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ll-term

검색결과 689건 처리시간 0.504초

장기 모니터링 환경에서 센서 패키징 방법에 따른 광섬유 센서의 신호 안정성 평가 (Evaluation of Signal Stability of Fiber Optic Sensors with respect to Sensor Packaging Methods in Long-Term Monitoring)

  • 강동훈;김헌영;김대현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81-287
    • /
    • 2016
  • 다중화와 절대측정이 가능한 광섬유 브래그 격자(FBG) 센서는 다양한 분야의 건전성 모니터링에 활용되고 있으며, 패키징을 통한 빠른 상용화가 진행 중이다. 하지만, 장시간 구조 건전성 모니터링시 FBG 센서는 반복 열하중에 노출되며 이는 센서의 신호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어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FBG 센서의 브래그 격자 부분에 대한 두 가지 패키징 방법(양단 접착, 직접 접착)에 대해 반복 열하중이 신호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20^{\circ}C{\sim}60^{\circ}C$의 온도 조건에서 300사이클 동안 FBG 센서의 브래그 파장, 광 강도값, 반너비값 등의 신호 특성을 관찰하였으며 직접 접착에 대해 수행한 선행 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두 가지 패키징 방법에 대한 신호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시험 결과, 장기간 반복 열하중이 가해지는 환경에 노출된 FBG 센서의 경우 양단 접착이 직접 접착보다 신호 안정성이 더 높기 때문에 FBG 센서의 패키징시 양단 접착 방식이 더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국제항공법상 정신적 손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ntal Injury Suffered by Passengers in International Air law)

  • 조홍제;안진영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5-95
    • /
    • 2010
  • 'lesion corporelle'의 직역에 대한 의견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그것의 의미와 정신 또는 정신적 상해의 다양한 문맥상 적용함에 있어서는 분명하지 못하다. 미국 법원은 Floyed 사건이 바르샤바 협약 제17조에 따라 정신적 상해를 포함하는 범위에 대한 배상을 허용한 이후로 신체적 상해의 관련 또는 동반 여부에 따라 다르게 결정하고 있다. 대부분의 법원은 동 협약에 따라 순수한 감정적 손해에 대해서는 배상이 불가능하다는 의견에는 일치한다. 또한 신체적으로만 나타나는 증상 예를 들어 체중이 감소하거나 불면증과 같은 경우에는 감정적인 손해에 대한 배상을 인정하지 않는데 동의한다. 동시에 감정적 손해가 신체적 상해로부터 야기된 경우에는 그에 대한 배상에 동의한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는 바르샤바 협정의 용어가 그대로 유지되고 있어 많은 국가들의 판례가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어 조약의 본래의 목적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정신적 상해와 관련된 PSTD 등의 사안은 현 바르샤바에 따르든지, ICAO에서 제안한 새로운 협약에 따르든지 그 여하를 불문하고 '신체적 상해'라는 용어 내에서 법원이 정신적 고통과 관련된 과학적 증거와 그 적용문제에 있어서 감당할 준비가 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점들을 종합해 볼 때 현재의 바르샤바 협정 제17조의 '신체적 상해'라는 개념은 '정신적 상해'까지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향후 조약에서 '신체적 상해'라는 용어는 '상해' 혹은 '건강훼손'이라는 용어로 개정 내지 교체해야 할 것이다.

  • PDF

연속철근 콘크리트궤도의 횡균열이 열차 하중에 의한 응력 분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ansverse Cracks on Stress Distributions of Continuously Reinforced Concrete Tracks Subjected to Train Loads)

  • 배성근;최성철;장승엽;차수원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355-364
    • /
    • 2014
  • 연속철근 콘크리트궤도에서는 온도 및 수분 변화에 따른 구속응력에 의해 횡균열이 발생한다. 이러한 균열은 연속철근 콘크리트궤도의 거동과 장기 공용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횡균열이 콘크리트궤도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균열 관리 기준을 보다 합리적으로 결정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연속철근 콘크리트궤도에 열차하중이 작용할 때 균열이 발생한 궤도 슬래브(TCL)와 기층(HSB)의 응력 분포를 3차원 유한요소해석 모델을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해석 결과에 따르면 균열 깊이가 증가할 경우 TCL의 휨응력과 TCL-HSB 경계부 수직응력이 증가하고, 균열이 슬래브를 관통할 경우 TCL 균열부에서 철근 주변에 국부적으로 수직 응력이 커져 장기적으로 펀치아웃 발생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 반면 균열폭과 간격의 영향은 균열 깊이에 비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균열폭과 간격만 관리하는 것보다는 균열 깊이를 동시에 관리할 필요가 있다. 또한 HSB 수축 줄눈의 위치를 침목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장기 공용성 확보에 더 유리하다.

Short-Term Outcomes of Laparoscopic Proximal Gastrectomy With Double-Tract Reconstruction Versus Laparoscopic Total Gastrectomy for Upper Early Gastric Cancer: A KLASS 05 Randomized Clinical Trial

  • Hwang, Sun-Hwi;Park, Do Joong;Kim, Hyung-Ho;Hyung, Woo Jin;Hur, Hoon;Yang, Han-Kwang;Lee, Hyuk-Joon;Kim, Hyoung-Il;Kong, Seong-Ho;Kim, Young Woo;Lee, Han Hong;Kim, Beom Su;Park, Young-Kyu;Lee, Young-Joon;Ahn, Sang-Hoon;Lee, In-Seob;Suh, Yun-Suhk;Park, Ji-Ho;Ahn, Soyeon;Han, Sang-Uk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22권2호
    • /
    • pp.94-106
    • /
    • 2022
  • Purpose: Laparoscopic proximal gastrectomy with double-tract reconstruction (LPG-DTR) is a function-preserving procedure performed for treating upper early gastric cancer (EGC). However, few studies have compared the outcomes of LPG-DTR with those of laparoscopic total gastrectomy (LTG). This study aimed at comparing the short-term outcomes of LPG-DTR between LTG and upper EGC. Materials and Methods: For upper-third EGC, a multicenter,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was performed to compare those who underwent LPG-DTR with those who underwent LTG. Short-term outcomes, including clinicopathologic results, morbidity, mortality, and postoperative courses, were evaluated using a full analysis set based on the intention-to-treat principle and the per-protocol set. Results: Of the patients, 138 who fulfilled the criteria were randomized to each group. One patient in the LPG-DTR group withdrew consent. Sixty-eight patients underwent LPG-DTR and 69 underwent LTG. The operative time (LPG-DTR=219.4 minutes; LTG=201.8 minutes; P=0.085), estimated blood loss (LPG-DTR=76.0 mL; LTG=66.1 mL; P=0.413), and the morbidity rate (LPG-DTR=23.5%; LTG=17.4%; P=0.373) between the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No mortality occurred in either of the study groups. Two weeks post operation, the Visick scores for postprandial symptoms, including reflux symptom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P=0.749). Laboratory findings on postoperative day 5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s: The short-term outcomes of LPG-DTR for upper EGC were comparable to those of LTG.

만삭아에서 발생한 상부 위장관 출혈의 내시경적 진단과 치료 (Endoscopic Findings of Upper GI Bleedings in Full Term Newborn Infants)

  • 임석호;이혜경;민용식;김한진;김영창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4권2호
    • /
    • pp.142-147
    • /
    • 2001
  • 목적: 선행 질환 없이 상부 위장관 출혈이 발생한 만삭아에서 내시경을 이용한 원인 질환의 진단과 치료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8년 7월에서 2001년 4월까지 만 2년 9개월 동안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천안병원 신생아실에 토혈을 주소로 입원한 신생아를 대상으로하였고, 모체혈액 흡인, 미숙아, 패혈증, 신생아 출혈성 질환 등의 선행질환이 있는 환아는 제외하였다. 병록지를 근거로 과거력, 분만력, 가족력, 임상증상, 검사소견, 내시경소견, 치료경과 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총 9례로 임신 주수는 38~41주이었고 출생체중은 2,730~3,400 g이었다. 입원 후 24시간 내에 위 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수기에 따른 부작용은 없었다. 총 9례 중 6례에서 위궤양, 2례에서는 다발성 미란이 발견되었고 1례에서는 원인규명이 어려웠다. 위궤양 6례 중 4례는 다발성이었고 이중 2례에서는 내시경적 지혈술을 시행하였으며 총 9례 모두 보존적 치료로 완치되었으며 5례에서는 수혈을 받았고 재발은 없었다. 결론: 선행 질환이 없는 만삭아의 상부 위 장관출혈의 원인은 다발성 위궤양이 흔하며 그 예후는 양호하였다. 신생아의 위장관 출혈의 원인과 치료에 위내시경 검사가 유용하였다.

  • PDF

입원중인 조기 진통 임부의 신체적, 정서적 상태와 간호요구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hysical and Emotional Status, and Nursing Needs of the Pregnant Women Hospitalized by Premature Labor.)

  • 이평숙;유은광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88-105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physical and emotional status, and nursing needs of the pregnant women who were hospitalized by premature labor. The research respondents were 96 from four university hospitals located in Seoul, from June 30, 1996 to September 15, 1995. The research instrument was consisted of 14 items of physical status(discomforts) (Cronbach's=0.86), 17 items of emotional status (Cronbach's=0.89), 33 items of nursing needs (Cronbach's=0.94), and they were measured by 5 level of Likert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s the statistical techniques in the program of SPSS/$PC^+$.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 1. The perception of physical status was mainly about physicl discomforts during the hospital stay. It included four categories about 'absolute bed rest' 3.48, 'hospital foods' 3.38, 'health care teams' 2.93, 'hospital environment' 2.83 in order of mean of discomforts. The most discomfortable one was "malodor by not doing personal hygiene." The next one was "urination and defecation on the bed using bedpan." 2. The perception of the emotional status was about negative mood related to 'fetus', 'hospitalization' perse, 'personal situation.' The highest score of negative mood was "I am afraid that the baby's condition will be bad if I deliver it before full term." The next one was "I am anxious about whether my baby will be in incubator if I deliver it before full term." 3. The highest mean score among items of nursing needs was "Nurses observe whether the labor come or not with concerns." The next one was "Nurses observe the fetal movement and check up the fetal heart sound." The lowest one was "Nurses help me when I need bedpan." 4. Nursing needs were consisted of four categories : professional, educational, emotional, and physical. The mean score of them was high in professional, educational, emotional, and physical need in order. 5. The physical status was related to "Experience of treatment for maintenance of pregnancy" and "Experience of hospitalization by premature labor". The emotional status was related to "Type of delivery" and "Type of habitation." 6. In the correlation of physical and emotional status, i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m. The higher score of physical discomfort, the higher score of negative mood(r=0.5113, p=0.0001).

  • PDF

한방처방제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xtracts from Korean Traditional Medicinal Prescriptions)

  • 이성규;이은주;박우동;김종부;최상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24-63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민간 및 한방에서 관절염 치료 처방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한방처방제 16종을 선정하여 향후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기능성식품의 개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한방처방제로부터 물, 에탄올 및 효소처리추출물을 제조하고 그들의 항산화 및 항염증활성을 in vitro assay system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16종 한방처방제의 각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10.03-78.03 mg/g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이 중 마행의감탕(7번)의 에탄올추출물이 78.03 mg/g으로 16종의 한방처방제 중 가장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보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경우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결과와 달리 효소추출물에서는 폴리페놀 추출 함량이 낮아지거나 비슷한 수치를 보였지만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경우 마행의감탕(7번)을 제외한 나머지 15종의 한방처방제에서 열수 및 에탄올추출물보다 효소추출물에서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마행의감탕(7번) 추출물에서 DPPH 및 ABTS 라디컬 포착활성과 COX-2 저해활성도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효소추출물에서는 의의인탕(14번)이 가장 높은 COX-2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마행의감탕 및 의의인탕을 관절염 치료 한방처방제로 개발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되며, 향후 보다 상세한 그들의 항산화 및 항염증활성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한방병원에 내원한 산후병 환자의 특성 및 증상에 대한 분석 (Analysis on Outpatients with Postpartum Disease at the Korean Gynecology Clinic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Hospital)

  • 황영식;박남춘;이진욱;양혜린;박승혁;황덕상;이진무;이창훈;장준복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61-78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characteristics of outpatients with postpartum disease and provide a treatment instruction in the clinical field. Method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outpatients with postpartum disease, We searched medical records from January 1, 2015 to December 31, 2017 using Z34 (Supervision of normal pregnancy), O94 (Sequelae of complication of pregnancy), U327 (産後風) and 388 postpartum patients were analyzed. Results: 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re as follows. The average age was $33.73{\pm}3.62$ years old, 356 (91.75%) patients are full term pregnancy, 201 (51.81%) patients are first delivery, 79 (20.36%) patients had past history of abortion and 63 (16.24%) patients had past history of gynecologic disease. 2. The most subjects visited in April (10.31%). The mean duration from delivery date to visiting date was $131.5{\pm}214.6$ days. The mean number of visits after the initial visit was $1.91{\pm}1.7$. 3. The characteristics related with pregnancy and delivery are as follows. The number of subjects taken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was 19 (4.9%) and suffering from gestational disease was 28 (7.22%). The mean body weight difference between full term pregnancy and visiting date was $-8.24{\pm}3.57kg$. The number of subjects discharging lochia on visiting date was 167 (43.04%) and breastfeeding was 262 (67.53%). 4. The most chief complaint was arthralgia in 217 (55.93%) followed by general weakness, cold sensation, edema, sweating disorder, dizziness, lower abdominal pain, digestion disorder, heat sensation, defecation disorder and urination disorder. 5. The most accompanied symptom was arthralgia in 322 (82.99%), followed by sleep disorder, cold sensation, general weakness, sweating disorder, defecation disorder, edema, dizziness, digestion disorder, urination disorder, lower abdominal pain and heat sensation. 6. A total of 356 subjects were taken herbal medicine. The most prescribed herbal medicine to subjects was Gungguijohyeol-eum-gamibang (29.59%). Conclusions: These results could be helpful to diagnose and treat postpartum patients in Korean gynecologic clinical fields.

성선 자극호르몬의 비율이 인간난자의 체외수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Significance of Gonadotropin Ratio in In Vitro Fertilization of Human Oocytes)

  • 문신용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15권2호
    • /
    • pp.135-147
    • /
    • 1988
  • To compare the stimulation effect of the ratio in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and luteinizing hormone in induction of multiple follicular growth, the serum $E_2$ level, the diameter of follicle, number of aspirated follicles and cleavage rate of in vitro fertilized preovulatory oocytes as well as the pregnancy rate were evaluated. Forty one patients with irreparable tubal disease were stimulated by hMG(n=24) or FSH/hMG(n=17) for the purpose of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Serum estradiol($E_2$) levels on the day of hCG administration were $921.0{\pm}353.3\;pg/ml$ in hMG group and $1272.9{\pm}1060.6\;pg/ml$ in FSH/hMG group. The serum $E_2$ value of hMG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FSH/hMG group. 2. The diameter of leading follicle by ultrasonogram on the day of hCG administration were $16.2{\pm}2.0\;mm$ in hMG group and $16.2{\pm}2.6\;mm$ in FSH/hMG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follicle diameter between two groups was demonstrated. 3. The number of follicles with diameter above 10 mm by sonogram on the day of hCG injection were $3.91{\pm}2.32$ in hMG group and $6.52{\pm}3.86$ in FSH/hMG group.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number of follicles between two groups, (p< 0.01). 4. The number of oocytes found per patient at aspiration were $2.59{\pm}1.00$ in hMG group and 3. $76{\pm}2.31$ in FSH/hMG group.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number of aspirated oocytes between two groups. (p< 0.05). 5. The detection rate of preovulatory oocyte at aspiration were 68.4%(39/57) in hMG group (n=22) and 77.6%(38/49) in FSH/hMG group (n=13). 6. The cleavage rate of preovulatory oocyte at 44 hours after insemination were 74.4%(29/39) in hMG group(n=22) and 81.6%(31/38) in FSH/hMG group (n=13). When only hMG was used, one pregnancy was established in 15 patients to whom 29 zygotes were transferred. And a full term normal female baby was delivered by elective cesarean section. In the FSH/hMG group, five pregnancies out of 9 transferred patients were confirmed by serum ${\beta}-hCG$. Two pregnancies were spontaneously aborted before the 6th week of pregnancy. One patient aborted her baby at the 18th week of pregnancy because of incompetent internal os of the cervix. Two patients delivered two full term babies by elective cesarean section. From the above findings, paralell with the increase in the ratio of exogenous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to luteinizing hormone, an increase in oocyte recovery was observed as well as an improvements in pregnancy rate. It was concluded that FSH enrichment early in the follicular phase had a beneficial effect in the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 PDF

미숙아로 출생한 유아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정도와 영향요인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arly Childhood of Premature Children)

  • 임은희;주현옥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37-45
    • /
    • 2015
  • 목적 본 연구는 미숙아로 태어난 유아와 정상아로 태어난 유아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을 비교하고, 미숙아로 태어난 유아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이들의 유아기 건강 관련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방법 연구 방법은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자는 인터넷 카페에서 미숙아로 출생한 유아의 부모 80명과 정상아 부모 83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TNO-AZL에서 개발한 TAPQOL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미숙아로 태어난 유아의 삶의 질 점수는 100점 만점에 80.6점(${\pm}9.9$)이었으며, 정상아로 태어난 유아의 삶의 질 점수는 85.0점(${\pm}8.3$)으로, 미숙아 집단이 정상아 집단에 비해 삶의 질 점수가 4.4점(${\pm}1.4$) 낮았다. 미숙아 집단이 정상아 집단에 비해 삶의 질 점수가 낮은 영역으로는 운동기능, 불안, 긍정적 기분, 활기참 및 의사소통 등이었다. 두 집단간 삶의 질 점수 차이가 가장 큰 영역은 운동기능과 의사소통이었다. 미숙아로 태어난 유아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신생아실 입원기간(7일 이상)'과 '출생체중(1,000 g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두 변수의 설명력은 17%였다. 즉, 신생아실 입원기간이 7일 미만이고, 출생 시 체중이 1,000 g 이상인 아동이 그렇지 않은 아동보다 건강 관련 삶의 질 점수가 높았다. 결론 미숙아로 태어난 아동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은 이들의 출생 시 체중 및 신생아실 입원기간 등이 영향을 미치므로 미숙아 추후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출생체중, 재태기간 및 신생아집중치료실 입원기간 등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