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it storage

검색결과 438건 처리시간 0.023초

사과의 저장(貯藏)에 관한 연구(硏究) I. 사과저장(貯藏)에 미치는 감마선(線)의 영향(影響)과 Polyethylene Film 포장(包裝)의 병용효과(倂用效果) (Studies on the Storage of Apples I. Effects of Single or Combined Treatments of Gamma-radiation and Polyethylene Film Packing)

  • 박노풍;최언호;이옥휘;김영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81-87
    • /
    • 1970
  • 사과 국광(國光)에 $5{\sim}100$ krad의 ${\gamma}$선(線)을 조사(照射)하고 저장중( 貯藏中) 품질(品質)과 화학성분(化學性分)에 미치는 ${\gamma}$선(線)의 영향(影響)과 polyethylene film 포장(包裝)의 병용효과(倂用效果)를 검토(檢討)하고 다음과 같이 그 결과(結果)를 보고(報告)한다.1. 사과 국광(國光)에 대(對)한 $50{\sim}100krad$${\gamma}$선(線) 처리(處理)는 저장중 부패(貯藏中 腐敗) 및 생리장해(生理障害)의 발생(發生)을 억제(抑制)할 수 있었다. 2. 사과 국광(國光)에 대(對)한 ${\gamma}$선(線) 처리(處理)는 저장초기(貯藏初期)에 위축현상(萎縮現象)을 증가(增加)시켰다. 3. 그러나 ${\gamma}$선(線) 조사(照射)에 의(依)한 위축현상(萎縮現象)의 증가(增加)는 Polyethylene film 포장(包裝)을 병용(倂用)함으로써 억제(抑制)가 가능하였다. 4. ${\gamma}$선(線)조사구(照射區)와 Polyethylene film 포장구(包裝區)에서 중량감소률(重量減少率)이 낮았다. 5. 저장중 당함량(貯藏中 糖含量)의 포장(包裝)에 미치는 ${\gamma}$선조사(線照射) 및 polyethylene film 변화(變化)의 영향은 근소하였다.

  • PDF

시설재배된 설향딸기의 수확시기가 수확후 품질에 미치는 영향 (Determination of the Harvest Date and Ripening Phase of 'Seolhyang' Strawberry)

  • 홍세진;엄향란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2-72
    • /
    • 2020
  • 본 연구는 '설향' 딸기의 수확시기에 따른 품질 특성을 확인하고, 상온(20℃)·cold-chain(10-12℃)·저온(5℃) 유통에 적합한 숙성단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딸기는 12월 20일부터 5월 9일까지 6번에 걸쳐서 수확하였다. 딸기를 수확할 때 적합한 숙성 정도는 3월까지는 경도 2.9-3.0 N, 당도 8.6 °Brix 이상이었으나, 4월 이후에는 당도가 감소하였다. 딸기의 숙성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은 붉게 착색된 정도이고, Hunter a 값은 32-37, hue angle은 36-45℃였다. 딸기의 후숙 실험에서 숙성 정도는 딸기의 착색이 진행되는 정도에 따라서 결정되었으며, 상온에서는 10%/day, 10-12℃에서는 5%/day, 5℃에서는 3%/day씩 착색이 진행되었다. 따라서 상온에서 유통할 경우에는 80%, cold-chain·저온에서 유통하기 위해서는 90%의 착색된 과실을 수확하여야 유통하는 동안 상품성이 유지되었다. 그리고 상온에서는 70% 이하로 착색된 딸기를 유통하거나, 저온에서는 80% 이하로 착색된 딸기를 유통하는 경우에는 100% 착색이 이루어지지 않고 상품성을 잃었다.

사과저장(貯藏)에 관(關)한 연구(硏究) -(V) Spur Golden Delicious의 수확기(收穫期)에 관(關)하여- (Studies on the Storage of Apple -(V) On the Harvesting Date of Spur Golden Delicious Apple-)

  • 박노풍;김연진;이종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9-24
    • /
    • 1976
  • 사과의 숙도(熟度)는 과실(果實)의 품질(品質)뿐 아니라 저장수명(貯藏壽命)에도 지대한 영향(影響)을 미치고 있어 Spur Golden Delicious의 숙도(熟度)를 정확히 파악, 수확적기(收穫適期)를 구명(究明)하고저 호흡량(呼吸量)과 과실(果實)의 형질(形質)을 지표(指標)로 조사(調査)한바. (1) 호흡(呼吸)은 점차 감소(減少)하여 9월(月) 25일(日)에 최소치(最少値)를 이루고 그 후 상승(上昇)함으로써 9월(月) 25일(日)을 Climacteric minimum으로, 그 이전(以前)을 pre-climacteric기(期)로 그 이후(以後)를 climacteric rise기(期)로 추정(推定)하였다. (2) 경도(硬度)는 9월(月) 18일(日)까지 비교적 높은치(値)를 유지(維持)하였으나, 9月 25日 즉 climacteric minimum에 급강하현상(急降下現象)을 보이고 그 후 감소(減少)는 완만(緩慢)하였다. (3) pectin은 9월(月) 25일(日), 적정산도(滴定酸度)는 10(月) 2일(日) 이후(以後) 현저히 감소(減少)하였다. (4) 그러나 환원당(還元糖)은 climacteric minimum을 기준(基準)으로 증감현상(增減現象)을 인정(認定)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시험(本試驗)에서 저장과(貯藏果)의 수확적기(收穫適期)는 10(月) 2일(日) 이후(以後)로 추정(推定)되었으며, 이 때는 개화후(開花後) 145일(日)에 해당한다.

  • PDF

저장 기간이 짧은 건조 구기자와 오래된 건조 구기자의 휘발성 성분 (Flavor Components in Dried Fruit of the Chinese Matrimony Vine during Storage)

  • 최성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2호
    • /
    • pp.1325-1329
    • /
    • 2014
  • 건강 기능성 한방 재료로 알려져 있는 구기자를 식품 재료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건조 구기자가 오래되면 생성되는 이취 성분이 문제가 된다. 구기자중 저장 기간이 짧은 것(시료1)과 저장 기간이 오래 된 것(시료2)에 대해 휘발성 성분을 비교 분석하여 이취를 찾고 추후 이취를 제거하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연구를 시행하였다. 각 구기자 시료에 대해서 동시증류추출장치(SDE)를 사용하여 휘발성 성분을 추출하고 GC-MS로 분석, 동정하였다. 시료1의 휘발성성분으로 aldehyde류 17종, alcohol류 8종, terpene류 6종, ester류 4종, ketone류 3종 및 furan류 3종, pyrazine류 3종 및 기타 2종을 포함한 총 45종의 향기성분을 동정하였다. 시료2의 휘발성성분으로 aldehyde류 12종, alcohol류 3종, terpene류 5종, ester류 2종, ketone류 4종, furan류 3종, pyrazine류 3종, 산인 isovaleric acid 1종 및 기타 2종을 포함한 총 34종의 향기성분을 동정하였다. 두 시료 중에서 휘발성 성분의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휘발성 성분의 차이와 함량의 변화는 구기자의 저장 기간이 길어지면 좋지 않은 냄새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되지만 저장 기간이 짧은 구기자에는 없고 저장기간이 오래 된 구기자에만 동정된 역치가 매우 낮은 isovaleric acid은 구기자 제품의 저장성이 경과할 때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되었다.

머스크멜론의 저장 후 모의 유통온도가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helf Temperature on the Fruit Quality of Muskmelon after Storage)

  • 최현경;박성민;유근창;정천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2호
    • /
    • pp.135-139
    • /
    • 2001
  • 본 연구는 $5^{\circ}C$에서 15일간 저장 후 변온에 따른 품질변화를 분석하여 적정 유통온도와 유통기간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5^{\circ}C$에서 15일간 저장 후 유통온도를 달리했을 경우 $C_2H_4$$CO_2$ 발생량은 $5^{\circ}C$ 유통보다 실온유통에서 $C_2H_4$는 약 30% 이상, $CO_2$는 7배 정도 높게 발생되었다. 경도는 $5^{\circ}C$에서는 유통 10일까지도 조직이 단단하게 유지되었지만, $13^{\circ}C$ 및 실온에서는 빠르게 연화하였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저온유통에서 커다란 차이가 없었지만, 실온유통에서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당 함량은 3일째 유통에서 가장 높았고, 10일째의 실온유통에서는 전당함량이 감소하였다. Ethanol 및 acetaldehyde 함량은 유통 1일의 $5^{\circ}C$$13^{\circ}C$에서는 적게 검출되었지만, 실온유통에서는 많았다. 그리고 유통기간이 길어질수록, 온도가 높아질수록 이들 함량은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aCl2 엽면처리가 홍단고추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harvest Foliar Application of Calcium Chloride on Shelf-life of Red Sweet Pepper 'Ace')

  • 박성민;이윤수;정천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1호
    • /
    • pp.12-16
    • /
    • 2001
  • 홍단고추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확 전 $CaCl_2$를 엽면시비하여 수확 후 생리적 특성, 품질변화 및 저장성을 조사하였다. 홍단고추는 $CaCl_2$ 처리 시 에틸렌 발생과 호흡률의 감소를 나타냈고, 저장 7일째는 처리농도간에 관계없이 유사하였다. $CaCl_2$ 처리 후 엽과 과실에 함유된 Ca 함량은 무처리구보다 증가하였다. $CaCl_2$ 처리 후 당 함량은 Ca 농도가 높을수록 sucrose 함량이 높게 유지하였으나 전당 함량은 거의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저장 후 30일에는 sucrose 함량이 감소하였다. Ascorbic acid 함량은 무처리구 보다 약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5일 저장한 홍단고추의 부패율은 Ca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부패율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CaCl_2$ 처리농도는 0.3 - 0.5% 범위에서 수확 3주 전에 엽면시비하면 저장성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Study on Cooling Characteristics of the Tunnel Type Pressure Pre-Cooling System

  • Lee W. O.;Yun H. S.;Lee K. W.;Jeong H.;Cho K. H.;Cho Y. K.;Lee J. H.
    • Agricultural and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4권2호
    • /
    • pp.58-65
    • /
    • 2003
  • An understanding of the cooling requirements of horticultural commodities begins with adequate knowledge of their biological responses. All fresh horticultural products are living organisms, carrying on the many biological processes that are essential to the maintenance of life. The pre-cooling is essential technique for the construction of cold chain system, which is necessary to maintain marketing quality of fresh produces during the transportation and distribu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pressure cooling tunnel using conveyer for the reduction of labor and improvement of pre-cooling efficiency. Performance of developed facility was tested for the strawberries, tomatoes and Chinese cabbages. Cooling ratio as a result of pre-cooling efficiency was 1.57, 1.56 and 1.32 for strawberries, tomatoes, and Chinese cabbages respectively. Cooling ratio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distance of heat conduction from surface to center. The cooling ratio of Chinese cabbages was lower than that of fruit because of its head and leaf. In aspect of cooling uniform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final temperature among inlet, outlet and middle layers of cold air in fresh produces. After pre-cooling treatment, quality changes were measured for the weight loss, Vit. C content, and titratable acidity. The quality of pre-cooling treatment was better than that of non-treatment and was kept on well during long-term storage.

  • PDF

Postharvest technologies for fruits and vegetables in South Asian countries: a review

  • Faqeerzada, Mohammad Akbar;Rahman, Anisur;Joshi, Rahul;Park, Eunsoo;Cho, Byoung-Kwan
    • 농업과학연구
    • /
    • 제45권3호
    • /
    • pp.325-353
    • /
    • 2018
  • Agricultural systems in South Asian countries are dominated by smallholder farmers. Additionally, these farmers have limited access to pre- and post-harvest technologies due to their high initial cost. The lack of these technologies in postharvest handling is responsible for 20% to 44% of fruit and vegetable losses. These high losses are largely the result of a generally weak basic postharvest infrastructure for the preservation of products, which avoids damage from improper handling, transportation, packaging, and storage. High postharvest losses of products negatively affect food availability, food security, and nutrition, as the producer is able to sell less of the farm yield and the net availability of these food commodities for consumption is reduced. An underlying cause of these postharvest losses is the limited awareness and knowledge bases of stakeholders (researchers, farmers, governments,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merchants) in the traditional supply chains in which these losses occur. The analysis presented in this paper explores the state of postharvest practice in South Asian countries and discusses options for low-cost postharvest technologies in the region that can support small-scale farmers and provide a viable pathway for supply to the market, joining with modern value chains and bringing about individual and regional reduction in postharvest losses of fruits and vegetables. The improvement of basic and simple low-cost technologies through precise research efforts has the potential to prevent such huge losses of products, and help meet the ever-increasing demand for food in South Asian countries.

여러 가지 안정화 물질이 오미자 색소 추출물의 가열 변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ected Stabilizers on the Color Deterioration of Crude Pigment Extract from Schizandra fruit (Schizandra Fructus))

  • 김현정;조성빈;전향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475-482
    • /
    • 2003
  • 오미자 추출물의 가열 및 저장에 의한 변색을 지연시킴으로써 식품 소재로써 오미자 추출물의 이용도를 증진시키고자 식품에 가장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첨가물인 당과 색소 안정화제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단당류로써 glucose, fructose, 이당류로써 sucrose, maltose를 처리한 결과 단당류는 가열에 의한 변색을 촉진시켰고 이당류는 가열에 의한 변색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어 maltose를 10%처리하였을 때 40%정도 변색이 억제되었다. 색소 안정화제 로 각각 1%와 5%의 maltodextrin, ${\beta},\;{\gamma}-cyclodextrin$, ascorbic acid, phosphoric acid를 첨가하여 조사한 결과 ${\beta}-$${\gamma}-cyclodextrin$과 maltodextrin 5% 처리구의 경우 DI값이 대조군보다 낮게 나타나 가열 변색에 대한 안정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복잡한 구성성분으로 인하여 matrix 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에의 적용효과를 조사하고자 오미자 색소 추출물을 첨가한 겔 시스템을 모델 식품으로 사용하여 $25^{\circ}C$$35^{\circ}C$에서 저장하면서 표면 색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저장 온도 및 기간이 증가할수록 a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maltodextrin을 5.0% 첨가한 경우 a 값이 $15{\sim}20%$증가하여 matrix effect가 고려된 실제 식품에서도 색소안정화 효과가 확인되었다.

항균포장지와 포장상자에 저장된 과채류의 선도평가 (Evaluation of Freshness Prolonging Ability of Antibacterial Packaging Bags and Corrugated Boxes)

  • 김철환;김재옥;박우포;정준호;조성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64-371
    • /
    • 2005
  • 개발된 항균 포장 원지를 이용하여 포장 봉지(packaging bag)와 골판지 포장 상자(corrugated box)를 제작하였고, 여기에 과채류를 포장하였을 때 일반 포장 봉지나 골판지 상자에서 포장된 과채류 보다 변패 미생물의 발생이나 생체중 감소가 상당히 줄어들었다. 이는 BAAG에 의해 과채류의 변패에 관여하는 미생물의 생육을 차단하였고, 제올라이트에 의해 과채류의 조직을 빠르게 연화시키는 기체들인 에틸렌가스, 이산화탄소 및 산소가 제거되었으며, AKD에 의해 과채류가 보유한 수분 손실을 최소한으로 일어나게 하였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BAAG, 제올라이트, 그리고 AKD로 처리된 포장 원지를 이용하여 제작한 포장대(packaging bag)과 골판지 포장 상자는 저장 과채류의 선도를 유지하는 데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였고, 기능성 첨가제의 처리로 인한 제조 원가의 상승은 폐기 과채류의 양이 감소하면서 상쇄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일반 골판지 상자에 저장된 과채류보다는 기능성 골판지 상자에 저장하는 방법이 보다 경제적인 저장 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