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shness-Keeping Effort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Fresh Produce E-Commerce Supply Chain Coordination Considering Promotional and Freshness-Keeping Efforts

  • Xiaowei Hai;Tian Liao;Chanchan Zhao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9권4호
    • /
    • pp.513-526
    • /
    • 2023
  • Supply chain coordination plays a critical role in improving the enterprise performance and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fresh e-commerce. This study explores the coordination problem of a two-echelon fresh produce e-commerce supply chain comprising a fresh e-commerce enterprise and a fresh supplier in a novel framework. In this framework, the fresh e-commerce sells fresh produce and provides promotion effort; meanwhile, the fresh supplier deliveries fresh produce and provides freshness-keeping effort. Specifically, the optimal decisions under centralized and decentralized decision-making are compared, and it is found that centralized decision-making is more profitable. Based on this work, we created a cost-sharing and revenue-sharing combination contract.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is contract effectively coordinates the supply chain and makes both parties achieve Pareto optimization when the parameters meet certain conditions. Finally, the feasibility and validity of the contract are presented through a numerical example.

해외농업투자에 따른 유통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istribution system by overseas agricultural investment)

  • 선일석;이동옥
    • 유통과학연구
    • /
    • 제8권3호
    • /
    • pp.17-26
    • /
    • 2010
  • 세계경제 및 환경의 변화에 따라 농산물의 불안정적인 수급으로 인한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농산물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하여 국가 전략적 차원에서의 해외농업투자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정부차원의 지원 미진, 해외 농업에 대한 정보 및 기술 미비, 개발자금 확보의 어려움, 장기간의 투자금 회수기간, 사후관리 미흡 등의 이유로 성과를 이루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해외 농산물의 국내 반입 시 관세의 장벽, 물류 유통비용 등으로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어 국내에 반입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해외농업투자의 기본개념 및 실태를 살펴보고 해외농업투자의 필요성과 고려사항, 문제점 등을 도출하여 해외에서 재배된 농산물의 경쟁력을 위한 유통 측면에서의 개선방안을 정부의 간접적인 지원, 유통 현대화 및 유통정보기능 강화, 유통시설, 수송루트, 하역업무개선,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 교육 훈련을 통한 전문인력 양성 등 다섯 가지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