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ctional beauty food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8초

맞춤형샴푸 사용에 따른 두피상태 변화 추이 연구 (A Study on Trends in Scalp Condition Based on Use of Customized Shampoo)

  • 이은지;이정현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73-278
    • /
    • 2024
  • Consumer preferences for food are influenced by personal values and personalities.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developments in modern society have influenced consumer lifestyles and brought about multiple changes in consumption patterns. In the beauty market, consumers are now more interested in specialized offerings, and an increasing number of people are opting for customized products in a market structure where mass production has led to mass consumption. Hair products are now manufactured as functional cosmetics designed to maintain and improve scalp health and hair growth by removing waste from the scalp and adding fragrance for cleanliness, breaking away from the concept of general cosmetics. Many studies have focused on personalized products in the cosmetics industry. This study aimed to accurately determine scalp types and further diagnose individual scalp conditions using a scalp diagnostic device. Based on the diagnoses, it recommended and provided personalized shampoos in order to understand how these shampoos improved scalp health. By objectively analyzing and comparing scalp conditions before and after using customized shampoos, the study demonstrated a significant effect on scalp health.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perception and effectiveness of personalized shampoos.

번행초(Tetragonia tetragonioides)로부터 추출한 Phenolic Compounds의 미용 식품 활성 (Beauty Food Activities of Isolated Phenolic Compounds from Tetragonia tetragonioides)

  • 조재범;이은호;조영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33-341
    • /
    • 2016
  • 본 연구는 물과 ethanol을 추출용매로 사용한 번행초(Tetragonia tetragonioides) 추출물이 미용 식품 소재로 사용 가능한 기능성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Phenolic compounds는 물 추출물에서 3.29 mg/g, 50% ethanol 추출물에서 4.14 mg/g의 결과를 각각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 $200{\mu}g/mL$ phenolic compounds의 농도에서 물 추출물은 98.45%, 50% ethanol 추출물은 91.20%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활성 측정 결과 $100{\mu}g/mL$ phenolic compounds의 농도에서 물 추출물은 97.28%, 50% ethanol 추출물은 97.03%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PF) 측정 결과 $200{\mu}g/mL$ phenolic compounds의 농도에서 물과 ethanol 추출물 모두 1.77 PF의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TBARS) 측정 결과 $100{\mu}g/mL$ phenolic compounds의 농도에서 물과 ethanol 추출물은 94.77%와 95.64%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미백과 관련 있는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200{\mu}g/mL$ phenolic compounds의 농도에서 ethanol 추출물은 34.96%의 억제력을 나타내었다. 주름 개선 효과를 측정하는 elastase 저해 활성과 collage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200{\mu}g/mL$ phenolic compounds의 농도에서 ethanol 추출물만 78.90%와 61.3%의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수렴 효과를 나타내는 astringent effect에서 $200{\mu}g/mL$ phenolic compounds 농도의 ethanol 추출물은 7.82%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Hyaluronidase 저해 효과 측정 결과 물 추출물 $200{\mu}g/mL$ phenolic compounds의 농도에서 81.04%의 염증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미루어 보았을 때 번행초 추출물은 항산화 작용과 미용 식품으로서의 기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미역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및 아질산 제거효과 (Effect of Hot Water Extract of Undaria pinnatifida on the Activities of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 김윤수;남형근;신현재;나명순;김미혜;이철원;김종수;박옥란;차월석
    • KSBB Journal
    • /
    • 제26권2호
    • /
    • pp.151-156
    • /
    • 2011
  •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and cosmetics using the hot water extract of Undaria pinnatifida, the concentrations of vitamin, amino acid and element and activities of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shown as follows: Vitamin C and E concentrations were 0.301 and 0.11 mg/100 g, respectively. Mineral concentrations were an order of Ca > Mg > K > Fe. The concentrations of total amino acids were an order of Glu > Ala > Val > Leu > Gly > Pro. Total phenol concentration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concentration of extract. Especially, when the extract concentrationwas increased from 1.0 to 10.0 mg/mL, the total phenol concentration was increased from 0.043 to 0.125 OD 725 nm.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t 50 mg/mL was 70.1%.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 was stable in range of 80 to $140^{\circ}C$ and pH 3-9. The nitrite scavenging activity was increased with the decreaseof pH and the increase of it's extract concentration. Especially, it was 83.4% at 50 mg/mL (pH 1.2).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hot water extract of U. pinnatifida can be applied to functional food and cosmetics.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부패세균에 대한 항균효과 (Inhibitory activity against biological activities an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pathogenic bacteria of extracts from Hericium erinaceus)

  • 김명욱;이은호;정희영;이승열;조영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2호
    • /
    • pp.173-179
    • /
    • 2019
  • 노루궁뎅이버섯(Hericium erinaceum) 추출물의 총 페놀성 성분함량은 물 추출물은 $0.349{\pm}0.004mg/sample\;g$이었고, 에탄올 추출물은 $0.258{\pm}0.012mg/sample\;g$을 나타내었다. 노루궁뎅이버섯은 농도 의존적으로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BHA 보다 더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기능성식품활성에서 노루궁뎅이버섯 에탄올추출물은 $50-200{\mu}g/mL$ 페놀성 성분 농도구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xanthine oxidase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은 $50{\mu}g/mL$ 페놀성 성분 농도에서 80% 이상의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염증인자로 hyaluronidase 저해활성은 물과 에탄올 추출물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기능성 미용식품활성에서 노루궁뎅이버섯 에탄올추출물의 collagenase 저해활성은 $200{\mu}g/mL$ 페놀성 성분 농도에서 물과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65.09%와 58.38%의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고,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물 추출물에서 9.4-58.24%의 농도의존적인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노루궁뎅이버섯 ethanol 추출물 $50-200{\mu}g/mL$ 페놀성 성분 농도구간에서 18.94-100%의 우수한 모공수축 효과가 확인되었다. 식품부패유발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은 2.5 mg/mL 이상의 농도에서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enteritidis, Vibrio parahaemolyticus 및 Escherichia coli에 대한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노루궁뎅이버섯은 건강기능성 식품 및 미용식품원료로 활용이 가능하며 부패균에 대한 천연방부제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Effect of Porcine Placenta Extract from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on Photodamage in Human Keratinocytes

  • Park, Yooheon;Han, Bok Kyung;Choi, Hyeon-Son;Hong, Yang Hee;Jung, Eun Young;Suh, Hyung Jo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64-170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d the photoprotective effects of porcine placenta extract (PPE) on ultraviolet B (UVB)-induced oxidative stress in human keratinocytes (HaCaT) to evaluate its functional activities as a skin food ingredient. PPE prepared by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was termed SPE, and subsequently digested by enzymes to prepare E-SPE. Increased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evels (192.0%) induced by UVB were decreased by SPE and E-SPE. SPE had more effective ROS scavenging activity than E-SPE treatment. UVB treatment increased expression of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 1 (TIMP-1), and this elevated expression was decreased by E-SPE treatment. High-dose treatment with E-SPE (50 and 100 µg/mL) reduced TIMP-1 expression levels of UVB-C (control) to 33.5 and 34.6%, respectively. In contrast, at low SPE doses (1 and 10 µg/mL), the treatment slightly decreased TIMP- 1 expression levels to 73.3% and 71.3% of UVB-C,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e protective effect of SPE and E-SPE against UVB damage in keratinocytes via ROS scavenging, down-regulating MMP-2 expression and up-regulating TIMP- 1 expression. This highlights the potential for SPE as an ingredient in the preparation of functional food against photoaging.

미용기능식품 시장동향 (Market Trends for Nutricosmetics)

  • 심봉섭;이봉진
    • 공업화학전망
    • /
    • 제22권1호
    • /
    • pp.23-37
    • /
    • 2019
  • 미용기능식품은 최근 이너뷰티식품으로도 일컬어지며, 일시적이고 인위적인 방법이 아닌 음식 섭취를 통해 건강과 아름다움을 가꿀 수 있는 식품이다. 기존에 이너뷰티식품은 건강기능식품 중 하나로 인식되었으나 천연재료의 미용효과를 강조한 다양한 식품들이 출시되면서 점차 이너뷰티 식품군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에서는 자생식물과 약용식물을 함유한 건강즙, 디톡스음료, 착즙 주스 등의 제품이 항산화 및 피부건강과 같은 마케팅 진행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그러나 아직 이너뷰티식품 기업 대부분이 안정적인 매출과 인지도를 구축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며, 대체적으로 중견기업 이상의 기업들이 점유하고 있는 상황이므로 인지도가 낮은 브랜드들은 적극적인 수출활동을 진행하지 않고 있다. 한편 전 세계적으로 이너뷰티식품의 카테고리가 다양화되고 타깃 소비층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적절한 제품 및 마케팅 전략 수립을 통해 시장을 확대해가는 전략이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기고에서는 이러한 이너뷰티제품의 소재 및 연구방향, 시장동향들을 소개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이너뷰티식품이 향후 발전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고령화친화산업의 현황과 뷰티시장의 접근 방향 : 고령화(시니어)화장품을 중심으로 (Current status of the aging-friendly industry and the approach direction of the beauty market: Focusing on aging (senior) cosmetics)

  • 문지선;최상범;유선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528-1534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의 동향을 살펴보고, 고령화 화장품의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성분, 고시 외 원료 연구 동향 분석 등을 조사하여 고령친화산업이 화장품 산업 환경과 고령화들의 변화를 빠르게 대처하기 위한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식약처 고시 성분 외에 항 노화 화장품의 원료 개발에 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각각의 원료들의 항 노화 효과를 알아보며, 이를 통해 국, 내외에 등재 학술지에 게재되어진 논문을 중심으로 '고령화', '화장품', '안티에이징', '항 노화' 등의 연구논문을 토대로 자료를 종합하였다. 고령화 산업과 관련한 항 노화 화장품의 발전을 이끌기 위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고시하고 있는 4종 원료 외에 피부를 강화시켜 노화를 방지하는데 효과가 있는 제품에 대한 연구 활동이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고시하고 있는 기능성 화장품 분야에서 단일 연구가 아닌 복합적으로 항 노화에 대한 연구가 과학적으로 뒷받침 될 수 있도록 다양한 기초 연구 활동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기능성화장품소재로서 자색당근 초임계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주름 효능 연구 (A Study on Anti-oxidant and Anti-wrinkle Effect of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of Black Carrot as a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 김지수;이지안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236-243
    • /
    • 2021
  • 본 연구는 자색당근(black carrot, BC) 소재로 초임계추출물에 대해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을 통해 항산화 활성, 인간의 정상 섬유아세포에서 콜라겐 생성과 MMP-1 발현을 조사하여 항주름 효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자색당근 초임계추출물 내 총 폴리페놀 함량 (9.037±1.123 mg GAE/g), DPPH, ABTS 분석 결과로 높은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NHDF 세포에서 초임계추출물 농도에 의한 세포독성은 거의 없었으며, 이때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MMP-1 단백질 및 MMP-1 mRNA 발현을 억제하고, 콜라겐 type I 유전자 mRNA 수준 증가에 의한 type I procollagen의 합성을 촉진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자색당근 초임계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 효능과 친환경(solvent free)물질, 항노화 원료로서 화장품, 식품, 미용식품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있어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붉나무(Rhus chinensis Mill)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 활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of Rhus chinensis Mill)

  • 박서영;이민호;소영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151-158
    • /
    • 2017
  • In this study, the Rhus chinensis Mill was divided into bark and inner bark. The antimicrobial activity and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extracts were investigated by using the organic solvent fractions after the extraction and concentration with ethanol. This study showed the possibility of functional materials such as raw materials for cosmetics and food supplements. This study was the antimicrobial 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ive microorganisms (S. aureus, E. coli, B. subtilis, P. aeruginosa, and P. oval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B. subtilis was found to be high in the ethanol extract of. Second, DPPH scavenging activity was 86.4%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t 2.5 mg/mL bark part and 61.9%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t 2.5 mg/mL in inner Rhus chinensis Mill bark part. The ABTS scavenging activity was 79.2% free radical scavenging at 1 mg/mL bark fraction and 63%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t 1 mg/mL in inner bark, and bark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inner bark.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ntimicrobial 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hus chinensis Mill extract can be used as a natural material. Specific and diverse physiological activity studies are expected in the future.

건조방법에 따른 유자 분말 및 이를 함유한 발포정의 품질특성 및 기능성 분석 (Analysis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ity of Yuzu (Citrus junos Sieb.) Powder and Foam Tablets Contain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Drying Method)

  • 이보배;정현주;윤창용;남승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29-138
    • /
    • 2024
  • In this study, in order to develop an foaming tablet product using yuzu powder, yuzu powder was manufactured using different drying methods such as freeze-drying, 60℃ drying, and 40℃ drying, and the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ity were analyzed. The naringin content per g of yuzu powder was 8.9 mg for freeze-drying and 8.8 mg for 60℃ drying, and the hesperidin content per g of yuzu powder was highest at 53.6 mg for freeze-drying and 46.2 mg for 60℃ drying. followed by 40℃drying (41.7 mg). Th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60℃ dried powder was found to be twice as high as that of freeze dried powder. Accordingly, in order to develop an inner beauty product, foaming tablets were manufactured using hot air dried powder,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 ingredients of the final foaming tablets were investigated. The foaming tablet prepared with yuzu powder content of 10 and 15% showed an inhibitory activity of tyrosinase of 73.7 %, which was 1.6 times higher than that of ascorbic acid (1 mM), which was a positive control, confirming its melanin production inhibition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