • /
    • 2007
  • 폴리이미드 필름과 구리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온빔과 실란-이미다졸 커플링제를 사용하여 폴리이미드 표면개질을 실시하였다. 실란-이미다졸 커플링제는 구리와의 배위결합을 형성하는 이미다졸 그룹과 실록산 폴리머를 형성하는 메톡시 실란 그룹을 함유한다. 폴리이미드 필름표면은 아르곤/산소 이온빔으로 일차로 처리하여 친수성을 높인 폴리이미드 필름에 커플링제 수용액에 침지하여 폴리이미드 필름 표면에 커플링제를 그라프트시켜 표면개질을 실시하였다. XPS 스펙트럼 분석결과 아르곤/산소 플라즈마 처리는 폴리이미드 표면에 하이드록시 및 카르보닐 그룹과 같은 산소 기능성기를 형성함을 알 수 있었고 폴리이미드 필름 표면에 실란-이미다졸과의 커플링반응에 의하여 표면이 개질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온빔을 사용하여 그라프트된 폴리이미드 필름과 구리와의 접착력은 처리되지 않은 폴리이미드 필름과의 접착력 보다 높은 접착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커플링제로 그라프트된 폴리이미드 필름의 접착력 보다 아르곤/산소의 양자화 이온을 이용하여 개질한 그라프트된 폴리이미드 필름의 시편이 더 높은 접착력을 나타내었다. 구리-폴리이미드 필름의 계면으로부터 박리된 층은 분석결과 완전히 서로 다른 화학적 조성을 나타내었는데 이것으로부터 박리가 접합면의 커플링제 내에서 일어나는 것보다는 폴리이미드와 커플링제의 사이에서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 PDF

Influence of Loading Procedure of Liquid Butadiene Rubber on Properties of Silica-filled Tire Tread Compounds

  • Jinwoo Seo;Woong Kim;Seongguk Bae;Jungsoo Kim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7권4호
    • /
    • pp.129-137
    • /
    • 2022
  • Low molecular weight liquid butadiene rubber (LqBR) is a processing aid that can resolve the migration problem of tire tread compounds.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replace the petroleum-based processing oil with LqBR. However, the effect of the loading time of LqBR in the compounding process on silica dispersion and vulcanizate properties is not well known. In this study, we analyzed silica dispersion, vulcanizate properties, and viscoelastic properties of silica-filled tire tread compound according to the processing aid type (TDAE oil, non-functional LqBR) and, silane terminated LqBR) and input timing. In the non-functional LqBR compounds, the 'with TESPT' mixing procedure showed excellent dynamic viscoelastic properties while silane-terminated LqBR compounds showed that the 'after TESPT' mixing procedure was good for 300% modulus and abrasion resistance.

3-Isocaynatopropyl Triethoxy Silane이 PU 접착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3-Isocaynatopropyl Triethoxy Silane on PU Adhesive)

  • 주홍희;정의습;박찬영;이원기;김태균;천제환
    • 접착 및 계면
    • /
    • 제14권1호
    • /
    • pp.36-42
    • /
    • 2013
  •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내가수 분해성 향상을 위하여 실란 커플링제를 첨가하여 특성을 고찰 하였다. 실란 커플링제는 사슬 내에 2종 이상의 다른 기능성기를 가지고 있는 3-isocyanatopropyl triethoxy silane (ITS)을 사용하였는데 일반적으로 고분자와 무기, 유기 또는 금속소재와의 복합계에서 계면결합으로 접착성 개선을 가져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제조에서 ITS의 양을 0, 0.3, 0.5, 0.7 및 1 wt%로 첨가하여 샘플을 제조하고 가사시간, modulus, 내열성 및 접착력을 평가하였다. ITS가 첨가된 샘플은 대부분의 물성에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실란기가 도입된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합성 및 자외선 경화 특성 분석 (Synthesis of Silane Group Modified Polyurethane Acrylate and Analysis of Its UV-curing Property)

  • 김정수
    • 접착 및 계면
    • /
    • 제22권3호
    • /
    • pp.98-10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실란기가 도입된 UV 경화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여 투명성 및 접착성/이형성을 갖춘 silver nanoparticle 전사용 접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Silver nanoparticle이 PET 위에 패터닝되어 있는 Ag/PET 필름과 전사 대상인 PC필름 사이에 제조한 접착 조성물을 도포하고 UV로 광경화한 후, PET를 제거하여 Ag/PC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란기가 도입된 UV 경화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polycaprolactone diol (PCL)과 isophrone diisocyanate (IPDI), 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3-aminopropyl)triethoxysilane (APTES)를 사용하여 합성하였다. APTES의 실란기는 특수 처리된 Ag표면과 반응하여 계면접착력이 개선될 수 있으며, 실란기가 도입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와 희석제로 투입하는 기능성 아크릴 희석제에 의하여 PC필름과의 접착력을 향상시켰다.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합성은 FT-I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APTES의 몰비와 아크릴 희석제 조성에 따라, 접착 특성과 광학 특성, 전사 특성 등을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PUA2S1_0.5의 조건으로 제조된 접착 조성물에서 가장 우수한 전사 특성을 확인하였다.

기능성 실란커플링제가 2-FCCL의 접착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unctionalized Organosilane Coupling Agent on the Adhesion Properties of 2 Layer Flexible Copper Clad Laminate)

  • 박진영;임재필;김용석;정현민;이재흥;류종호;원종찬
    • 폴리머
    • /
    • 제33권6호
    • /
    • pp.525-529
    • /
    • 2009
  • 우수한 성능의 2층 연성동박적층판(이하 FCCL)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동박과 폴리이미드 사이에서 높은 접착력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이종 재료로 인한 두 계면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기능성 실란커플링제가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압연동박과 폴리이미드 사이의 접착력 향상과 이미드화를 위한 고온의 열처리 조건에서도 안정한 새로운 형태의 실란커플링제를 합성하였다. 또한, 합성된 실란커플링제를 압연동박에 처리하였을 때, 표면처리제의 농도에 따른 표면변화를 관찰하였으며, 이로 인해 발생되는 접착력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서 2층 FCCL을 제조하여 $90^{\circ}$ peel test를 통해 관찰하였다. 그리고, 두 종류의 폴리이미드를 이용한 FCCL에서 실란 커플링제가 접착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