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ontal-ramal inclination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2초

이부편위자의 하악골상행지 경사에 관한 정모두부방사선학적 연구 (Posteroanterior cephalometric study of frontal ramal inclination in chin-deviated individuals)

  • 은춘선;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80-387
    • /
    • 2006
  • 본 연구는 이부편위자의 정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 하악골상행지 경사도의 좌우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교정환자의 임상검사 시 비대칭 진단에 도움이 되고자 시행되었다. 뚜렷한 이부편위를 보이는 성인 30명을 이부편위군으로, 좌우 대칭적인 외모를 보이는 성인 30명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여 정모두부방사선사진을 촬영한 후 하악골상행지 경사도를 측정하고 좌우 차이를 산출, 비교 분석한 결과, 대조군의 경우 좌우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이부편위자에서는 하악골상행지 경사도의 좌우 차이를 보였다. 이부편위자에서 비편위측의 하악골상행지의 경사도는 편위측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악골상행지 경사도의 좌우차이는 이부편위 정도 및 상악고경의 좌우차이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부편위자에서 하악골상행지 경사도의 좌우차이를 규명한 본 연구 결과는 안면비대칭 환자의 진단 시 하악골상행지 경사도에 대한 분석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Laterognathism의 술후 전방하악골상행지경사도 변화에 관한 정모두부방사선학적 연구 (The change of frontal ramal inclination (FRI) after orthognathic surgery with laterognathism: posteroanterior cephalometric study)

  • 유상진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7권1호
    • /
    • pp.21-29
    • /
    • 2011
  • Introduction: To compare the change in frontal ramal inclination (FRI) in laterognathism after orthognathic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four patients (10 men, 14 women; mean age, $22.8{\pm}5.2$ years) with minimal facial canting (${\leq}$ 2 mm) and apparent menton deviation ($5.9{\pm}2.4\;mm$) who had been operated on to correct facial asymmetry and skeletal CIII malocclusion, were selected. On a preoperative posteroanterior (PA) cephalogram, the FRI of the deviated side and non deviated side, L1 deviation amounts and menton deviation amounts were measured. The FRI differences between both sides were compared,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measured deviated elements and the FRI differences were analyzed. On a postoperative PA cephalogram, the shifting amount of L1, shifting amount of L7 and FRI of both sides were measured,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hifting elements and the change in FRI were analyzed. Results: On the preoperative PA cephalogram, the FRI of the non deviated side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of the deviated side. The differences in FRI, with a menton deviation amount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On the postoperative PA cephalogram, the FRI differences between the deviated and non deviated side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and mandibular transverse movement toward central position was noted. The mean shifting amounts of L7 were associated with the amount of change in the deviated side of FRI. Conclusion: Transverse shifting of the mandible through orthognathic surgery decreases the FRI difference, which showed laterognathism, and improves the facial contour.

안면비대칭 진단을 위한 하악골 3차원영상 계측기준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3-D standard value of mandible for the diagnosis of facial asymmetry)

  • 안정순;이기헌;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91-105
    • /
    • 2005
  • 기존의 2차원적 진단자료는 상의 확대 및 왜곡으로 인해 형태나 크기의 정량적 평가시 부적절한 결과를 야기할 수 있어 안면비대칭의 정확한 진단과 치료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3차원영상 진단의 도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안면비대칭 진단시 3차원적 분석에 도움이 되는 기준자료를 얻고자 정상교합자를 대상으로 하악골 3차원 영상 계측항목의 평균값과 좌우차이의 정상범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뚜렷한 안면비대칭을 보이지 않는 성인 정상교합자 남녀 30명씩 총 80명을 대상으로 두경부 전산화단층사진을 촬영한 후 컴퓨터프로그램을 이용한 각각의 단면 촬영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입체영상을 재구성한 다음, 하악골 비대칭시 좌우차이를 보일 수 있는 계측항목으로 ramus length를 나타내는 5개 condylar neck length를 나타내는 1개, mandibular body length를 나타내는 8개 등 15개의 거리 계측항목과, gonial angle을 나타내는 4개. frontal ramal inclination을 나타내는 2개. lateral ramal inclination을 나타내는 2개 등 8개의 각도계측항목, 총 23개의 계측항목을 설정한 후, 좌측과 우측을 구분하여 컴퓨터 상에서 3차원계측치를 구하고 좌우차이값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결과 얻어진 정상교합자의 하악골 3차원영상 계측항목의 좌우차이값은 안면비대칭 환자의 진단 기준치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안면비대칭자의 3차원 전산단층사진 분석에서 경$\cdot$연조직간 비대칭 정도 차이 (Comparison of asymmetric degree between maxillofacial hard and soft tissue in facial asymmetric subjects using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 김왕식;이기헌;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63-173
    • /
    • 2005
  • 본 연구는 안면비대칭 환자에서 경조직의 비대칭 정도와 연조직 비대칭 정도의 차이를 3차원적으로 밝히고자 시행되었다. 안면비대칭으로 보이는 성인 남녀 34명을 대상으로 두경부 전산단층사진을 촬영하고 3차원 입체영상으로 재구성한 후 기준평면에 대해 비대칭을 나타내는 5개의 계측항목을 경조직에 설정하고, 이에 대응하는 연조직 계측항목을 각각 설정한 후 3차원 계측을 시행하고 경조직과 연조직의 계측항목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이부편위측과 반대측간의 계측치 차이를 비교한 결과, 경조직과 연조직 모두에서 좌우측 계측치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으며 경조직과 연조직의 비대칭 계측항목을 비교한 결과, 6개의 계측항목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부편위를 나타내는 chin deviation, 하악지와 하악골체를 나타내는 frontal ramal inclination difference, frontal corpus inclination difference 항목은 경조직의 비대칭 정도에 비하여 연조직 비대칭 정도가 작게 나타난 반면, 입술경사를 나타내는 lip cheilion height difference, lip canting은 maxillary height difference, occlusal plane canting보다 크게 나타나 입술부위의 비대칭 정도는 하부 경조직의 비대칭 정도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안면비대칭자에서 경조직과 연조직간 비대칭 정도 차이를 규명한 본 연구 결과는 안면비대칭 평가 시 경조직 외에 연조직 계측항목을 이용한 비대칭 분석도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2차원 방사선 규격사진에서 하악골 상행지 고경의 보정분석에 관한 3차원 CT 영상 연구 (Correction of mandibular ramus height with frontal and lateral ramal inclinations in cephalograms and its effects on diagnostic accuracy of asymmetry)

  • 황현식;김형민;이기헌;임회정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19-330
    • /
    • 2007
  • 안면비대칭 환자의 진단 및 치료계획 수립 시 하악골 상행지 고경의 좌우 차이를 정확히 판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2차원 방사선사진에서 정면 상행지경사도 및 측면 상행지경사도를 이용하여 하악골 상행지 고경을 보정하는 방법이 비대칭 판정에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이부 편위가 있는 안면비대칭자 40명을 대상으로 정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촬영하고 좌우 각각의 하악골 상행지 고경을 측정하는 한편 정모 및 측모 방사선사진에서 계측된 정면 상행지 경사도 및 측면 상행지 경사도를 이용하여 상행지 고경을 3차원적 개념으로 보정한 후, 실제 3차원 영상에서의 비대칭 판정 결과와 비교 분석을 시행하였다. 측정결과, 정면 및 측면 상행지 경사도는 이부 편위측에 비하여 반대측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보정 후 상행지 고경의 좌우 차이는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보정 전 그리고 보정 후 각각에서 상행지 고경의 좌우비대칭 여부를 판정한 후, 3차원 영상에서의 판정을 기준으로 하여 보정에 따른 sensitivity, specificity 그리고 accuracy 변화를 살펴본 결과, specificity는 44%에서 22%로 감소하였으나 sensitivity는 74%에서 94%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accuracy가 보정 전 68%에서 보정 후 78%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정면 및 측면 상행지 경사도를 이용하여 상행지 고경을 3차원적 개념으로 보정할 경우, 이는 보다 정확한 비대칭 판정에 유용함을 보여주었다.

하악 관절와의 형태가 하악 이부편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3차원 영상 연구 (3-D CT Image Study of Effect of Glenoid Fossa on Menton Deviation)

  • 조진형;이경민;박홍주;황현식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3권4호
    • /
    • pp.337-345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relation of the degree of menton deviation and 3-D CT (computerized tomography) measurements of the glenoid fossa and the mandible, which are considered to have an influence on menton deviation. Methods: The CT images were obtained in 60 adults and these were transmitted to a computer and reconstructed using computer software.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menton deviation, which was measured on the posteroanterior cephalogram,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e menton deviated group (30 adults) and the symmetry group (30 adults). A total of 11 measurements that might have an effect on menton deviation were determined and these were measured in the right and left sides using the function of 3-D measurement in the computer program. The 11 measurements consist of 6 measurements in the glenoid fossa (vertical position of the glenoid fossa and articular eminence, the sagittal position of the glenoid fossa and articular eminence, the depth of the glenoid fossa, and the anterior angle of the glenoid fossa), and 5 measurements in the mandible (ramus length, frontal ramal inclination, lateral ramal inclination, body length, body height). Results: The comparison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enton deviated and symmetry groups and correlation analysis on the degree of menton deviation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of comparison of the right and the left difference between the menton deviated and symmetry groups showed that the vertical position and depth of the glenoid foss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menton deviated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 that consideration of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glenoid fossa is necessary for making the diagnosis and administering proper treatment in facial asymmetry patients and especially growing patients.

하악전돌증환자에서 하악지시상분할골절단술 후 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한 근심골편의 횡적인 변화에 관한 연구 (TRANSVERSE CHANGE OF THE PROXIMAL SEGMENT AFTER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IN MANDIBULAR PROGNATHISM USING COMPUTED TOMOGRAPHY)

  • 김영준;국민석;박홍주;;오희균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0권3호
    • /
    • pp.232-240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ransverse changes of proximal segment after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BSSRO) using 3-D CT in mandibular prognathism. Patients and methods: Twenty-two patients who underwent BSSRO for mandibular set-back in class III malocclusion without facial asymmetry were examined. Miniplates were used for the fixation after BSSRO. Facial CT was taken before and after BSSRO within 3 months. Frontal-ramal inclination (FRI), inter-gonial width (IGW) and intercondylar width (ICW) were measured in 3-D CT images using V-works $4.0^{TM}$ program. Student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changes between pre- and post-operative measurements using SPSS 10.0 program. Results: 1. Mean peroperative FRI value ($12.87{\pm}3.43^{\circ}$) was slightly increased to postoperative value ($14.13{\pm}3.72^{\circ}$) (p < 0.05). The average FRI increased 10.42% and the range was from $-2.46^{\circ}$ to $3.34^{\circ}$. 2. Mean peroperative IGW ($99.01{\pm}5.36$) was slightly decreased to postoperative IGW ($96.51{\pm}5.88mm$) (p < 0.05). The average IGW decreased 2.52 % and the range was from $-6.61^{\circ}$ to 0.91 mm. 3. Mean preoperative ICW ($125.01{\pm}5.30mm$) was slightly decreased to postoperative ICW ($125.40{\pm}5.45mm$) (p < 0.05).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operative ICW. 4.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ship between FRI difference and IGW difference (p < 0.05).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lower ramus of the proximal segment is moved inward after BSSRO procedure for mandibular set-back.

Relationship between chin deviation and the position and morphology of the mandible in individuals with a un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 Kim, Kyung-Seon;Son, Woo-Sung;Park, Soo-Byung;Kim, Seong-Sik;Kim, Yong-Il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168-177
    • /
    • 2013
  • Objective: In this study, we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 deviation and the positional and morphological features of the mandible and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contributed to chin deviation in individuals with a un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UCLP). Methods: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images of 28 adults with UCLP were analyzed in this study. Segmented three-dimensional temporomandibular fossa and mandible images were reconstructed, and angular, linear, and volumetric parameters were measured. Results: For all 28 individuals, the chin was found to deviate to the cleft side by 1.59 mm. Moreover, among these 28 individuals, only 7 showed distinct (more than 4 mm) chin deviation, which was toward the cleft side. Compared to the non-cleft side, the mandibular body length, frontal ramal inclination, and vertical position of the condyle were lower and inclination of the temporomandibular fossa was steeper on the cleft side. Furthermore, the differences in inclination of the temporomandibular fossa, mandibular body length, ramus length, and condylar volume ratio (non-deviated/deviated)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hin deviation. Conclusions: UCLP individuals show mild chin deviation to the cleft side.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noted in the parameters that represented positional and morphological asymmetries of the mandible and temporomandibular fossa; however, these differences were too small to indicate clinical significance.

전산화단층사진을 이용한 하악골 3차원 영상에서 비대칭진단 계측항목의 재현도에 관한 연구 (Reproducibility of asymmetry measurements of the mandible in three-dimensional CT imaging)

  • 김고운;김재형;이기헌;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314-327
    • /
    • 2008
  • 본 연구는 하악골 3차원 입체영상에서 비대칭계측항목들의 재현도 비교를 통하여 안면비대칭 진단 시 유용한 계측점 설정에 도움이 되고자 시행되었다. 40명의 두경부 전산화단층사진을 이용하여 생성한 3차원 영상에서 하악골 형태를 결정짓는 부위로 하악과두, 하악우각부, 하악정중부를 선택하고 각 부위의 세부위치에 따라, 그리고 측정 시 보는 각도에 따라 구분하여 하악과두의 경우 $Cd_{sup}_{-}_{sup}$ 등 6개, 하악우각부의 경우 $Go_{inf}_{-}_{lat}$ 등 10개, 하악정중부의 경우 $Me_{-}_{ant},\;Me_{-}_{inf}$ 등 총 18개의 계측점을 설정한 후 이를 이용하여 하악골 비대칭 시 좌우 차이를 보일 수 있는 25개의 계측항목을 설정 및 계측한 후 조사자간 및 조사자내의 재현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조사자간 재현도의 경우 25개의 계측항목 중 3개를 제외한 모든 계측항목에서, 조사자내 재현도의 경우 2개 항목을 제외한 모든 계측항목에서 높은 재현도를 보였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설정한 18개의 계측점 중 $Go_{mid}_{-}_{lat},\;Go_{mid}_{-}_{obl}$가 포함된 계측항목이 조사자간 및 조사자내 재현도가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면구 결과 본 연구에서 사용된 18개의 계측점 중 16개의 계측점 (과두를 나타내는 $Cd_{sup}_{-}_{sup},\;Cd_{lat}_{-}_{ant},\;Cd_{lat}_{-}_{lat},\;Cd_{post}_{-}_{lat},\;Cd_{post}_{-}_{post},\;S$, 하악우각부를 나타내는 $Go_{int}_{-}_{lat},\;Go_{inf}_{-}_{inf},\;Go_{lat}_{-}_{ant},\;Go_{lat}_{-}_{lat},\;Go_{post}_{-}_{lat},\;Go_{post}_{-}_{post},\;Ag_{-}_{lat},\;Ag_{-}_{inf}$, 하악정중부를 나타내는 $Me_{-}_{ant},\;M_{-}_{inf}$)은 높은 재현도를 보이므로 전산화단층사진을 이용한 하악골 3차원 영상에서 안면비대칭 환자의 진단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