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it set

검색결과 231건 처리시간 0.025초

수박의 착과절위가 종자 발아 및 유묘활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ruit Set Internode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Vigor in Watermelon)

  • 박은지;이규빈;박영길;서정민;강점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12호
    • /
    • pp.1673-1679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ruit set internode on the germination of watermelon seeds. Generally fruits setted in higher than 20 internode were high percent of germination, fruit setted in low internode(5-10) is low. The higher fruit-set internode, fruit weigh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ut 1,000 seed weight was decreased the more fruit set internode. However number of seed was about 300 seeds irrespective of fruit-set internode. Investigating viability of seed by BP test, general percent germination was recorded highest at 5 flower cluster above 20 internode of fruit-set internode. In contrast, condition of fruit setted on 3, 4, 6 flower cluster were high percent of germination, regarded as unnormal germination not to be as normal seedling by 2~3%. Seed harvested at 5 flower-cluster had high viability on hypocotyl height and diameter of seedling through early growth test, but were not significant. Therefore 5 flower-cluster was optimum fruit-set internode to obtain high-quality seed.

네트멜론의 착과절위 및 착과수가 네트발현, 품질 및 과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ruit-set Position and Number of Fruits set per plant on netting, Fruit quality and Fruit weight in Netted melon (Cucumis melo L. var. reticulatus))

  • 이성길;이우승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4권
    • /
    • pp.61-65
    • /
    • 1996
  • 네트멜론에 있어서, 주당(株當) 엽수(葉數)를 22매(枚)로 제한하여 8, 10, 12, 14절의 1과착과와 8-9, 10-11, 12-13, 14-15절의 2과 착과구를 설치하고 각각 네트 발현(發現), 품질(品質)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이 어떠한지 알고자 '슈퍼VIP' 멜론을 이용하여 비닐하우스 내에서 춘작재배(春作栽培)로 시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주당(株當) 1과(果) 착과(着果)는 착과절위(着果節位)에 관계없이 네트발현이 양호하였으며, 착과절위(着果節位)가 높을수록 과중(果重), 과장(果長), 과경(果徑), 과육(果肉)두께가 증가되었고, 당도(糖度)와 저장성(貯藏性)은 떨어졌다. 2) 주당(株當) 2과(果) 착과(着果)는 착과절위(着果節位)가 높을수록 네트 발현(發現)이 우수하였고, 당도(糖度), 과중(果重), 과장(果長), 과경(果徑), 과육(果肉)두께가 증가하였으나, 저장성(貯藏性)은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았다. 3) 네트발현, 당도 저장성등 상품성(商品性)은 주당(株當) 1과(果) 착과(着果)가 2과(果) 착과(着果) 보다 뛰어났으며, 12절(節)에서 1과(果) 착과(着果)한 것이 가장 우수했다. 4) 수량성(收量性)은 주당(株當) 2과(果) 착과(着果)가 1과(果) 착과(着果)보다 증가(增加)하였다.

  • PDF

지베렐린과 2,4-D 처리를 이용한 토마토 착과율 및 수확량 증가 (Fruit Set and Yield Enhancement in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Using Gibberellic Acid and 2,4-Dichlorophenoxy Acetic Acid Spray)

  • 루이텔 비노드;이택종;강원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7-33
    • /
    • 2015
  • 토마토의 착과와 수확량은 여름철 비닐하우스내 고온스트레스로 인하여 감소하게 된다. 본 연구는 여름철 화천지역에 위치한 비닐하우스에서 지베렐린($GA_3$)과 2,4-Dichlorophenoxy Acetic Acid(2,4-D) 처리가 토마토의 수확량, 착과율, 착과 후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Adoration' 품종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GA_3$ 0-, 5-, 10-, $15mg{\cdot}L^{-1}$와 2,4-D 0-, 5-, $10mg{\cdot}L^{-1}$를 개화 초기에 처리한 후 착과율, 수확량, 과실품질과 관련된 형질을 관찰한 결과, $GA_3$ $10mg{\cdot}L^{-1}$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14.2%의 착과율 증가를 보였다. $GA_3$처리구에서는 수확량, 과중, 상품과실 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4-D를 개화기에 처리했을 경우 착과율, 수확량, 상품과의 과중에 영향을 미쳤으며 $GA_3$과 2,4-D를 각각 $5mg{\cdot}L^{-1}$ 농도로 혼합처리 하였을 때 가장 높은(62.5%) 착과율을 나타내었다. 과실크기와 고형물함량은 $GA_3$처리구에서만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여름철 비닐하우스의 고온조건에서 $GA_3$ $0mg{\cdot}L^{-1}$처리구와 2,4-D $5mg{\cdot}L^{-1}$를 처리했을 때 착과율이 가장 높아 많은 수확량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백합의 자가 및 품종간 종자형성에서 주두 및 화주절단수분 (Effect of Stigmatic and Cut-style Pollination on Selfed and Intraspecific Seed Set in Lilium spp.)

  • 이지용;임용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0권4호
    • /
    • pp.347-352
    • /
    • 2003
  • 주두 및 화주절단수분법으로 나팔백합 (L. longiflorum)과 신나팔백합 (1. ${\times}$ ormolongi)을 자방친으로 한 자가 및 품종간 수분을 통하여 교배 조합간 종자 형성율 등을 구명하고 교잡종 육성범위 확대를 위한 기본자료를 얻고자 수행했다. 나팔백합인 L. longiflorum 'Gelria' 및 L. longiflorum 'Lorina'의 자가수분에서 주두수분의 경우 각각 100%의 종자형성 삭과율에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각각 189개, 70개인 반면 화주절단수분에서는 종자형성 삭과율이 각각 87%, 40%였다.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각각 53개, 20개로 화주절단 수분법보다 주두 수분에 의한 종자 형성률이 훨씬 높았다. L.${\times}$formolongi의 자가수분에서도 주두수분은 80%의 종자형성 삭과율에 삭과당 종자수가 597개인 반면 화주절단 수분에서는 47%의 종자형성 삭과율에 삭과당 종자수가 81개였는데 형성된 종자도 주두수분보다 충실하지 못했다 품종간 수분에서 L. longiflorum 'Gelria' 및 L. longiflorum 'Lorina'을 자방친으로 한 전체에서 주두수분의 종자형성 삭과율은 60%로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18개인 반면, 화주절단 수분에서는 종자형성 삭과율이 20%로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7개로 주두수분과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신나팔백합의 품종간 교잡인 (L.${\times}$formolongi 'Raizan'${\times}$L. formolongi 'Nobia')에서도 주두수분시 종자형성 삭과율이 75%로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179개인 반면 화 주절단 수분에서는 종자형성 삭과율이 50%로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63개로 주두수분과 많은 차이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주두수분이 화주절단수분보다 결실률이 높았다.

토마토의 단위결과성 재료 탐색 (Evaluation of Parthenocarpic Fruit Set in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 김지광;김진한;윤화모;박권서;박인희;임엄량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99-103
    • /
    • 1999
  • 본 연구는 토마토의 단위결과성을 평가하여 육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토마토 12계통과 17근연종을 공시하여 수행한 결과, 제웅후 50%이상, 방임시 90%이상 착과한 CLN431-85-13-12, CLN425-130-8-1, CLN435-185-4-9등 3계통이 단위결과성 모본으로 우수하여 선발되었다.

  • PDF

Effects of Prohexadione-Ca, Ethephon, and Water Stress on Growth and Productivity of 'Golden Delicious'/M.9 Apple

  • Guak, Sunghee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1호
    • /
    • pp.38-49
    • /
    • 2013
  • Prohexadione-calcium (Pro-Ca), ethephon and transient water stress were evaluated in a factorial design, as potential inhibitors of early-season shoot growth of high density orchard management of apple (Malus domestica Borkh.) trees. In the experiment, water stress was imposed to one-half of the 7-year-old 'Golden Delicious'/M.9 apple trees in each of 5 blocks, by stopping irrigation for 3 weeks between 35 and 56 days after full bloom (AFB). Within each whole unit, the following Pro-Ca and ethephon treatments were randomly allocated at $2{\times}2$ factorial: a) 0 or 250 $mg{\cdot}L^{-1}$ a.i. Pro-Ca applied at 28 days AFB and b) 0 or 300 $mg{\cdot}L^{-1}$ a.i. ethephon applied twice (35 and 71 days AFB). All trees were hand thinned to king flowers prior to treatments. Vegetative shoot growth was markedly reduced by Pro-Ca, with its effect being obvious within 14 days after application, while ethephon and water stress treatments were less effective. Pro-Ca had no effect on fruit set and yield but slightly increased fruit size. Ethephon substantially reduced the fruit size and yield but had no effect on fruit set. Water stress reduced fruit set, fruit size and yield. With regard to fruit quality, Pro-Ca did not influence fruit shape, flesh firmness and soluble solids contents (SSC) but slightly reduced titratable acidity. Ethephon had no effect on fruit shape but increased firmness, SSC and acidity, while water stress did not influence these fruit quality attributes. Dry weight of dormant spur buds was reduced by both Pro-Ca and water stress, while increased by ethephon. The larger dormant buds led to the larger spur flowers at the tight cluster stage the following spring. Return flowering was promoted only by ethephon, especially on previous season's shoots. There were no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Pro-Ca and ethephon or water stress on most variables observed in this study.

한국남부 자생 닭의난초 (난초과)의 시 공간에 따른 결실률 변이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on fruit set in Epipactis thunbergii (Orchidaceae) from southern Korea)

  • 정미윤;정명기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53-361
    • /
    • 2015
  • 난초 열매의 결실의 시 공간적 변화가 장기적으로 개체군의 생존에 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수 세대에 걸쳐 유전적 다양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화밀을 분비하는 육상 난초인 닭의난초를 대상으로 자연 조건에서 시 공간의 결실 수준을 조사하고 교배계를 파악하는 데 있다. 본 연구자들은 전라남도 해남군 징의리 해안 1.5 km 걸쳐 위치한 4곳 집단에서 2년간의 조사 기간 동안 수분실험을 행하였다. 2년 동안 결실률이 집단 내 작은 슈트의 모임인 패치 내에서 유사했다. 대조적으로, 패치 간에는 결실룰이 유의 한 수준에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큰 화서를 지닌 식물이 작은 화서를 지니는 식물보다 훨씬 더 많은 열매 생성을 보였다. 닭의난초의 결실률은 2 년의 조사 기간 동안 비슷하였으나(14.1%) 연구된 보상을 주는(rewarding) 난초84종의 평균 결실률(37.1%) 보다 낮았다. 인위적인 자가 수분(90.5-95.2%), 인위적인 인화(隣花)수분(geitonogamy: 94.7-95.0%), 그리고 인위적인 타가 수분(91.3-91.4%)등에 의해서는 결실률이 상당한 수준으로 증가되었다. 꽃피기 전 수술을 제거 한 경우에 열매가 전혀 맺히지 않았으며 꽃 스스로 자동으로 수분이 일어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닭의난초는 자가화합성이고, 열매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수분매개체인 곤충류가 필요하며, 2년간 조사 기간 중 징의리 집단들의 환경이 비슷하였음을 암시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결실률이 시간보다 공간적으로 더욱 뚜렷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화총내 착과위치에 따른 '신고' 배 (Pyrus pyrifolia Nakai) 과실의 품질비교 (Comparison of Fruit Quality among Fruits Set on Various Position within Cluster in 'Niitaka' Pears)

  • 이욱용;오경영;심훈기;이혁재;황용수;천종필
    • 농업과학연구
    • /
    • 제37권1호
    • /
    • pp.13-18
    • /
    • 2010
  • In order to prepare the technical fundamental in production of premium quality fruits of 'Niitaka' pears, we compared the quality parameters and storability of the fruits that had various fruit set position in a cluster. The fruits set on $4^{th}$ from basal part in fruit cluster had the largest fruit size. The weight of fruits set on the higher position than $4^{th}$ from basal part in fruit cluster showed decreasing tendency. The production rates of marketable fruits which had 500g to 899g in weight were the high in $3-5^{th}$ from basal part in cluster than those in other position. The differences of fruit height and diameter which represent balanced fruit shape also showed less difference in the fruits set on $4-5^{th}$ from basal part in cluster than the fruits set closely on basal part in cluster. The fruits set on $3-4^{th}$ from basal part in cluster showed lower rate in incidence of core breakdown and pithiness disorder during 4 months of cold storage than those on the closer position to basal part in cluster.

Pollination of Cleisostoma scolopendrifolium (Orchidaceae) by megachilid bees and determinants of fruit set in southern South Korea

  • Son, Hyun-Deok;Im, Hyoung-Tak;Choi, Sei-Woon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3권1호
    • /
    • pp.9-13
    • /
    • 2019
  • We investigated the pollinators of Centipede's foot orchid (Cleisostoma scolopendrifolium) at five locations in southern Korea. Only one species of megachilid bee (Megachile yasumatsui) was observed at three of the sites (Mokpo, Haenam, and Wando). We assumed that the megachilid bee worked as a sole pollinator of C. scolopendrifolium based on the visiting behavior of the bees the attached pollinia. Fruits were observed at the three locations that bees visited: 74% fruit set at Mokpo, 59% at Wando, and 31% at Haenam. By contrast, at two of the locations where megachilid bees did not visit the plants (Naju and Jindo), there were no fruits set. The differences in fruit set rates at the three orchid populations where bees were observed appear to be related to bee abundance and flower visitation rate rather than to differences in flower abundance. The pollination interaction between C. scolopendrifolium and megachilid bees appears to involve sexual deception since only male bees were attracted to the flowers. The underlying mechanism involved in this interaction needs investigation.

딸기 '설향' 품종의 화방별 과실 착과 순서에 따른 과중 및 당도 변화 (Changes in Fruit Weight and Soluble Solids Content of 'Seolhyang' Strawberry by Fruit Setting Order of the Flower Cluster)

  • 이상우;채윤석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1호
    • /
    • pp.105-111
    • /
    • 2012
  • 본 연구는 딸기 '설향' 품종의 화방별 착과순서에 따른 과중 및 당도의 변화를 조사하여 각 화방별로 착과량 조절 기준의 타당성을 검정하고자 하였다. 1화방은 2, 3화방에 비하여 착과수, 과중, 당도, 대과성 과실의 비율이 높았다. 동일 화방 내에서도 상위 과실은 하위에 착과된 과실보다 과중이 증가하였고, 당도도 높았다. 과실의 과중이 증가할수록 당도가 증가하여 과중과 당도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설향 품종의 각 화방별 적정 착과수는 1화방 9~10개, 2화방 6개, 3화방 4개, 4화방 3개 정도 착과시키는 것이 상품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