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ji cultivar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38초

식미가 우수한 중과형 사과 '피크닉' 육성 ('Picnic', a New Mid-season Apple Cultivar with Medium Size and Good Taste)

  • 권순일;박종택;이정우;김목종;김정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5호
    • /
    • pp.784-788
    • /
    • 2015
  • 신품종 '피크닉'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1994년 '후지'에 '산사'를 인공교배하여 얻은 실생 중 유망한 계통을 2003년 예비선발하여 2004년부터 2008년까지 5년간 '원교 가-34호'로 군위 등 5개 지역에서 지역적응시험을 거쳐 2008년에 최종 선발한 품종이다. 과실의 적숙기는 9월 하순이고 과형은 원추형, 과피는 붉은색, 바탕색은 녹황색, 과육은 황백색이다. 과중은 평균 233g이며, 가용성고형물 함량은 $13.8^{\circ}Brix$, 산 함량은 0.43%로 당산미가 조화로워 식미가 우수하다. 탄저병에 약하고 갈색무늬병이 발생하기 쉽다. '피크닉'은 우리나라 주요 품종인 '후지', '홍로', '쓰가루' 품종과 교배친화성이 있다. 수세가 약하고, 수자는 반개장성이다.

사과의 수령(樹齡), 지역(地域) 및 부위(部位)에 따른 Peroxidase 동위효소(同位酵素)의 변동(變動)과 품종간(品種間) 및 그 교잡묘간(交雜苗間)의 차이(差異) (Electrophoretic Studies of Peroxidase Isoenzymes for Ages, Locations, Organs, Cultivars and Hybrids in the Apple Trees)

  • 정근옥;김영래
    • 농업과학연구
    • /
    • 제16권1호
    • /
    • pp.26-35
    • /
    • 1989
  • 사과의 수령(樹齡), 지역(地域) 및 부위(部位)에 따른, 그리고 주요(主要) 6개(個) 품종(品種)(국광(國光), 후지, 홍옥(紅玉), 스타킹, 골덴 델리셔스, 쓰가루) 및 그들의 교잡개체(交雜個體)의 peroxidase isoenzyme pattern의 차이(差異)를 조사(調査)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후지품종(品種)의 수령(樹齡)은 zymogram에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았다. 2. 후지와 쓰가루 두 품종(品種)의 zymogram은 재식지(栽植地)에 따라 차이(差異)가 없었다. 3. 후지와 쓰가루 두 품종(品種)의 가지와 잎의 zymogram은 뚜렷한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되었으나 채취부위별(採取部位別) 재식지(栽植地)에 따른 차이(差異)는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4. 국광(國光), 후지, 홍옥(紅玉), 스타킹, 골덴 델리셔스, 쓰가루 등(等) 여섯 품종(品種)에서 그 품종(品種) 고유(固有)의 zymogram이 관찰(觀察)되었다. 5. 교잡개체(交雜個體)의 zymogram은 1) 양친(兩親)의 band를 모두 갖고 있는 형(形), 2) 양친(兩親)의 band 중(中) 일부(一部)를 소실(消失)한 형(形), 3) 양친(兩親)에는 없는 새로운 band를 갖고 있는 형(形)으로 분류(分類)되었다.

  • PDF

분말가공법에 따른 국내산 사과껍질분말의 총페놀, 총플라보노이드 및 항산화능 비교 (Comparison of Total Phenolics, Total Flavonoids Contents, and Antioxidant Capacities of an Apple Cultivar (Malus domestica cv. Fuji) Peel Powder Prepared by Different Powdering Methods)

  • 윤소정;이진규;이형재
    • 산업식품공학
    • /
    • 제21권4호
    • /
    • pp.326-331
    • /
    • 2017
  • 과일에는 플라보노이드, 탄닌, 카테킨 등의 폴리페놀 뿐만 아니라 여러 항산화능과 관련된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과일의 껍질에는 과육부분보다 2-9배 이상 높은 각종 기능성 성분이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국내에서 사과는 가장 많이 생산되는 과일 중에 하나이며, 사과껍질에는 quercetin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 사과껍질의 항산화능을 분석하거나 이를 이용하여 식품에 적용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산 사과껍질 원물 균질액, 동결건조분말, 열풍건조분말 및 초미세분말의 총페놀함량(TPC), 총플라보노이드함량(TFC), ABTS radical 소거능(ABTS), DPPH radical 소거능(DPPH)을 비교하고, 이를 통해 사과껍질을 식품 소재로 활용 시 최적 분말화 및 추출조건을 알아보고자 했다. TPC는 동결건조분말, 열풍건조분말의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TFC는 초미세분말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ABTS 라디컬 소거능은 초미세분말에서, DPPH 라디컬 소거능은 동결건조분말에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동일 품종의 사과껍질을 사용한 경우 원물의 가공방법 및 추출조건에 따라 각 기능성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중, 초미세분말에서 TFC와 ABTS 라디컬 소거능이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낸 것을 볼 때, 분말화 방법 등 가공조건의 차이에 의해 개발된 중간소재의 여러 기능성에서 차이가 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기능성이 향상된 분말화된 식품중간소재 개발 시 여러 가공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선택성 제초제 Glufosinate-ammonium 오용이 사과나무의 품종별 생육반응 및 수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pple Tree Growth and Apple Yield from the Misuse of Non Selective Herbicide, Glufosinate-ammonium)

  • 이인용;박용석;김성민;강철아;전병철;박재읍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54-459
    • /
    • 2010
  • 비선택성 제초제인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액제를 농작업자의 오판에 의한 오용으로 사과나무에 직접 살포된 경우 품종별, 수령별로 나타나는 약해반응과 수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사과나무 품종에 따라 약해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약제살포 당해연도에는 산사 > 쓰가루 > 홍로 > 후지 순으로, 약제살포 다음해에는 후지 > 쓰가루 > 홍로 > 산사 순으로 피해가 나타났으나, 그 피해정도는 당년에 비해 경미하였다. 이듬해, 후지에서는 꽃과 착과정도에서만 30%정도 감소하였으나 쓰가루, 홍로, 산사에서는 개화상태, 착과율 등에서 전혀 피해증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약해를 받은 당년에 조생종 쓰가루와 중만생종후지 대상으로 각각 수확기 10일전에 사과 중 잔류량을 검사한 결과, 잔류량은 검출한계(0.04ppm) 미만이었다. 그리고 오용 2년 후(2009년)에는 후지, 쓰가루, 홍로, 산사 모두에서 약해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Cloning and Phylogenetic Characterization of Coat Protein Genes of Two Isolates of Apple mosaic virus from ¡?Fuji¡? Apple

  • Lee, Gung-Pyo;Ryu, Ki-Hyun;Kim, Hyun-Ran;Kim, Chung-Sun;Lee, Dong-Woo;Kim, Jeong-Soo;Park, Min-Hye;Noh, Young-Mi;Choi, Sun-Hee;Han, Dong-Hyun;Lee, Chang-Ho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8권5호
    • /
    • pp.259-265
    • /
    • 2002
  • Apple mosaic virus (ApMV), a member of the genus Ilarvirus, was detected and isolated from diseased 'Fuji' apple (Malus domestica) in Korea. The coat protein (CP) genes of two ApMV strains, denoted as ApMV-Kl and ApMV-K2, were amplified by using the reverse transcription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were analyzed thereafter. The objectives were to define the molecular variability of genomic information of ApMV found in Korea and to develop virus-derived resistant gene source for making virus-resistant trans-genic apple. RT-PCR amplicons for the APMVS were cloned and their nucleotide sequences were determined. The CPs of ApMV-Kl and ApMV-K2 consisted of 222 and 232 amino acid residues, respectively. The identities of the CPs of the two Korean APMVS were 93.1% and 85.6% at the nucleotide and amino acid sequences, respectively. The CP of ApMV-Kl showed 46.1-100% and 43.2-100% identities to eight different ApMV strains at the nucleotide and amino acid levels, respectively. When ApMV-PV32 strain was not included in the analysis, ApMV strains shared over 83.0% and 78.6% homologies at the nucleotide and amino acid levels, respectively. ApMV strains showed heterogeneity in CP size and sequence variability. Most of the amino acid residue differences were located at the N-termini of the strains of ApMV, whereas, the middle regions and C-termini were remarkably conserved. The APMVS were 17.(1-54.5% identical with three other species of the genus Ilarviyus. ApMV strain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subgroups (subgroups I, II, and III) based on the phylogenetic analysis of CP gene in both nucleotide and amino acid levels. Interestingly, all the strains of subgroup I were isolated from apple plants, while the strains of subgroups II and III were originated from peach, hop, or pear, The results suggest that ApMV strains co-evolved with their host plants, which may have resulted in the CP heterogeneity.

저온 및 저온경과시간이 사과나무 왜성대목 및 주요품종의 내동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Low Temperature and Chilling Time on Freezing Hardness of Apple Dwarf-rootstocks and Main Cultivars in Korea)

  • 권헌중;사공동훈;송양익;박무용;윤태명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9-71
    • /
    • 2014
  • 본 시험은 왜성대목, 품종 및 저온에 따른 사과나무의 내동성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왜성대목은 M.9와 M.26이었고, 조사품종은 조생종인 '쓰가루', 중생종인 '홍로', 만생종인 '후지'였다. 저온처리는 $0^{\circ}C$부터 $-40^{\circ}C$ 사이였다. 조사부위는 대목, 원줄기, 측지, 꽃눈 및 잎눈이었다. 조사항목은 수분손실률, 전해질 누출률 및 발아율이었다. 결과를 살펴보면, 왜성대목에 따른 수분손실률, 전해질 누출률 및 발아율의 차이는 없었다. '후지'의 수분손실률은 '쓰가루' 및 '홍로'보다 낮았으나, 발아율은 '후지'가 '쓰가루' 및 '홍로'보다 높았다. 처리온도별 수분손실률과 전해질 누출률은 처리온도가 낮을수록 증가하였으나, 발아율은 반대로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35^{\circ}C$ 처리에서 대목과 원줄기부위의 발아율은 측지부위보다 높았으며, 꽃눈의 발아율은 잎눈보다 낮았다. $-10^{\circ}C$에서의 경과일수에 따른 과대지의 발아율은 28일에 100%되었다가 35일에 50%정도로 급격하게 낮아졌다. 결론적으로, M.9과 M.26의 내동성 차이는 없었으나, 만생종의 내동성은 조, 중생종보다 큰 경향이 있었다. 꽃눈의 내동성은 $-30^{\circ}C$이하에서 급격하게 약해졌다.

우리나라산 일부 사과 품종의 유리당 함량 (Free Sugars Content of Selected Korean Apple Cultivars)

  • 김천회;황혜정;구자일;박기환;윤광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2-27
    • /
    • 2006
  • 우리나라 사과의 품종별 HPLC법으로 산출한 총당 함량은 쓰가루 평균 9.62%, 후지 11.79%, 홍옥 11.20% 그리고 신흥 11.59%이었다. 전국의 총당 함량분포는 최소 8.91%(대구 산 쓰가루)에서 최고 13.08%(수원 산 후지)이었다. 유리당과 sorbitol의 함량 분포는 전국적으로 sucrose 0.72-3.26%, glucose 1.81-3.54%, fructose 5.08-6.96% 그리고 sorbitol 0.22-0.96%이었다. 개별 유리당의 품종별 평균함량은 fructose는 쓰가루 5.76%, 후지 6.08%, 홍옥 5.76% 그리고 신흥 6.03%, glucose는 쓰가루 2.60%, 후지 2.74%, 홍옥 2.68% 그리고 신흥 2.53%, sucrose는 쓰가루가 0.94%로서 후지 2.33%, 홍옥 2.29% 그리고 신흥 2.53%, sorbitol은 쓰가루 0.31%, 후지 0.64%, 홍옥 0.45%, 신흥 0.44 이었다. 총당 중의 유리당과 sorbitol 분포비율은 네 가지 품종 모두 fructose가 50%이상의 점유율을 보이며 sorbitol은 5% 미만으로 유사한 패턴을 보이고 있지만 쓰가루는 fructose가 60%를 점유하고 sucrose는 약 10% 정도의 특이한 패턴을 보였다. 품종별 총당(TS+S)에 대한 유리당의 함량비율 sucrose/TS+S는 쓰가루 0.098, 후지 0.198, 홍옥 0.205 그리고 신흥 0.225, fructose/TS+S는 쓰가루 0.600, 후지 0.516, 홍옥 0.515 그리고 신흥 0.521, glucose/TS+S는 쓰가루 0.270, 후지 0.233, 홍옥 0.240 그리고 신흥 0.219이며 이 중 모든 품종의 fructose/TS+S와 glucose/TS+S는 안정적인 지표로 판단되었다. 품종별 총당에 대한 sorbitol의 함유비율(sorbitol/TS+S)은 쓰가루 0.032, 후지0.053, 홍옥 0.041, 신흥, 0.0370로서 품종간의 차이가 인정되었다. 품종 별 fructose와 glucose 함유비율(fructose/glucose)은 쓰가루 2.295, 후지2.244, 홍옥 2.161 그리고 신흥 2.393이었다.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fungicidal spray program for apple production.

  • Lee, Hyun-Jik;Cho, Rae-Hong;Shin, Jung-Sup;Kim, Jung-Nam;Yoon, Ji-Hyun;Uhm, Jae-Youl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109.2-109
    • /
    • 2003
  • A basic spray program for apple in which fungicides are scheduled to spray at 15-day interval from petal fall to late August was formulated on the properties of several selected fungicides. In order to improve it, experimental plots, completely randomized block with 3 replications, were prepared in an orchard of 15 years old Fuji cultivar, and the spray programs in which only one chemical in the basic spray program was substituted with others were applied to each plot. It was revealed that only single substitution of the fungicide in the basic spray program makes a great differences in the control of white rot and bitter rot, and that the control property of the fungicides against the two diseases was quite variable even by the time of application. A simila! ! r trial was conducted in 2002 with a new basic spray program that was formulated with fungicides that have shown best control in each spraying time in the previous trial,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Applying this method, the usefulness of certain fungicide in the spray program for apple could be properly assessed. Anthracnose of Robinia pseudo-acacia L. caused by Collectotrichum spp.

  • PDF

Identification of Differentially Up-regulated Genes in Apple with White Rot Disease

  • Kang, Yeo-Jin;Lee, Young Koung;Kim, In-Ju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5권5호
    • /
    • pp.530-537
    • /
    • 2019
  • Fuji, a major apple cultivar in Korea, is susceptible to white rot. Apple white rot disease appears on the stem and fruit; the development of which deteriorates fruit quality, resulting in decreases in farmers' income. Thus, it is necessary to characterize molecular markers related to apple white rot resistance. In this study, we screened for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between uninfected apple fruits and those infected with Botryosphaeria dothidea, the fungal pathogen that causes white rot. Antimicrobial tests suggest that a gene expression involved in the synthesis of the substance inhibiting the growth of B. dothidea in apples was induced by pathogen infection. We identified seven transcripts induced by the infection. The seven transcripts were homologous to genes encoding a flavonoid glucosyltransferase, a metallothionein-like protein, a senescence-induced protein, a chitinase, a wound-induced protein, and proteins of unknown function. These genes have functions related to responses to environmental stresses, including pathogen infections. Our results can be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molecular markers for early detection of the disease or for use in breeding white rotresistant cultivars.

착과량 수준 및 생육성기 토양수분 함량 변화에 따른 '후지'/M.9 품종의 수액이동 특성 (Xylem Sap Flow Affected by Short-term Variation of Soil Moisture Regimes at Higher Growth Period in 'Fuji'/M.9 Apple Trees with Different Fruit Loads)

  • 박정관;김승희;이인복;박진면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64-169
    • /
    • 2006
  • 착과량을 달리한 '후지'/M.9 품종에서 생육 최성기중 토양수분 변화에 따른 수액 이동 특성과 수체 생리반응을 조사하였다. 적정 착과는 적습 조건인 -50 kPa에서 VPD 및 최대증발산량과 비슷한 양상의 수액이동량을 보였으나 과다 착과는 -50 kPa 및 -80 kPa 조건에서 최대증발산량보다 낮은 수액흡수량을 보였다. 적정 착과는 모든 토양수분 조건에서 최대증발산량보다 일중 $1.06{\sim}3.93L$ 많은 수액이 이동되는 특성을 보였고 과다 착과는 적정 착과보다 토양수분 -50 kPa 조건에서 21%, -20 kPa과 -80 kPa에서 $31{\sim}36%$ 정도 낮은 수액 이동량을 보였다. 착과 처리에 따른 신초생육과 엽면적은 적정 착과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성 있게 높았으나 과다 착과 처리구는 가장 낮았다. 적정 착과 처리구의 엽수분포텐셜은 다른 처리구에 비해 모든 토양수분 조건에서 가장 낮아서 수분소모율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후지'/M.9 품종은 적정 착과량 유지와 더불어 생육성기 중 적습조건을 유지하는 것이 수액이동을 고려할 경우, 증산효율을 높이는데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