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shwater mollusk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1초

한국의 약용패류 (Medicinal Mollusks in Korea)

  • 정평림;박갑만;정영헌;용태순;임경일;소진탁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6권1_2호
    • /
    • pp.55-60
    • /
    • 2000
  • 동양에서 쓰이고 있는 약용패류는 육상 복족류 2과 5종, 담수 복족류 1과 2종, 해산 복족류 5과 23종, 담수 이매패류 3과 9종, 해산 이매패류 5과 24종 등 총 16과 63종이 약용패류로 사용되고 있었다. 이 중 한국산 약용패류는 담수 복족류 1종, 담수 이매패류 4종. 해산 복족류 7종, 해산 이매패류 10종 등 총 22종이 포함되었다. 앞으로 한국산 약용 연체동물 22종은 종 다양성 유지 및 그 보존적 차원에서 특별히 관리, 보존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Catalogue of the Mollusks of Jeju Island, South Korea

  • Noseworthy, Ronald G.;Lim, Na-Rae;Choi, Kwang-Sik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5-104
    • /
    • 2007
  • This catalogue is the result of a four-year survey of the mollusks of Jeju Island, the southernmost island in the Republic of Korea. Forty-eight survey stations were visited, with a total of 82 specific localities being sampled. Literature records were also obtained. Local and world distribution of each species is included. This survey reports a total of 1,072 mollusk species and subspecies; 1,015 marine and 57 land and freshwater. There are 812 gastropods, of which 755 are either entirely marine or have marine affinities. The best represented of the marine families are the Pyramidellidae, Trochidae, and Ovulidae. There are 225 bivalves, none being freshwater species, with the Veneridae, Mytilidae, and Arcidae having the largest number of species. Among the smaller classes there are sixteen Cephalopoda, eleven Polyplacophora, and eight Scaphopoda. Compared to mainland Korea, Jeju Island has a rather small terrestrial mollusk fauna and a depauperate freshwater one, with mainly Palearctic connections. The Helixarionidae and Bradybaenidae are the largest terrestrial families. The marine faunal affinities with the neighboring Japonic and Indo-West Pacific provinces are also discussed, revealing that this island's mollusk fauna is a blend of warm-temperate and subtropical-tropical species.

  • PDF

경상남도 남강유역의 의용패류 분포 및 흡충류 유충 감염실태 조사 (Distribution of medically important freshwater snails and larval trematodes from Parafossarulus manchouricus and Semisulcospira libertina around the Jinyang Lake in Kyongsang-Nam-Do, Korea)

  • 조해창;정평림이근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1권2호
    • /
    • pp.193-204
    • /
    • 1983
  • The Jinyang Lake is dammed up Nam River, and surrounded by Jinju city and four counties; Jinyang, Sanchong, Hading, and Sachon in kyongsang-Nam-Bo, Korea. The areas around this man-made lake have been known as an endemic focus of clonorchiasis in Korea. The present study was first aimed to know the distribution of freshwater mollusks including medically important snails, and larval trematodes shed from Parafossarulus manchouricus and Semisulcospira libertina. In addition to above studies, water analyses in each snail habitat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figure out a part of their environmental factors. This malaco-ecological survey was done at the sirs areas around upper, middle and lower parts of the lake for 4 months, August-November, 1983. Total nine species of freshwater mollusks were collected throughout the study: 4 species of gastropods: Semisulcospira libertina, Cipangopaludina chinensis, Parafossarulus manchouricus and Radin auricularia, and 5 species of bit.alves; Unio dcuglasiae, Ancdonta woodiana, Lamprotula gottschei, Corbicula yuminea and Limncperma lucustris. Out of nine species of freshwater mollusks, three species of gastropods; S. Zibertina, p. manchouricus and R. auricularia were medically important in terms of the transmission of digenetic trematodes to humans. P. manchouricus and R. auricularia were mainly collected from the shallow ponds and the irrigation channels with the muddy basin, but S. libertine and the bivalves were only collected from the stream of Nam River where the gravels and rocks were dominant. The levels of dissolved oxygen (D.O.) and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_5)\ of the water specimens sampled from the study areas ranged from 6.0 to 9.6 ppm and from 0.4 to 1.6 ppm respectively. As a result, it is considered that water system around the Jinyang Lake might be relatively clean without any heavy pollution of aquatic microorganisms and organic materials during the period of this study. On the other hand, eight metalic constituents from the water samples were also assayed, and all metalic ions detected were remarkably low below the legal criteria. However, calcium ion in the water samples from the habitats of P. manchouricus was considerably higher than others. Infection rates of digenetic trematodes in the snails were 6.9% in P. manchouricus and 4.8% in S. libertine, respectively. P. manchouricus snails harboring with thc cercariae of Clonorchis sinensis were only 0.14% among the snails examined, and other trematode cercariae except cercaria of C. sinensis were: furcocercus cercariae, cercaria of Loxogenes liberum type I and II. S. libertine snails parasitized with the cercariae of Metagonimus yokogawai were 1, 5% out of the snails examined, and no cercaria of Paragonimus westermani was found in S. libertine snails in the present study. Digenetic trematode cercariae other than M. yokogawai observed in S. libertina snails were: Cercaria yoshidae (B type) , Cercaria cristata, Cercaria innominatum, Cercaria of Centrocestus formosanus and Cercaria nipponensis.

  • PDF

아산시 일대 담수역의 연체동물상 (A Study on the Molluscan Fauna in the Freshwater of Asan Area)

  • 심윤보;신현철;정계헌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3-70
    • /
    • 2003
  • 아산시에 분포하는 담수산 연체동물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9년 10월부터 2000년 8월까지 101지점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본 조사에서 채집된 담수산 패류는 2 강 5 목 12 과 27 종이었으며 이중 복족류는 3 목 10 과 18 종이었고 이매패류는 2 목 2 과 9 종이었다. 온양천 수계는 19개 지점에서 2 강 5 목 11 과 21 종이 채집되었고 복족류는 3 목 9 과 17 종, 이매패류는 2 목 2 과 4 종이 채집되었다. 이곳 수계에 우점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종은 물달팽이, 왼돌이물달팽이, 논우렁이와 주머니알다슬기였다. 곡교천 수계 25개 지점에서 채집된 패류는 2 강 5 목 11 과 20 종이며 복족류는 3 목 9 과 15 종이었고 이매패류는 2 목 2 과 5 종이 채집되었다. 이곳 수계에서 흔히 분포하고 있는 종은 물달팽이, 수정또아리물달팽이, 애기물달팽이, 그리고 논우렁이 순이었다. 삽교호 수계 32개 지점에서 채집된 패류는 2 강 5 목 11 과 26 종이었으며 복족류는 3 목 9 과 17 종이었고 이매패류는 2 목 2 과 9 종이었다. 이곳 수계의 우점종은 물달팽이, 논우렁이, 또아리물달팽이 순이었다. 아산호 수계 25개 지점에서 채집된 패류는 2 강 5 목 12 과 21 종이었으며, 복족류는 3 목 10 과 17 종이었고 이매패류는 2 목 2 과 4 종이었다. 이곳 수계의 우점종은 논우렁이, 애기물달팽이, 물달팽이, 또아리물달팽이 순이었다. 서식환경별로 살펴보면 논에 주로 서식하고 있었던 종은 긴애기물달팽이, 배꼽또아리물달팽이, 왼돌이물달팽이였으며 하천에서는 물달팽이와 왼돌이물달팽이가 그리고 수정또아리물달팽이가 주로 나타났고, 저수지에서는 논우렁이와 물달팽이, 애기물달팽이, 긴애기물달팽이가 나타났다. 또한 호수에서는 논우렁이, 또아리물달팽이, 큰논우렁이, 물달팽이 순으로 나타났다. 대칭이, 작은대칭이, 펄조개는 저질이 니질인 곳에서 주로 서식하고 있었고 귀이빨대칭이는 사니질과 사질에 주로 서식하고 있었다. 특히 삽교호 수계 채집된 귀이빨대칭이는 사니질과 사질의 저질에서 출현하였다.

  • PDF

낙동강 하구언 건설에 의한 연체동물상 및 갑각류상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of the Molluscan and Crustacean Fauna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Naktong Estuary Barrage)

  • 장인권;김창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65-281
    • /
    • 1992
  • 1. 본 조사 연구는 낙동강 하구일대의 연체동물과 갑각류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재료는 1991년 8월-1991년 11월의 기간동안 물금-다대포-가덕도 일대와 죽림천, 맥도강에 이르기까지 총 30개 지점에서 직접 채집한 표본들과 관찰기록을 근거로 하였다. 2. 본 조사에서 채집, 동정된 연체동물은 이 지역에서 처음 출현한 2종을 포함하여 2강 6목 21과 31종이었으며 갑각류는 처음으로 채집된 6종을 포함하여 3아강 51 28과 50종이었다. 3. 본 조사연구 결과와 이전의 문헌상의 기록을 포함하면 낙동강 하구 일대에서 확인된 연체동물과 갑각류는 각각 3강 9목 37과 63종, 3아강 5목 51과 138종이 되며, 이들의 채집기록을 8개의 구역에 따라 하구언 완공 전후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4. 본 조사기간 동안 담수역인 하구언 이북의 낙동강 본류에서는 갑각류는 전혀 채집되지 않았으며 연체동물도 종수와 개체수가 크게 감소하여 담수종들의 정착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추측된다. 5. 하구언 이남의 을숙도 동안과 다대포에 이르는 강안의 지역은 석조제방공사로 인하여 혈거성 게류를 포함하는 조간대 종들이 거의 사라졌다. 6. 하구의 전 수역에 걸쳐 재첩과 반지락을 비롯한 식용패류는 하구언 완공 이전에 비해 개체수가 현저히 감소되었다. 담수종인 동남참게(Eriocheir japonicus)는 낙동강 전 수역과 인접한 하천에서 완전히 사라진 것으로 믿어진다.

  • PDF

한국 이매패류 내 VHSV 검출 및 잠재적 위험성 분석 (Detection and Analysis of the Potential Risk of VHSV in Bivalves in Korea)

  • 최재찬;김영철;최환준;박전오;정현도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7-35
    • /
    • 2015
  •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VHSV)는 세계적으로 담수와 해산어에 심각한 경제적 손실을 야기시키는 주요바이러스이다. 이매패류는 감염어로부터 해수로 방출된 바이러스를 여과섭식작용을 통해 축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carrier로써의 가능성이 보고된 바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를 확인하기 위해 국내 어류 양식장 주변에 서식하는 참굴(Crassotrea gigas)과 담치(Mytilus edulis)를 샘플링하였고, RT-PCR법을 통해 바이러스를 검출하여 패류 내 VHSV존재를 확인하였다. 기존 병성감정기관에서 사용하는 primer로는 IVa genotype만을 검출할 수가 있었기 때문에 Glycoprotein(G) gene의 conserved region에 대한 primer를 제작하여 VHSV의 4가지 타입 모두 검출할 수 있게 하였고 이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총 84개 중 22개의 시료가 nested PCR을 통해 양성으로 확인되었고, 이 중 6개의 양성시료를 시퀀싱하여 유전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국내 여러 지역의 패류에서 검출된 VHSV는 모두 IVa genotype으로 아주 제한적인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이는 국내 어류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VHSV의 타입은 IVa genotype이라는 이전의 보고와 상응하는 결과를 나타냈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양식장 주변에 서식하는 이매패류의 여과섭식작용으로 인한 축적되는 바이러스로 인한 전염가능성과 패류 내 존재하는 바이러스와 어류에서 질병을 발생시키는 바이러스와의 상호관계를 조사하였으며, 향후 다른 genotype의 유입 및 검출을 위한 연구는 계속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