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maric acid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25초

싸리버섯의 정미성분(呈味成分)과 Mineral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the tasty constituents and minerals in Clavariaceae botrytis)

  • 서정희;조수열;이성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7-21
    • /
    • 1974
  • 싸리버섯의 정미성분(呈味成分)인 유리 amino acid 유기산 유리당과 무기성분의 종류를 검소(檢素)하고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리 amino acid로서 isoleucine valine threonine alanine methionine cysteine glutamine histid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등(等)이 존재하고, 이 가운데서 aspartic acid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싸리버섯의 amino acid를 aspartic 계로 보았다. 2) 유기산으로서 succin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fumaric acid 등(等)이 존재하고 이 가운데서 succinic acid가 가장 많았다. 3) 유리당으로서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 등(等)이 존재하고 이 가운데서 glucose sucrose가 전(全) 당(糖)의 80% 이상(以上)이었다. 4) 무기성분으로서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에 의(依)하여 K Na Mg Ca Cu Mn Zn Fe을 검출 정량하였고, 발광분광분석으로 다시 Al B Bi Ag Ti Sr Cr Pb 등(等)을 검출할 수 있었다. 이들 무기성분 가운데서 K가 가장 많았으며, Ca의 양(量)이 극히 적음이 주목되었다.

  • PDF

pH, 유기산(有機酸), 아스코르빈산(酸) 및 자외선조사(紫外線照射)가 인삼갈변촉진(人蔘褐變促進)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pH, Organic acids, Ascorbic acid and Ultraviolet Irradiation on the Acceleration of Browning in Ginseng)

  • 김상달;도재호;오훈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5권4호
    • /
    • pp.206-210
    • /
    • 1982
  • pH, 유기산(有機酸), ascorbic acid 및 자외선조사(紫外線照射)가 홍삼갈색화반응촉진(紅蔘褐色化反應促進)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다. 홍삼(紅蔘)의 갈색화반응(褐色化反應)은 약(弱) alkali성(性) 범위(範圍)에서 갈변(褐變)이 촉진(促進)되는 경향(傾向)을 보였으며 citric acid, succinic acid, tartaric acid등(等)의 유기산(有機酸) 첨가(添加)도 홍삼(紅蔘)의 갈변반응(褐變反應)을 촉진(促進)하였다. Fumalic acid의 단독첨가(單獨添加)는 홍삼(紅蔘)의 갈색화반응(褐色化反應)을 촉진(促進)하였으나 glucose, glutamic acid , $glucose{\times}glutamic$ acid의 혼합처리(混合處理)는 갈변(褐變)을 저하(低下)시켰다. 0.1M 이상(以上)의 ascorbic acid 처리(處理)는 홍삼갈색화반응(紅蔘褐色化反應)에 아주 큰 촉진효과(促進效果)가 있었으며 동시(同時)에 양질홍삼(良質紅蔘)의 특유(特有)한 색상(色相)인 홍색도(紅色度)도 크게 증대(增大)되었다. 자외선조사(紫外線照射)는 홍삼건조(紅蔘乾燥) 초기(初期)에는 갈변(褐變)을 상당히 촉진(促進)하였으나 그 이후(以後)에는 갈색도(褐色度)가 감소(減少)되었다.

  • PDF

Fungal Fermentation of Lignocellulosic Biomass for Itaconic and Fumaric Acid Production

  • Jimenez-Quero, A.;Pollet, E.;Zhao, M.;Marchioni, E.;Averous, L.;Phalip, V.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1호
    • /
    • pp.1-8
    • /
    • 2017
  • The production of high-value chemicals from natural resources as an alternative for petroleum-based products is currently expanding in parallel with biorefinery. The use of lignocellulosic biomass as raw material is promising to achieve economic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Filamentous fungi, particularly Aspergillus species, are already used industrially to produce organic acid as well as many enzymes. The production of lignocellulose-degrading enzymes opens the possibility for direct fungal fermentation towards organic acids such as itaconic acid (IA) and fumaric acid (FA). These acids have wide-range applications and potentially addressable markets as platform chemicals. However, current 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these compounds are mostly based on submerged fermentation. This work showed the capacity of two Aspergillus species (A. terreus and A. oryzae) to yield both acids by solid-state fermentation and simultaneous saccharification and fermentation. FA was optimally produced at by A. oryzae in simultaneous saccharification and fermentation (0.54 mg/g wheat bran). The yield of 0.11 mg IA/g biomass by A. oryzae is the highest reported in the literature for simultaneous solid-state fermentation without sugar supplements.

감자 Lipoxygenase 가 밀가루 반죽의 페리노그라프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otato Lipoxygenase on the Farinograph Characteristics of Wheat Flour Dough)

  • 문정원;서명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0-115
    • /
    • 1994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otato lipoxygenase on the farinograph characteristics of wheat flour dough, composite flours containing enzyme-active potato flor (EPF) and hot-ar dried potato flour(HPF) were used. EPF was made by freeze-drying potato tuber. DPF (denaturated potato flour) was prepared by holding EPF at 8$0^{\circ}C$ for 18 hr in a dry oven. The potato flours were added to wheat flour at a level of 10% , respectivley. EPFB (enzyme-active potato flour blends, 90% wheat flour +105 enzyme -active potato flour) containing lipoxygenase activity gave higher farinogram peak time and higher stability values, lower MTI (mixing tolerance index ) and lower weakness values than those of HPFB(hot-air potato flour blends, 90% wheat flour + 10 % hot-air potato flour). Moreover, then lipoxygenase was added to DPFB(denatured potato flour blends , 90% wheat flour + 10% denatured potato flour) at a level of EPFB, it resulted in increasing stability, peak time and decreasing MTI , weakness at a level of EPFB. When the lipoxugenase was added to wheat flour with fumaric acid at alevel of 6.5 $\times$ 10units/g flour, lipoxygenase overcame the deleterious effects that fumaric acid including activated double-bond compounds have at mixing stability. Also the addition of liposxygenase with linoleic acid to defatted wheat flour resulted in the increase in stability and decrease in MTI value compared with those of linoleic acid and defatted wheat flour.

  • PDF

도토리박 추출물과 푸마르산 및 중온 열 병합처리에 의한 적근대의 미생물 제어 효과 (Combined Treatment of Acorn Pomace Extract, Fumaric Acid, and Mild Heat for Inactivation of Microorganisms on Red Chard)

  • 박신민;송경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1호
    • /
    • pp.1696-170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차아염소산 나트륨 같은 염소계 살균세척제를 대체하기 위한 천연 살균세척제로서 도토리박 추출물(APE)을 개발하기 위해 적근대에 Listeria monocytogenes를 접종한 후 APE의 항균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최적 세척처리 조건을 수립하고자 APE, FA, $50^{\circ}C$에서의 mild heat를 병합처리하였다. 모든 처리구 중 0.5% APE/$50^{\circ}C$ mild heat/0.5% fumaric acid(FA) 병합 세척처리가 가장 효과적이었는데, L. monocytogenes 수를 대조구에 비해 3.36 log CFU/g 감소시켰다. 병합처리된 적근대 시료의 저장 8일 후 총 호기성균은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 2.89 log CFU/g 감소하였고, 색도 측정 결과 처리구 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APE/mild heat/FA 병합처리 방법은 수확 후 적근대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기술이라고 판단된다.

흰돌기망태버섯(가칭; Dictyophora echinovolvata)의 일반성분 및 항미생물활성 (Component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Veiled Lady Mushroom, Dictyophora echinovolvata)

  • 정종천;조수묵;정준호;박정식;정봉구;이동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79-85
    • /
    • 2001
  • 본 연구는 망태버섯속(Dictyophora spp.) 균의 균학적 특성 시험의 일부로써 인공재배를 통한 자실체의 대량생산이 가능한 흰돌기망태버섯인 D. echinovolvata ASI 32002 균주에 대한 균사체, 알, 성숙한 자실체 등 발육단계별과, 갓, 치마, 대, 대주머니 등 자실체의 부위별로 성분분석과 항균활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D. echinovolvata ASI 32002 균주의 성분분석에서는 균사체, 알, 자실체 등과 자실체의 부위에 따라 종류와 양에 차이가 있었다. 무기성분 중 질소, 인산, 마그네슘, 칼슘은 균사체에 많고, 알과 자실체에서는 칼리와 미량원소의 함량이 균사체보다 높았다. 유리당은 mannitol과 trehalose가 많았다. 유리아미노산은 균사체에 glutamic acid와 arginine, 알과 자실체에 aspartic acid와 glutamic acid가 많았다. 지방산은 모든 부위에 불포화 지방산인 리놀레익산$(C_{18:2})$이 많았으며, 다른 지방산은 부위별로 종류와 양에 차이가 있었다. 유기산도 균사체에 malic acid, lactic acid, acetic acid, 알에 formic acid, acetic acid, fumaric acid, 자실체에서 malic acid, citric acid, lactic acid, formic acid, fumaric acid가 비교적 많이 검출되었다. 한편, D. echinovolvata ASI 32002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곰팡이 Aspergillus awamori, Hypocrea nigricans, Trichoderma virens에 대한 항균활성은 균사체 추출물의 MIC가 $62{\sim}125\;{\mu}g/ml$로 항생제 cyclohexamide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효모균 Candida albicans에 대해서는 균사체 및 자실체 추출물에서 MIC가 $250\;{\mu}g/ml$로 tetracycline과 비슷한 수준의 활성을 보였다. 한편 세균 Escherichia coli에 대한 항균활성은 $500{\sim}1,000\;{\mu}g/ml$ 수준으로 매우 낮은 편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흰돌기망태버섯(D. echinovolvata)의 항균활성 등은 이 버섯의 효능에 대한 기초연구와 더불어 기능성 식품첨가제의 개발 및 화장품 원료 등으로의 이용에 관한 연구가 기대된다.

  • PDF

배건담치의 정미성분에 관한 연구 (THE TASTE COMPOUNDS OF BROILED DRIED SEA MUSSELS)

  • 류병호;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65-83
    • /
    • 1978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evaluate the taste of broiled-dried sea mussel which is a traditional dried Sea food in Korea. The contents of such compounds as free amino acids,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TMAO, betaine, and nonvolatile organic acids were analysed. From the results of analysis of nucleotides, the contents of AMP and ADP in broiled-dried Mytilus coruscus and Mytilus edulis appeared higher than other nucleotides and tended to increase slightly after cooking, drying, and storage which might be due to both their stability and the addition of degradation of nucleic acids during cooking. In the free amino acid composition of fresh samples abundant amino were taurine, glycine, serine, glutamic acid, alanine, arginine, threonine, tyrosine, lysine and valine in order. Such amino acids as histidine, leucine, methionine and isoleucine were poor and both proline and phenylalanine were merely trace. The free amino acid composition in the extract of Mytilus corucus and Mytilus edulis after broil-drying was not changed. These amino acids, taurine, glycine, feline, glutamic acid, alanine and arginine were abundant in dried samples as well as in the fresh. The total free amino acid was greatly reduced after cooking and drying ranging from $76.3\%$ to $79.7\%$ loss to that of tile fresh. The content of betaine shelved the same tendency as in total free amino acid while TMA slightly increased relating to TMAO decrease during broil-frying. Such nonvolatile organic acids as succinic, lactic, malic and fumaric acid were abundant in both fresh and broiled-dried samples whereas oxalic and pyruvic acid were poor. It is found that the taste compounds of broiled-dried Mytilus coruscus and Mytilus edulis were composed of amino acids as glycine, serine, alanine, glutamic acid, arginine, and betaine, TMAO, ADP, AMP, and organic acids such as succinic acid, lactic acid, malic acid and fumaric aci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aste compounds between male and female as well as between Mytilus coruscus and Mytilus edulis was not observed.

  • PDF

오가피(五加皮)의 지방산(脂肪酸) 및 유기산(有機酸) 조성(組成) (Composition of Fatty Acid and Organic Acid in Acanthopanax)

  • 신응태;김창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403-405
    • /
    • 1985
  • 우리나라산 오가피의 과실, 줄기 및 뿌리중의 지방산 및 유기산의 조성을 분석하였다. 부위별 주요지방산은 oleic, linoleic 및 palmitic acid였으며. 이들 지방산의 함량은 총지방산의 약86-98%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부위에 따라 주요지방산의 함량은 차이가 심하였고 또한 과실의 경우는 품종에 따라 차이가 심하였다. 오가피의 과실에서는 citric, maleic, succinic, malonic, fumaric 및 malic acid등 6종류의 유기산이 분리, 동정되었는데 그중에서 mal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이들 함량도 지방산과 같이 오가피 품종에 따라 차이가 심하였다. 줄기와 뿌리에서는 과실에서 분리된 유기산 중에서 malonic과 maleic acid가 각각 검출되지 않았으며, citric acid의 함량이 다같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뿌리 중 총 유기산함량은 과실과 줄기에 비하여 매우 적었다.

  • PDF

수용성 키토산분해물질을 침지액으로 이용한 두부의 저장성 증대 (The Extension of Tofu Shelf-Life with Water-Soluble Degraded Chitosan as Immersion Solution)

  • 전기환;김병용;손태일;함영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76-481
    • /
    • 1997
  • 두부의 저장성에 미치는 수용성 키토산 분해물질의 영향을 알아 보기 위해 두부침지액으로 일반 시중 두부공장에서 사용하는 수돗물, 멸균증류수, 0.5% 키토산 분해물질, 0.5% fumaric acid, 0.5% lactic acid를 사용하여 $4^{\circ}C$에서 냉장저장하면서 pH와 탁도, 그리고 미생물상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수용성 키토산 분해물질을 첨가한 침지액의 경우 총균수가 21일 저장시 $10^{7}\;CFU/mL$에 달해 다른 침지액에 비해 7일에서 14일의 저장기간 연장을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초기 오염 미생물의 lag phase가 다른 군에 비해 상당히 길어진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Yeast와 mold, 그리고 E. coli의 경우도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0.5% 키토산 분해물질 첨가 침지액의 경우가 다른 침지액의 경우보다 증가율이 적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수용성 키토산 분해물질의 항균효과를 잘 보여주고 있다. 초기 pH는 0.5% fumaric acid와 lactic acid의 경우 pH 4.68과 pH 5.12로 상당히 낮았으며, 수돗물과 멸균증류수, 0.5% 키토산 분해물질 첨가 침지액에서는 pH 7.2로 비슷하였고, 저장 초기에 약간 감소하다가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탁도의 변화는 미생물상의 변화와 연관시켜 두부가 부패된 것으로 간주되는 총균수 $10^{7}\;CFU/mL$이상에서 0.2를 초과해 탁도가 두부부패정도를 파악하는 한 척도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상기 결과로부터 항균성을 가지는 수용성 키토산 분해물질을 첨가한 두부 침지액의 개발은 두부의 저장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대추 (Zizyphus jujuba MILLER)의 저장중(貯藏中) 화학성분변화(化學成分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of Dried Jujube (Zizyphus jujuba MILLER) during Storage)

  • 이희봉;김성열
    • 농업과학연구
    • /
    • 제15권1호
    • /
    • pp.95-113
    • /
    • 1988
  • 건조(乾操)대추의 저장기간중(貯藏期間中)에 나타나는 갈변현성(褐變現象)과 화학성분(化學成分)의 변화(變化)를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4품종(品種)의 신선(新鮮)한 대추를 수집(蒐集)하여 일반화학성분(一般化學成分)을 분석(分析)하여 품종간(品種間)의 성분함량(成分含量)을 비교(比較)하고 이들중 보은(報恩)대추를 천일(天日) 건조(乾燥)하여 상온(常溫)에서 12개월(個月)동안 저장(貯藏)하면서 경시적(經時的)으로 색상(色相), 적정산도(滴定酸度), pH, vitamin C, 유기산(有機酸) 총(總) amino산(酸), 유리(遊離) amin산(酸), 유리당(遊離糖), hydroxymethyl furfural (HMF) 및 phenol 화합물(化合物)들을 분리정량(分離定量)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신선(新鮮)한 대추의 일반화학성분중(一般化學成分中) 수분(水分) 외(外)에는 당질(糖質)(22-28g)과 vitamin C(62-72mg)의 함량(含量)이 많았으며 품종간(品種間)에는 큰 차이(差異)가 나타나지 않았다. 2. 건조(乾操)대추의 갈색도(褐變度)는 저장기간(貯藏期間)에 따라 증자처리구(蒸煮處理區) 비처리구(非處理區) 모두 크게 증가(增加)되었다. 3. 신선(新鮮)한 대추의 vitamin C 함량(含量)은 297.4mg%DB이었으나 건조(乾操)한 후(後) 12개월(個月) 저장(貯藏)하였을 때는 20.2mg%DB로 약(約) 93%가 소실(消失)되었다. 4. 유기산(有機酸)은 oxalic acid, succinic acid, fumaric acid, malic acid, citric acid의 5종(種)이 동정(同定)되었고 저장중(貯藏中)의 함량변화(含量變化)는 fumaric acid만이 증가(增加)되었고 나머지 4종(種)의 유기산(有機酸)은 감소(減少)하였다. 5. 총(總) amino산(酸)은 17종(種)이 동정(同定)되었고 이들중(中) 주요(主要) amino산(酸)은 proline, threonine, glutamic acid, lysine이었으며 저장기간중(貯藏期間中) 총(總)aminol산(酸)은 약(約) 30% 감소(減少)되었다. 6. 유리(遊離) amino산(酸)은 threonine, proline, alanine, valine의 4종(種)이 동정(同定)되었으며 proline의 함량(含量)이 특(特)히 많았고 저장기간(貯藏期間中)중 평균(平均) 85%가 감소(減少)하였다. 7. 건조(乾操)대추의 유리당(遊離糖)은 fructose, glucose, sucrose로 구성(構成)되었 으며 12개월(個月) 저장(貯藏)하였을 때 유리당(遊離糖)의 총(總) 함량(含量)이 24% 감소(減少)하였으며 sucrose는 4개월(個月) 이후(以後)에는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8. 저장중(貯藏中)의 대추에서 HMF를 분리동정(分離同定)하였으며 저장기간(財藏期間)에 따라 그 함량(含量)은 현저(顯著)하게 증가(增加)하였다. 9. 건조(乾燥)대추의 phenol 화합물(化合物)로는 caffeic acid, ferulic acid, P-coumaric acid의 3종(種)이 동정(同定)되었고 그 함량(含量)은 저장기간중(貯藏期間中)에 상당(相當)한 양(量)이 감소(減少)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