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it size

검색결과 409건 처리시간 0.025초

송이다듬기가 포도 'Muscat Bailey A'의 품질과 양조적성에 미치는 영향 (Berry thinning effects on the fruit and wine quality of grape 'Muscat Bailey A')

  • 정성민;장은하;박서준;정석태;노정호;허윤영;이한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25-630
    • /
    • 2010
  • 송이다듬기는 포도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송이의 크기를 조절하고 송이모양을 변형시키는 유용한 재배방법이다. 포도 'MBA' 품종의 송이다듬기에 따른 과실 및 포도주의 품질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송이줄기의 곁가지를 제거하였는데, 상위지경부터 4, 5, 6지경을 남기고 절단 한 뒤 관행처리 대조구와 비교하여 수확기에 과방 및 와인의 품질을 조사하였다. 포도송이의 품질은 지경수가 작을수록 당도가 증가하고 총산이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포도주의 양조특성에 있어서는 송이다듬기 처리가 대조구에 비해 총 안토시아닌, 총 폴리페놀, 탄닌과 같은 성분이 높아져 포도주의 품질이 향상되었으며, 기호성 평가에 있어서도 송이다듬기 처리가 대조구보다 더욱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Melon Surface Color and Texture Analysis for Estimation of Soluble Solids Content and Firmness

  • Suh, Sang-Ryong;Lee, Kyeong-Hwan;Yu, Seung-Hwa;Shin, Hwa-Sun;Choi, Young-Soo;Yoo, Soo-Nam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7권4호
    • /
    • pp.252-257
    • /
    • 2012
  • Purpose: The net rind pattern and color of melon surface are important for a high market value of melon fruits. The development of the net and color are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s in shape, size, and maturing. Therefore, the net and color characteristics can be used indicators for assessment of melon quality.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estimating melon soluble solids content (SSC) and firmness by analyzing the net and color characteristics of fruit surface. Methods: The true color images of melon surface obtained at fruit equator were analyzed with 18 color features and 9 texture features. The partial least squares (PLS) method was used to estimate SSC and firmness in melons using their color and texture features. Results: In sensing melon SSC, the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of validation (${R_v}^2$) of the prediction models using the color and texture features were 0.84 (root mean square error of validation, RMSEV: 1.92 $^{\circ}Brix$) and 0.96 (RMSEV: 0.60 $^{\circ}Brix$), respectively. The ${R_v}^2$ values of the models for predicting melon firmness using the color and texture features were 0.64 (RMSEV: 4.62 N) and 0.79 (RMSEV: 2.99 N), respectively. Conclusions: In general, the texture features were more useful for estimating melon internal quality than the color features. However, to strengthen the usefulness of the color and texture features of melon surface for estimation of melon quality, additional experiments with more fruit samples need to be conducted.

A NONDESTRUCTIVE NIR SPECTROMETER : DEVELOPMENT OF A PORTABLE FRUIT QUALITY METER

  • L, Susumu-Morimoto;Hitoshi Ishibashi;Toshihiro Takada;Yoshiharu Suzuki;Masayuki Kashu;Ryogo Yamauchi
    • 한국근적외분광분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근적외분광분석학회 2001년도 NIR-2001
    • /
    • pp.1155-1155
    • /
    • 2001
  • The quality of agricultural products is very important factor for consumers. In Japan, quality is sometimes more important than cost. Usually, the quality of fresh food products is determined in terms of shape, color, size, etc. However, these indices are not always associated with taste, leaving consumers to complain. Recently, two types of the fruit quality meter (a tabletop type - K-FS200 and a portable type - K-BA100, Kubota Corp.) using NIR technology were introduced in Japan. A tabletop instrument is for post harvest use and a portable one is for precision agriculture use. The both meters use the NIR region from 600nm to 1000nm in the interactance mode to determine quality factors related to taste. The instruments can measure sugar content and acidity of such fruit as apples, tomatoes, tangerines and other fruits. The measurement is timely, nondestructive and precise. For example,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CV) is less than 6% for sugar in most fruits. The K-FS200 has been evaluated in supermarkets, grading facilities, and wholesalers in Japan. The introduction of the K-FS200) has drawn attention to taste quality and its use is becoming more popular. In addition, researchers or farmers are becoming interested in measuring product ingredient not only after harvest but also during growing in the field so that they can make intelligent judgements concerning soil amendments, such as fertilizers and water, employs the fiber probe for flexible measurement and is battery powered for field use. Design of the fruit quality meters will be discussed. Applications to fruit quality will be presented.

  • PDF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호박 흰비단병 발생 (Occurrence of Fruit Rot of Pumpkin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 권진혁;신순선;채윤석;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13권1호
    • /
    • pp.53-56
    • /
    • 2007
  • 2004년과 2005년 2년간 경남농업기술원 시험포장내 울타리 부근에 재배중인 호박 과실에서 S. rolfsii에 의한 호박 흰비단병이 발생되었다. 병징은 과실이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부패하면서 병반부위에 흰색의 곰팡이가 솜털처럼 생기고 갈색의 둥근 균핵을 많이 형성하였으며 크기는 1$\sim$3 mm였다. 이병과실이 지표면과 닿은 부위에도 흰색 균사와 갈색 균핵을 형성하였다 균사의 폭은 $7{\sim}8{\mu}m$이며, 균사생육적온과 균핵 형성은 30$^{\circ}C$에서 가장 좋았으며, 균사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호박 과실에서 발생한 병징과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이 병을 Sclerotium rolfsii Saccardo에 의한 호박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한다.

병솔꽃나무(Callistemon citrinus (Curt.) Skeels)의 개화결실 및 증식특성 (Characteristics of flowering, fruit setting and propagation of Callistemon citrinus (Curt.) Skeels)

  • 김찬수;정은주;김지은;소인섭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7-113
    • /
    • 2002
  • 본 연구는 외래도입 병솔꽃나무(Callistemon citrinus)의 개화결실 습성과 효율적인 증식방법을 구명 하고자 수행하였다. 병솔꽃나무의 삭과는 개화후 4년간 가지에 존속하며, 종자의 수와 크기는 3년생 삭과와 2년생 삭과가 비슷한 반면 1년생 삭과는 크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삭과로부터 종자를 탈리시키기 위해 건조시킨 결과 삭과의 상대 수분함량이 약 75%일 때 삭과열개율이 100%에 달했다. 발아율은 3$0^{\circ}C$에서 건조시킨 종자가 가장 높았으며, 그 중 2년생 삭과에서 탈리된 종자의 발아율이 높았다. 반면 50, 7$0^{\circ}C$에서 건조되어 탈리된 종자의 발아율은 낮았다. 가을철 2차 개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봄철 개화 후 삭과가 달린 가지를 전정한 개체에서는 모든 개체에서 가을에 개화하였으며 , 개화량은 평균 14송이였다. 반숙지를 IBA 100mgι$^{-1}$ 에 24시간 침적처리한 결과 86.4%가 발근되었으며, 평균 12.6개의 1차근을 가지며 생장이 가장 양호하였다.

Effect of the Nutritive Components of Mulberry Fruits From Two Cultivars Based on Irrigation Scheduling

  • Ju, Wan-Taek;Lee, Sora;Kim, Heon-Woong;Jo, You-Young;Kwon, Hae-Yong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52-359
    • /
    • 2020
  • BACKGROUND: The mulberry cultivars 'Daeshim' and 'Shimgang' were developed in RDA in 2014 and 2017, respectively. 'Daeshim' yields a fruit size bigger than that of other varieties and has a productivity of over 70%, whereas 'Shimgang' has a high yield and a special characterization against the mulberry popcorn disease. In our study, a compositional comparison of these popular cultivars in Korea was undertaken to explore the nutrient profiles of mulberry fruit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rich minerals and flavonoids in mulberry fruit as performing each other irrigation time. METHODS AND RESULTS: These two cultivars were collected from the Sericulture and Apiculture Division, RDA, in Korea to investigate their amounts, weights, minerals, and flavonoid content using each other instrument. After 6 h of irrigation treatment, the amount of fruit (kg/tree) from Daeshim and Shimgang increased by 17.5 and 15.2 kg/tree, respectively. The total flavonoid content from Daeshim and Shimgang was determined to be 132.9 mg and 36.3 mg, respectively, after the 6 h irrigation treatment. CONCLUSION: Appropriate irrigation treatment methods such as water scheduling and volume will help increase fruit quantities and farmer incomes. It would be interesting to conduct further in-depth research on these fruits so that consumers can benefit from them as a food additive.

감귤원에서 가을철 귤응애 성충의 공간분포와 표본조사 (Spatial Dispersion and Sampling of Adults of Citrus Red Mite, Panonychus citri(McGregor) (Acari: Tetranychidae) in Citrus Orchard in Autumn Season)

  • 송정흡;김수남;류기중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29-34
    • /
    • 2003
  • 귤응애 성충의 표본추출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2개년(2001-2002년)동안 8월부터 11월까지 잎과 열매에 대해 각 조사일에 평균밀도를 조사하였다. 잎과 열매에서 귤응애 성충 밀도의 관계를 시기별로 비교하였으며, Taylor's power law (TPL)와 Iwao's patchiness regression (IPR)을 이용하여 분산지수를 비교하였다. 잎(X)과 열매(Y)에서 귤응애 성충 밀도의 관계는 ln(Y+l)=1.029 ln(X+l)($r^2$=0.80)의 직선적인 관계가 있었으며, 열매가 성숙될수록 잎보다 열매에서 귤응애 밀도가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잎과 열매의 표본조사에서 TPL이 IPR보다 평균-분산 관계를 더 잘 나타내었으며, TPL의 기울기와 절편은 두 표본단위간, 연도간에 차이가 없었다. 정착도 0.25일 때 요방제밀도 2.0, 2.5와 3.0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표본추출조사법을 개발하였으며, 조사에 필요한 최대조사나무수(고정표본크기에서 필요 나무수)는 각각 19, 16과 15주였으며, 이 때의 의사결정임 계값 $T_{critical}$은 각각 554,609와 659였다.,609와 659였다.

구기자나무의 엽절편체에서 유도된 재분화식물체의 포장생육 특성 (Characteristics on the Field Growth of Plantlets Regenerated from Leaf Segment Cultures of Boxthorn (Lycium chinense Mill.))

  • 김동찬;정해준;민변훈;양덕춘;김수동;이봉춘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29권2호
    • /
    • pp.129-134
    • /
    • 2002
  • 포장에서 자란 '청양'의 상부 잎 절편체 유래의 캘러스에서 200개체의 유식물체를 분화시켜 194개체를 포장에 정식한 후 2년 동안 특성을 조사하였다. 잎의 형태는 모본과 같은 타원형이 66.1%였고, 모본과 다른 난형 22.2%, 도란형 7.2%, 장타원형 2.6%그리고 피침형이 2.1%였다. 또한 재분화된 구기자의 포장생육특성을 검정한 후 열매의 크기가 커지고 수량이 증대된 계통군 5계통 (99741, 99781, 99854, 99870, 99886)과 열매가 커진 계통군 4계통 (99774, 99831, 99840, 99849), 잎이 두꺼운 특징을 보인 2계통 (99747, 99783), 그리고 액아에서 신초가 많이 발생되는 다분지성의 초형변이 계통군 2계통 (99797, 99892) 등 13계통을 선발하였다. 열매의 변이를 나타낸 체세포 변이체간의 생산성을 비교한 결과, 대과와 다수확 계통으로 선발한 5계통들은 '청양'에 비해 과장이 2.1∼2.7 mm 길었으며, 10a당 생산량은 15∼30%가 증수되었다. 초형변이를 나타낸 개체간의 엽수량을 비교한 결과 대소계통인 CL1-48에 비해 99892계통이 7.2% 증수되었고 가시가 발생되지 않았으며 잎이 유연한 특징을 보였다.

Ethephon 및 Dichlorprop 처리가 배 '신고'의 과실 생장과 성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ephon and Dichlorprop on the Growth and Maturation of Fruit in 'Niitaka' Pears)

  • 이재창;권오원;황룡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21권2호
    • /
    • pp.81-91
    • /
    • 1994
  • 식물 생장조절제인 ethephon과 dichlorprop 처리가 배 '신고' 과실의 생장과 성숙에 대한 영향을 살피기 위하여 만개후 8주를 전후하여 시기와 농도를 달리 처리한 다음 과실의 비대 생장과 숙기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Ethephon은 25-100ppm, dichlorprop는 20-4ppm 농도 범위에서 처리 시기나 농도에 관계없이 모두 과실의 비대 생장을 억제시켰으며 괴질 비대 억제효과는 처리 농도가 높을수록 커지는 경향이었다. 반면에 과육의 정도는 약제 처리에 의하여 빠르게 저하된 경향이었으며 특히 ethephon 10ppm처리시 성숙기의 경도가 다른 처리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반면에 지색은 약제 처리시 빠르게 변화하였고 따라서 숙기는 ethephon 처리시 2-3일, dichlorprop 처리시 3-4일 촉진되었다. 또한 두 약제 모두 과실의 ethylene 생합성량의 증가를 촉진시켰으며 최대 생합성량도 증가된 경향이었다. 또한 수확기의 phenol 함량도 약제 처리에 의하여 감소된 경향이었다. 그러나 가용성 고형물 및 산 함량은 약제 처리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다.

  • PDF

배 검은별무늬병 저항성 "원교 나-흑성 2호" (Scab (Venturia nashicola) Resistant Pear, "Wonkyo Na-heukseong 2")

  • 신일섭;황해성;신용억;허성;김기홍;강삼석;김윤경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54-357
    • /
    • 2009
  • Venturia nashicola에 의한 검은별무늬병 저항성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저항성 유전자원 탐색을 1997~1999년까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포장검정 및 인공 접종을 실시하여 저항 성친으로 서양배 "청마려"을 선발하였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에서 고품질 만생종 "만수"에 "청마려"를 1997년에 교배하여 저항성 우량 계통인 중간모본 "원교나-흑성 2호" 을 2008년에 선발하였다. 2008년 만개일은 4월 19일로 "만수" 보다 1일 늦고, "청마려"보다 7일 정도 빠르며 수세는 강하고 수자는 직립형이다. 검은별무늬병에 "청마려"와 "Bartlett"과 같이 강하고 "신고", "원황"등 국내 주요 재배 품종들과 교배 친화성이 있다. 과실은 만개 후 180일경에 성숙되어 양친에 비해 20일 정도 성숙 일수가 짧으며, 과형은 방추, 과피는 황녹갈색이다. 평균과중은 484 g, 당도는 $13.2^{\circ}Brix$이며 과즙량은 중~다이다 석세포가 적고 동양배의 아삭아삭함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