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iting Body Formation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24초

The Artificial Cultivation of Oudemansiella mucida on the Oak Sawdust Medium

  • Lee, Geon-Woo;Jaysinghe, Chandana;Imtiaj, Ahmed;Shim, Mi-Ja;Hur, Hyun;Lee, Min-Woong;Lee, Kyung-Rim;Kim, Seong-Hwan;Kim, Hye-Young;Lee, U-Youn;Lee, Tae-Soo
    • Mycobiology
    • /
    • 제35권4호
    • /
    • pp.226-229
    • /
    • 2007
  • To produce fruiting bodies of Oudemansiella mucida, porcelain fungus, on the oak sawdust medium, additives suitable for the mycelial growth and fruiting body formation were screened. In general, the mycelial growth of the three strains of O. mucida used in this study have been good on oak sawdust mixed rice bran of $20{\sim}30%$. The mycelia incubated in potato dextrose broth for 7 days were inoculated on oak sawdust medium supplemented with various ratios of rice bran and incubated for 30 days at $25^{\circ}C$ in the dark condition until the mycelia of O. mucida fully colonized the media from top to bottom. Then, top surface of the media in the bottles were horizontally scratched with a spatula and filled with tap water for 3 hours. To induce the primordial formation of O. mucida, the bottles were transferred to the mushroom cultivating room under 12 hrs of light (350 lux) and dark condition with relative humidity of 95% at $17^{\circ}C$. The primordia of O. mucida were formed on the surface of oak sawdust media after 7 days of incubation. The mature fruiting bodies were observed 5 days after primordial formation. The fruiting bodies O. mucida were formed on oak sawdust medium mixed with 5 to 30% rice bran. However, abundant fruiting-bodies of O. mucida were produced in oak sawdust medium supplemented with 20% rice bran. This is the first report associated with an artificial fruiting body production of O. mucida in Korea.

Paecilomyces japonica 인공 자실체 형성 (The Production of Artificial Fruiting Body of Paecilomyces japonica)

  • 최인영;최정식;이왕휴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2호통권89호
    • /
    • pp.87-93
    • /
    • 1999
  • Paecilomyces japonica의 형태적 특정과 인공자실체 형성방법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형태적 특징으로 포자크기는 $5.0{\sim}7.9{\times}1.5{\sim}2.4{\mu}m$이며, 모양은 ellipsoidal, obovoid를 나타냈고, 인공자실체는 황색, 크기는 $50.6{\sim}104.5mm$이었다. 균사생육은 pH7, $25^{\circ}C$ 조건의 PDA배양이 가장 양호하였다. 배양병 종류에 따른 P. japonica의 배양 및 생육일수는 유리배양병이 50일이 소요되었으나, PP배양병은 30일이었으며, 자실체 생육은 PP배양병에서 자실체 길이가 길어지고, 발이 개수도 많아 1.2g/병 증수효과가 있었다. 조명도에 따른 결과로는 $100{\sim}400\;lx$에서 자실체 생육이 우수하였으며, 특히 100 lx에서 전체수량 대비 자실체 수량이 가장 높은 32.87%로 0.1x에 비해 18.9% 높았다. 또한 빛의 강도가 높을수록 자실체의 분화율이 높았으며, 2500 lx에서는 60.5%의 자실체 분화율을 나타냈다. 광종류에 따른 자실체 생육은 적색등>형광등>백열등>청색 등순이었으며, 자실체 생육을 위한 적정 배지로는 누에 번데기와 곡물배지를 비교한 바 곡물배지 중 우수하였다. $CO_2$ 농도가 자실체 생육에 미치는 영향은 배양병마개를 닫고 생육하였을 때, 자실체 수량이 5.1g/병이 증수되었으며, 전체수량 대비 자실체 수량도 5.8% 증가되었다.Paecilomyces japonica의 형태적 특정과 인공자실체 형성방법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형태적 특징으로 포자크기는 $5.0{\sim}7.9{\times}1.5{\sim}2.4\;{\mu}m$이며, 모양은 ellipsoidal, obovoid를 나타냈고, 인공자실체는 황색, 크기는 $50.6{\sim}104.5\;mm$이었다. 균사생육은 pH7, $25^{\circ}C$ 조건의 PDA배양이 가장 양호하였다. 배양병 종류에 따른 P. japonica의 배양 및 생육일수는 유리배양병이 50일이 소요되었으나, PP배양병은 30일이었으며, 자실체 생육은 PP배양병에서 자실체 길이가 길어지고, 발이 개수도 많아 1.2g/병 증수효과가 있었다. 조명도에 따른 결과로는 $100{\sim}400\;lx$에서 자실체 생육이 우수하였으며, 특히 100 lx에서 전체수량 대비 자실체 수량이 가장 높은 32.87%로 0 1x에 비해 18.9% 높았다. 또한 빛의 강도가 높을수록 자실체의 분화율이 높았으며, 2500 lx에서는 60.5%의 자실체 분화율을 나타냈다. 광종류에 따른 자실체 생육은 적색등>형광등>백열등>청색 등순이었으며, 자실체 생육을 위한 적정 배지로는 누에 번데기와 곡물배지를 비교한 바 곡물배지 중 우수하였다. $CO_2$ 농도가 자실체 생육에 미치는 영향은 배양병마개를 닫고 생육하였을 때, 자실체 수량이 5.1g/병이 증수되었으며, 전체수량 대비 자실체 수량도 5.8% 증가되었다.

  • PDF

매미눈꽃동충하초(Paecilomyces sinclairii)의 균사 생장과 자실체 형성 조건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Conditions for the Mycelial Growth and Fruiting Body Formation of Paecilomyces sinclairii)

  • 심성미;이경림;임경환;이우윤;이민웅;이태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13
    • /
    • 2003
  • 매미누꽃동충하초(Paecilomyces sinclairii)를 전라남도 백양사의 인근 숲에서 채집하여 균주를 순수 분리하고 균사의 최적 배양조건과 특성을 조사하였다. 균사생장에 적합한 pH는 $5{\sim}9$의 범위였으며 pH 8에서 가장 왕성한 균사생장을 보였고, 온도는 $25{\circ}C$가 적합하였다. 균사생장에 가장 적합한 배지는 Hamada 배지였으며 탄소 영양원은 dextrin, 질소 영양원은 glutamine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균사의 생장은 C/N비가 20:1일 때, 옥수수추출물과 우유가 혼합한 배지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자실체는 20%의 누에번데기가 첨가된 현미배지에서 500lux, $25{\circ}C$의 조건으로 배양할 때 가장 자실체 형성이 우수하였다.

팽이버섯의 자실체형성 초기과정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유전자의 클로닝 (Cloning of a Gene Specifically Expressed During Early Stage of Fruiting Body Formation in Flammulina velutipes)

  • 김둘이;동지칙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3호통권90호
    • /
    • pp.187-190
    • /
    • 1999
  • 팽이버섯의 자실체 분화 과정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유전자 분리를 위한 cDNA library는 발이처리 후 7일째 배양한 균사체의 mRNA에 의해 만들어졌다. cDNA클론 FVFD16(Flammulina velutipes fruiting body differentiation)은 자실체 분화 과정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클론으로 differential screening에 의해 선발되었다. Northern 분석에 의해 FVFD16의 발현 특성을 관찰한 결과, 1일과 4일째의 균사체에서 현저한 발현량을 나타내었다. FVFD16의 염기 서열을 검색한 결과, FVFD16의 mRNA는 open reading frame을 포함한 128의 아미노산 잔기(13.5kDa)를 가진 단백질로 추정되었다.

  • PDF

천마버섯(Armillaria gallica) 자실체 조직배양체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cultures isolated from fruiting body tissue in Armillaria gallica)

  • 유영복;오진아;오연이;문지원;신평균;장갑열;공원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63-68
    • /
    • 2013
  • 자연 상태에서 발생한 천마버섯 자실체의 다양한 부위로부터 분리한 조직을 버섯완전배지 및 감자배지에 배양하여 균사생장 속도, 균총 형태, 균사속 형성 정도에 따라 12종류로 구분할 수 있었다. 자실체배양체(fruiting culture isolate; FC)의 균사생장과 균사속은 감자배지보다 버섯완전배지에서 빠르고 잘 형성되었다. 이들을 다시 2차 계대 배양한 결과 버섯완전배지에서 11번 균주가 균총 분리 되면서 다시 분화되어 성장하였다. 균총 분리된 한 쪽의 균총이 12번과 유사하였고 이 12번 균주는 다른 종류와는 전혀 다른 특이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RAPD에 의한 DNA 패턴 분석 결과 자실체 조직배양체는 천마균1호 품종과 동일한 양상을 나타냈으나 12번은 달랐다. 자실체 조직배양체 중에서 기존 천마균1호 품종보다 균사생장과 균사속 형성이 양호한 것을 선발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들 조직배양체는 새로운 우량 계통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Optimal Culture Conditions Affecting the Mycelial Growth and Formation of Paecilomyces fumosoroseus

  • Shim, Sung-Mi;Lee, Kyung-Rim;Kim, Seong-Hwan;Im, Kyung-Hoan;Kim, Jung-Wan;Lee, U-Youn;Shim, Jae-Ouk;Lee, Min-Woong;Lee, Tae-Soo
    • Mycobiology
    • /
    • 제31권4호
    • /
    • pp.214-220
    • /
    • 2003
  • The fruiting body of Paecilomyces fumosoroseus was collected at Mt. Mani, Ganghwa Island, Korea in September, 200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s for the mycelial growth and fruiting body production of P. fumosoroseus in artificial media. The optimal conditions for the mycelial growth were obtained at $25^{\circ}C$ and in the range of pH $6{\sim}9$, respectively. P. fumosoroseus showed the favorable growth on Hamada medium. The carbon and nitrogen source favorable for mycelial growth were dextrin and histidine, respectively. Optimum C/N ratio suitable for optimal growth of P. fumosoroseus was observed on the culture media adjusted to the ratio of 40:1. The mycelial growth of P. fumosoroseus was optimal on corn meal agar supplemented with 30% of silkworm pupae. The most favorable fruiting body formation of P. fumosoroseus was obtained in the medium containing unpolished rice supplemented with 20%(w/w) silk worm pupae at $25^{\circ}C$ under 100 lux.

Stigmatella aurantiaca의 발생에 대한 연구(I) -fruiting body 형성에 미치는 몇가지 양이온과 pheromone 및 GMP의 영향- (Studies on the developement of Stigmatella aurantiaca(I) -Effects of cations, pheromone, and GMP on the fruiting body formation-)

  • 김수옥;김영민
    • 미생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7-66
    • /
    • 1984
  • Stigimatella aurantiaca는 calcium, barium, 또는 lithium이온이 포함된 배지에서는 빛을 비추어 주어도 stalk를 형성하지 않고 포자낭으로만 분화하였다. Calcium이온과 GMP가 함께 첨가된 배지(GMP 배지)에서는 빛의 유무에 관계없이 stalk와 포자낭을 지니는 fruiting body가 형성되었다. Calcium 이온과 pheromone 포함된 배지(pheromone배지)에서는 빛이 있는 경우에는 대부분의 세균들이 stalk로만 분화되었으나, 빛이 없는 경우에는 대부분 포자낭으로만 분화하였다. 세균집합체는 calcium과 potassium 및 sodium이 함꼐 첨가된 배지(CPS배지)에서보다 calcium 이온만 첨가된 배지 (calcium 배지)에서 더 많이 형성되었다. GMP 배지나 pheromone 배지에서는 calcium 배지에서보다 적은 수의 세균집합체가 형성되었고, 빛이 없는 경우에는 이 집합체의 형성이 소요된 시간이 단축되었다. 빛은 상기한 네가지 배지에서 공히 짧은 시간에 더 많은 세균집합체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 PDF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onokaryotic Strains of Lentinula edodes Showing Higher Fruiting Rate and Better Fruiting Body Production

  • Ha, Byeong-Suk;Kim, Sinil;Ro, Hyeon-Su
    • Mycobiology
    • /
    • 제43권1호
    • /
    • pp.24-30
    • /
    • 2015
  • The effects of monokaryotic strains on fruiting body formation of Lentinula edodes were examined through mating and cultivation of the mated dikaryotic mycelia in sawdust medium. To accomplish this, monokaryotic strains of L. edodes were isolated from basidiospores of the commercial dikaryotic strains, Chamaram (Cham) and Sanjo701 (SJ701). A total of 703 matings (538 self-matings and 165 outcrosses) were performed, which generated 133 self-mates and 84 outcross mates. The mating rate was 25% and 50% for self-mating and outcross, respectively. The bipolarity of the outcross indicated the multi-allelic nature of the mating type genes. The mating was only dependent on the A mating type locus, while the B locus showed no effect, implying that the B locus is multi-allelic. Next, 145 selected dikaryotic mates were cultivated in sawdust medium. The self-mated dikaryotic progenies showed 51.3% and 69.5% fruiting rates for Cham and SJ701, respectively, while the fruiting rate of the outcross mates was 63.2%. The dikaryotic mates generated by mating with one of the monokaryotic strains, including A20, B2, E1, and E3, showed good fruiting performance and tended to yield high fruiting body production, while many of the monokaryotic strains failed to form fruiting bodies. Overal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ertain monokaryotic strains have traits enabling better mating and fruiting.

톱밥 및 농업부산물 이용 배지상에서 노루궁뎅이버섯(Hericium erinaceum)의 균사생장 및 자실체형성 (Mycelial Growth and Fruiting Body Formation of Hericium erinaceum in Sawdust and Agricultural By-product Substrates)

  • 고한규;박혁구;김성환;박원목
    • 한국균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89-94
    • /
    • 2004
  • 본 실험은 다양한 농가부산물들이 노루궁데이버섯의 재배를 위한 기질로써 적합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참나무 톱밥, 사탕수수박, 코코낫박, 율무박, 왕겨, 배추, 면자각의 기본 기질들과 미강, 옥수수박의 첨가물을 서로 다른 비율과 조성을 통하여 노루궁뎅이버섯 균주를 접종한 후, 균사생장과 균사밀도, 자실체 생산량, 생물학적 효율을 조사 비교하였다. 참나무 톱밥 80%+미강 20%의 기질이 우수한 균사생장, 균사밀도, 자실체 생산량, 생물학적 효율을 보여 종균용 기질로써 적합하였다. 이러한 기질 조성의 적합성은 병재배법을 이용하는 농가에서 3개 노루궁뎅이버섯 균주를 사용하여 행한 실증실험에서 입증되었다. 그러나 봉지재배법을 이용한 농가 실증시험에서는 면자각 40%+참나무 톱밥 40% 기질에 옥수수 및 미강을 각각 10%씩 영양원으로 첨가한 기질에서 자실체 생산 및 생물학적 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A New Report on Edible Tropical Bolete, Phlebopus spongiosus in Thailand and Its Fruiting Body Formation without the Need for a Host Plant

  • Kumla, Jaturong;Suwannarach, Nakarin;Lumyong, Saisamorn
    • Mycobiology
    • /
    • 제48권4호
    • /
    • pp.263-275
    • /
    • 2020
  • Phlebopus spongiosus is a well-known edible ectomycorrhizal mushroom indigenous to southern Vietnam. The mushroom specimens collected from northern Thailand in this study were identified as P. spongiosus. This identification wa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multi-gene phylogenetic analyses. Pure cultures were isolated and the relevant suitable mycelial growth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ungal mycelia grew well on L-modified Melin-Norkans, and Murashige and Skoog agar all of which were adjusted to a pH of 5.0 at 30 ℃. Sclerotia-like structures were observed on cultures. The ability of this mushroom to produce fruiting bodies in the absence of a host plant was determined by employing a bag cultivation method. Fungal mycelia completely covered the cultivation substrate after 90-95 days following inoculation of mushroom spawn. Under the mushroom house conditions, the highest amount of primordial formation was observed after 10-15 days at a casing with soil:vermiculite (1:1, v/v). The primordia developed into a mature stage within one week. Moreover, identification of the cultivated fruiting bodies was confirmed by both morphological and molecular methods. This is the first record of P. spongiosus found in Thailand and its ability to form fruiting bodies without a host pl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