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it size

검색결과 413건 처리시간 0.022초

과수재배용 온실의 구조유형과 설계요소 분석 (Analysis of Structural Types and Design Factors for Fruit Tree Greenhouses)

  • 남상운;고기혁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7-33
    • /
    • 2013
  • 본 연구는 과수재배 시설의 표준화 및 환경조절기술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과수재배용 온실의 실태를 조사하여 구조유형과 설계요소를 분석하고, 기상재해에 대한 안전성과 구조 및 환경관리에 대한 개선방안을 검토하였다. 시설재배 면적이 가장 많은 5개 품목 중 주로 제주도에서 재배되고 있는 감귤과 현재 재배온실을 찾을 수 없는 단감을 제외한 포도, 배 및 복숭아재배 온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감귤과 포도재배 온실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저장시설의 발달로 배와 단감재배 온실은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앞으로는 비가림 효과가 크고 저장성이 떨어지는 품목을 중심으로 과수재배 온실의 변화가 예상된다. 조사대상 온실 중 배 재배 온실과 복숭아재배 대형 단동온실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보급형 온실의 규격을 따르고 있으며, 재배작목별로 특성화된 온실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수재배 온실의 대부분은 농촌진흥청과 농림수산식품부에서 고시한 농가보급형 모델이나 내재해형 모델의 부재규격을 따르고 있었다. 기초는 대부분 콘크리트 기초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배 재배 온실의 경우에는 내재해형 모델보다 두꺼운 단면의 기둥을 사용하고, 강판을 기둥의 하단에 용접하여 매설한 형태의 특수한 기초를 적용하고 있었다. 조사대상 온실의 구조적 안전성을 검토한 결과 대부분 안전하였으나 김천과 천안의 포도재배 온실, 남원과 천안의 복숭아재배 온실에서 적설에 불안전한 것으로 나타났고, 남원의 복숭아재배 온실은 풍속에 대한 안전성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채소재배 온실을 복숭아재배로 전용한 온실의 경우 적설과 풍하중 모두 상당히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수의 수형, 수고 및 재식간격을 고려하여 과수 재배 온실의 적정규격을 검토한 결과 포도재배 온실은 폭 7.0~8.0m, 측고 2.5~2.8m가 적당하고, 배와 복숭아재배 온실은 폭 6.0~7.0m, 측고 3.0~3.3m 정도가 적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파프리카 여름재배시 차광방법이 생육과 과실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hading Methods on Growth and Fruit Quality of Paprika in Summer Season)

  • 하준봉;임채신;강효용;강양수;황승재;문형수;안철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19-427
    • /
    • 2012
  • 파프리카('Cupra', 'Coletti') 여름작기 재배시 고온기 극복을 위해 내부 차광 스크린(외부광이 $700W{\cdot}m^{-2}$ 이상일 때 차광스크린 작동하여 10~20% 차광률 유지)과 차광제 처리(차광제와 물을 1 : 4의 비율로 희석하여 온실 외부 지붕을 살포 30% 정도의 차광률 유지)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PPFD는 차광제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30%, 내부 스크린 처리구에 비해 20%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차광제 처리구에서 무처리구와 내부 스크린 처리구에 비해 PPFD의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여 차광제의 차광효과가 더 높았고, 차광제 처리에 의해 온실 내 온도 감소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습도 부족분 변화는 무처리구와 내부 스크린 처리구의 경우 오전 9시에 최대 허용범위인 $8g{\cdot}m^{-3}$을 벗어나 각각 오후 2시에 최고 $16.6g{\cdot}m^{-3}$$13.8g{\cdot}m^{-3}$까지 도달 했지만, 차광제 처리구에서는 무처리구와 내부 스크린 처리구보다 2시간 뒤인 11시에 $8.6g{\cdot}m^{-3}$으로 허용 범위를 벗어났고, 오후 4시에 최고 $12.1g{\cdot}m^{-3}$까지 상승하여 생육환경 조건이 더 양호해졌다. 차광제 처리구와 내부 스크린 처리구에서 무처리구에 비해 엽온이 $2^{\circ}C$, 과실의 온도가 $5^{\circ}C$, 그리고 꽃의 온도가 $3^{\circ}C$ 정도 낮아지는 효과를 보였다. 차광제 처리구와 내부 스크린 처리구에서 무처리구에 비해 초장이 두 품종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길어졌고, 분지수, 경경, 잎크기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잿빛곰팡이의 발생률은 무처리구에 비해 차광제 처리구에서 품종에 따라 14.7~22.1%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다. 과실크기는 차광처리에 의해 두 품종 모두에서 무처리구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심실수, 과피 두께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과육의 무게는 차광제 처리구와 내부 스크린 처리구에서 10~15g 증가하였지만, 당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차광에 따른 색도는 차이가 없었고, 경도는 차광 시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량은 무처리구에 비해 차광제 처리구와 내부 스크린 처리구에서 상품율이 11.7~22.6% 증가하였고, 상품과수는 4.0~12.2개로 증가했다. 따라서 무처리구에 비해 차광제 처리구에서 여름철 고온기의 극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숭아 '천중도백도'의 결과지 방향 및 굵기에 따른 신초 생장과 과실 특성 (Shoot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Bearing Branch Direction and Thickness in 'Kawanakajima Hakuto' Peach Trees)

  • 윤석규;윤익구;남은영;전지혜;권정현;배해진;김호철;김태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4호
    • /
    • pp.421-42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천중도백도' 복숭아(Prunus persica)의 고품질 다수확 생산을 하는데 적합한 결과지를 구명하기 위하 여 몇 가지 결과지 방향 및 굵기 처리에 따른 신초장, 과중, 당도 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각 조사항목의 평균치를 보면 결과지 직경의 경우 6.9mm, 신초장은 32.6cm, 과중은 333.6g, 당도는 $11.2^{\circ}Brix$였으며, 결과지 직경과 신초장은 변이계수가 각각 35.8%와 75.3%로 높았다. 254개 결과지 및 과실 특성 중 직경 9.0mm 이하 결과지가 76.4%, 40cm이하 신초가 70.0%, 무게가 310-340g 과실이 24.8%, 그리고 당도가 $10.5-12.5^{\circ}Brix$인 과실이 66.9%를 차지하였다. 신초장은 결과지 방향에 관계없이 결과지 굵기의 영향을 크게 받았고, 과중은 결과지 방향 및 굵기의 상호작용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그리고 당도는 결과지 방향에 관계없이 결과지 굵기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결과지 직경과 과중간 회귀 분석 결과 하향 결과지에서는 정의 상관($r^2=0.246^{**}$)을 보였고 상향 결과지에서는 부의 상관($r^2=0.094^*$)을 보였다. 따라서 고품질 '천중도백도' 과실 생산을 위해서는 하향이 면서 직경이 9.0mm 이하인 결과지를 활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 of Foliar Application of Gibberellic Acid and Machine Oil Emulsion Mixture on Flowering and Fruit Quality of Satsuma Mandarin (C. unshiu Marc. cv. Miyagawa) Cultivated on Open Fields

  • Kang, Seok-Beom;Moon, Young-Eel;Han, Seung-Gab;Choi, Young-Hu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480-485
    • /
    • 2014
  • In satsuma mandarin (C. unshiu Marc. cv. Miyagawa), alternate bearing is frequently occurred. It is very difficult to control and maintain the optimum production because satsuma mandarin is a very sensitive citrus cultivar. We carried out the experiment to find out the effects of foliar application of gibberellic acid ($GA_3$) and machine oil emulsion mixture on flowering and fruit quality of satsuma mandarin grown on open field. The treatments were composed of control (no application), $GA_3$ (25, 50 and $100mg{\cdot}L^{-1}$), machine oil emulsion 100 times and mixture of $GA_3$ (25 and $50mg{\cdot}L^{-1}$) with machine oil emulsion 100 times on 16 year-old 'Miyagawa' satsuma mandarin on December 30, 2012. Foliar application of $GA_3$ during winter season led to a reduction of the flowering in the following year. $GA_3$ decreased flowering in dose dependant manner. However, application of $GA_3$ and machine oil emulsion (100 times-diluted mixture) inhibited effectively the flowering compared to $GA_3$ only. Also, flower-leaf ratio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the application of $GA_3$ 25 (0.54) and $50(0.41)mg{\cdot}L^{-1}$ with machine oil emulsion mixture in comparison to $GA_3$ 25 (0.86) and $50(0.60)mg{\cdot}L^{-1}$ only. The number of leaves per fruit increased in application of $GA_3$ and machine oil emulsion mixture as concentration of $GA_3$ increased. Fruit weight and sugar-acid ratio also increased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whereas fruit size, soluble solid content and acidity remained unchanged. From th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GA_3$ application can reduce the number of flowers on the alternate bearing of satsuma mandarin. Moreover, application of $GA_3$ (25 and $50mg{\cdot}L^{-1}$) with machine oil emulsion 100 times mixture can reduce the flowering effectively without altering fruit maturity and soluble solid content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application of $GA_3$ 25 and $50mg{\cdot}L^{-1}$ with machine oil emulsion 100 times might be useful in controlling alternate bearing in satsuma mandarin.

감 품종 판별용 SCAR 마커 개발 (Development of Sequence Characterized Amplified Region Markers for Cultivar Identification in Persimmon)

  • 조강희;조광식;한점화;김현란;신일섭;김세희;천재안;황해성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6호
    • /
    • pp.798-806
    • /
    • 2013
  • 중요 작물의 신속 정확하고 비용 면에서 효율적인 품종 판별은 실용적인 육종과 육종가의 권리 보호를 위해 필수적이다. 감 품종을 구분하는 전통적인 방법은 형태적인 특성 평가를 근거로 하지만 유전적으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품종들은 형태적 형질에 의해 품종을 구별하기는 어렵다. 본 연구는 국내와 일본 감 32 품종을 판별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DNA 마커를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40종의 임의 프라이머를 이용한 RAPD 분석을 통해 품종 간 다형성을 나타내는 밴드 309종을 획득하였다. 프라이머에 따라 얻은 다형성 밴드 수는 4(OPP-08)-14(UBC159)개로 평균 7.7개였다. SCAR 마커로 전환하기 위해 57종의 RAPD 단편들을 선발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고 그 중 15종이 SCAR 마커로 전환되었다. 개발된 15종의 SCAR마커는 프라이머 조합에 따라 RAPD 단편과 동일한 크기나 작은 크기의 단일 밴드가 증폭되었다. 이들 마커 중 8종(PS225_200, PSN05_420, PSF13_523, PSN11_540, PS372_567, PS485_569, PSP08_635, PS631_735)의 조합을 적용하여 증폭산물의 수와 크기에 따라 감 32품종의 판별이 가능하였다. 새로 개발된 마커들은 감 품종 판별을 위해 신뢰성 있는 수단으로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natomy and Morphology of Two Hawaiian Endemic Portulaca Species

  • Kim, InSun
    • Applied Microscopy
    • /
    • 제44권2호
    • /
    • pp.41-46
    • /
    • 2014
  • In this study, the vegetative and reproductive morphology and anatomy of two Hawaiian endemic Portulaca species were examined. Specifically, P. molokiniensis and P. sclerocarpa were compared to closely related species in the genus. The comparisons were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using characteristics of leaves, stems, roots, and fruits. Tissue organizations of vegetative and reproductive parts of the plants were assessed using microtechnique procedures, statistical analysis,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most notable features of these two species were (1) the size and frequency of stomata in P. molokiniensis, and (2) the large number of sclerenchymatous cell layers in the thickest fruit walls of P. sclerocarpa. These findings may imply that stomata development in P. molokiniensis and thick fruit wall development in P. sclerocarpa are evolved features of survival.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thickened walls in indehiscent fruits likely has evolutionary implications of ecological tolerance for better adaptation.

제주산 궁천조생의 특성과 젤리화 식품의 제조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itrus miyakawa wase Produced in Cheju, and Citrus Jam-making)

  • 고정삼;고남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39-146
    • /
    • 1995
  • Soluble solids and total carbohydrates of Citrus miyakawa wase harvested middle of November 1993 Topyung-Dong, Seogwipo-si, and Cheju were 10.7 and 8.57%, and carbohydrate was consisted of about 1/2 sucrose, 1/4 glucose and 1/4 fructose, respectively. Acid content of citrus Juice was 1.04%, and citric acid was 74.27% of total organic acids. Fruit weight, peel thickness, soluble solids, pH, hardness and edible part ratio had a good correlation in linear function with increasing fruit size. Total carbohydrate, reducing sugar and vitamin C of citrus jam made on optimum conditions were 65.33%, 27.98%, and 51.40mg/100g , respectively. Microbial growth on the products were not recognized at 3$0^{\circ}C$ for a month. Compared with other related citrus jellying products, the test sample was excellent in appear ance, taste and total preference degree on sensory evaluation.

  • PDF

Characteristics of newly bred mulberry variety, 'Saealchan' resistant to sclerotial disease

  • Sung, Gyoo Byung;Kim, Yong Soon;Ju, Wan Taek;Kim, Hyun Bok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7권2호
    • /
    • pp.55-62
    • /
    • 2018
  • We bred a mulberry cultivar named 'Saealchan' through local adaptability test, which is under registration as a new cultivar for fruit production. Local adaptability test had been carried out at four local places (Jeonju, Gongju, Jangseong, and Sangju) for five years from 2013. This variety 'Saealchan' belongs to Morus alba L. selected from seedlings collected from mother mulberry 'Shimheung'. Saealchan was resistant to popcorn disease and high yielding variety in fruit productivity by 194% compared to control cultivar 'Shimheung (Morus alba L.)' for three years. Although fruits of 'Saealchan' was smaller in size and lower in sugar content of mulberry fruits compared to control variety 'Shimheung', it showed strong resistance to sclerotial disease compared to 'Shimheung'.

Lysophosphatidylethanolamine (LPE) Improves Fruit Size, Color, Quality and Phytochemical Contents of Sweet Cherry c.v. '0900 Ziraat'

  • Ozgen, Mustafa;Serce, Sedat;Akca, Yasar;Hong, Ji Heun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2호
    • /
    • pp.196-201
    • /
    • 2015
  • Lysophosphatidylethanolamine (LPE) affects the quality of flowers, fruits, and other horticultural products. Studies have provided evidence that LPE can accelerate ripening of fruits and prolong shelf-life at the same time.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LPE on anthocyanin accumulation and phyt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weet cherry was investigated. LPE ($10mg{\cdot}L^{-1}$) was applied to a commercial sweet cherry c.v. '0900 Ziraat' orchard two and four weeks before harvest for two treatment years (2011 and 2012). Preharvest applications of LPE resulted in significant improvement in both pomological and phytochemical attributes at harvest. LPE treatment led to a 17% increase in fruit weight and a 6% increase in soluble solid content when averaged over two experimental years. Fruit phytochemical content and antioxidant capacity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The average total phenolic content of LPE-treated fruits for the two years was $703{\mu}g$ gallic acid equivalent (GAE)/g fresh weight (g FW) compared to $569{\mu}g$ GAE/g FW in the untreated control. Fruits treated with LPE had a 27% and 16% more anthocyanin than the control fruits in 2011 and 2012. Antioxidant capacity of fruits, as measured by TEAC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assay, was 12.5 and $11.4{\mu}mol$ TE/g FW in LPE-treated and untreated control fruits, respectively, when averaged over two experimental years. Our results suggest that preharvest application of LPE may have the potential to increase anthocyanin accumulation, improve fruit quality and enhance phyt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weet cherries.

새로운 털 없는 녹색 미니 참다래 '스키니그린' ('Skinny Green', a Novel Hairless Green-fleshed Baby Kiwifruit)

  • 곽용범;최학순;채원병;정명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4호
    • /
    • pp.708-710
    • /
    • 2010
  • '스키니그린'은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육성된 세번째 털 없는 미니 참다래 품종이다. 교배모본은 한국에서 수집된 야생 다래($Actinidia$ $arguta$)와 수품종 토무리($A.$ $deliciosa$) 사이의 교잡에서 선발된 중간계통인 KN8903이며, 부본은 한국의 산에서 수집된 야생 다래($A.$ $arguta$)이다. 이 품종의 주요 특징은 과중이 19.3g으로 한 입에 먹을 수 있는 과실크기와 과피에 털이 없고 얇아 껍질째 먹을 수 있다는 것이다. 과육의 색은 녹색이며, 당도와 산함량은 각각 $16.7^{\circ}Brix$와 0.91%이다. 수확은 주로 10월 중순에 이루어지며, 자가결실성이 없는 품종으로 정상적인 착과를 위해서는 인공수분이 필요하다. 또한 풍산성으로 적절한 적과 작업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