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sh food odor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4초

감귤의 묘사적 관능 특성 (Sensory properties of Satsuma mandarin by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 구경형;이경아;최정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41-250
    • /
    • 2015
  • 본 연구는 온주 감귤의 품질 등급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을 위하여 제주 감귤의 묘사적 관능 특성 개발과 재배 방법별 품질 지표간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제주산 온주 감귤의 훈련된 패널요원에 의해 묘사분석을 한 결과 5개의 외관 특성(광택 강도, 색 강도, 껍질 두께, 손상 정도, 껍질의 조직감), 3종의 냄새(신내, 단내, 신선한 냄새), 6종의 맛(신맛, 단맛, 쓴맛, 신선한 맛, 싱거운 맛, 이미), 4종의 텍스쳐(경도, 알갱이의 경도, 다즙성, 펄프감) 및 3종의 후미(신맛, 단맛, 쓴맛)가 선발되었다. 유기농 하우스재배 및 무농약 노지 재배 감귤과 관행재배 감귤의 품질 특성 중 고형분 함량의 경우 유기농 하우스 감귤의 고형분 함량이 가장 낮았고, 큰 감귤이 작은 감귤보다 고형분 함량이 적었다. 유기농 하우스 재배 귤이 다른 시료에 비해 낮은 pH와 약간 높은 산 함량을 가지고 있었다. 감귤의 품질 특성간의 상관 분석결과 감귤 껍질와 과육을 씹은 후 남는 펄프 함량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고형분 함량은 당산비, 감귤 과피의 색 강도, 단맛, 신선한 감귤맛, 과육 알갱이의 강도, 단 후미와 1% 유의 수준에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반면 쓴맛, 싱거운 맛, 이미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감귤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 특성의 주성분 분석 결과 첫 번째 주성분(F1)과 두 번째 주성분(F2)는 전체 데이터의 48.39%와 26.77%의 설명력을 보여 주었고, 총설명력은 75.16%였다. 주성분 F1은 가용성 고형분함량, 당산비, 과피의 광택 강도, 색 강도, 신향, 단향, 단맛, 쓴맛, 신선한 감귤맛, 싱거운 맛, 이미, 과육 알갱이의 강도, 후미의 단맛과 쓴맛이었고, F2는 감귤의 크기, pH, 산도, 과피의 손상도, 과피의 조직감, 신맛, 과육의 강도, 과육을 씹었을 때 남는 펄프 함량, 후미의 신맛이었다. 또 주성분 F3는 과피의 두께와 다즙성이었다. 즉 동일 지역의 동일 품종으로 재배된 유기농 하우스 재배 감귤과 관행 재배 시료와 전반적으로 이화학적 품질 특성과 관능적 특성에 차이가 있었다.

Chemical Compositions and Insecticidal Activity of Eucalyptus urophylla Essential oil Against Culex quinquefasciatus Mosquito

  • Pujiarti, Rini;Kasmudjo, Kasmudj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4호
    • /
    • pp.494-504
    • /
    • 2016
  • Eucalyptus oils are widely used as spices, perfume industrial materials, food flavorings, and medicines. Several types of Eucalyptus oils also have insecticidal activity and as carmina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emical composition, insecticidal (larvicidal and repellent) activity of E. urophylla oil against filarial mosquito Culex quinquefasciatus. E. urophylla oil was obtained from fresh leaves by water-steam distillation with oil yield 1.08%. E. urophylla oil in this study had no color (clear), has odor (typical eucalyptus), with specific gravity 0.941; refractive index 1.465; miscibility in 70% ethanol 1 : 3; and optical rotation (-) $5.83^{\circ}$. The major compounds of the oil were ${\alpha}$-pinene (11.73%), 1,8-cineole (49.86%), ${\beta}$-ocimene (6.25%), ${\gamma}$-terpinene (9.11%), and ${\alpha}$-terpinyl acetate (7.63%). The result showed the excellent insecticide activity against C. quinquefasciatus. The oil provided larvicidal activity with $LC_{50}$: 80.21 ppm and $LC_{90}$: 210.18 ppm, and repellent activity with $IC_{50}$: 0.82% and $IC_{90}$: 4.88%. The present study showed the effectiveness of E. urophylla as natural insecticide against C. quinquefasciatus, the mosquito vector of filariasis.

Effects of amino acid composition in pig diet on odorous compounds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of swine excreta

  • Recharla, Neeraja;Kim, Kihyun;Park, Juncheol;Jeong, Jinyoung;Jeong, Yongdae;Lee, Hyunjeong;Hwang, Okhwa;Ryu, Jaehyoung;Baek, Youlchang;Oh, Youngkyun;Park, Sungkwo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9권12호
    • /
    • pp.28.1-28.8
    • /
    • 2017
  • Background: Major amino acids in pig diets are Lys, Met, Thr, and Trp, but little is known about the requirements for the other essential amino acids, especially on odorous compounds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in feces of growing-finishing pigs. To this end, different levels of amino acid composition added to diet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mino acid composition on microbial characteristics and odorous compounds concentration. Methods: A total eight (n = 8) barrows (Landrace ${\times}$ Yorkshire ${\times}$ Duroc) with an average bodyweight of $89.38{\pm}3.3kg$ were individually fed diets formulated by Korean Feeding Standards 2007 (old version) or 2012 (updated with ideal protein concept) in metabolism crates with two replication. After 15-day adaptation period, fresh faecal samples were collected directly from pigs every week for 4 weeks and analysed for total volatile fatty acids (VFA), phenols and indoles by using gas chromatography. The nitrogen was determined by Kjeldahl method. Bacterial communities were detected by using a 454 FLX titanium pyrosequencing system. Results: Level of VFA tended to be greater in 2012 than 2007 group. Among VFAs, 2012 group had greater (p < 0.05) level of short chain fatty acids (SCFA) than control.Concentration of odorous compounds in feces was also affected by amino acid composition in pig diet. Levels of ammonium and indoles tended to be higher in 2012 group when compared with 2007 group.Concentration of phenols, p-cresol, biochemical oxygen demand, and total Kjeldahl nitrogen, however, were lower (P < 0.05) in 2012 treatment group compare to 2007. The proportion of Firmicute phylum were decreased, while the Bacteriodetes phylum proportion increased and bacterial genera includingCoprococcus, Bacillus, and Bacteroides increased (p < 0.05) in 2012 compare to 2007 group. Conclusion: Results from our current study indicates that well balanced amino acid composition reduces odor by modulating the gut microbial community. Administration of pig diet formulated with the ideal protein concept may help improve gut fermentation as well as reduce the odor causing compounds in pig manure.

차잎의 초기 성장 시기 동안 lipoxygenase 활성 및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 (Changes in Lipoxygenase Activity and Volatile Compounds of Fresh Tea Leaves During Early Growing Season)

  • 김현정;류성권;노진철;이상준;박승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1호
    • /
    • pp.23-27
    • /
    • 2003
  • Lipoxygenase는 녹차의 전체적인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신선하고 풋풋한 풀 향기(green odor)" 향기특성을 가지는 $C_6-alcoho$$C_6-aldehyde$$C_6$화합물을 생성시키는데 관여하는 효소로서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녹차잎의 초기 성장기간인 4뭘 4에서 15일까지 12일 동안에 매일 채엽한 녹차잎의 lipoxygenase 활성을 측정하고, 이에 따른 $C_6$화합물 및 terpene 등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여 수확 날짜에 따른 효소 활성과 녹차잎의 중요한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효소활성의 측정은 linoleic acid를 기질로 한 흡광도 측정방법을 사용하였고, 휘발성 향기성분은 Solid Phase MicroExtraction (SPME) 방법으로 휘발성 향기성분을 포집한 후에 GC또는 GC-MS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초기 녹차 잎 성장기간 동안 lipoxygenase 활성과 $C_6$화합물의 함량은 서로 비례하여 증가 또는 감소하였고, 이러한 변화는 당일의 온도변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향기성분의 양도 증가하였으며, 너무 이른 시기에 채엽한 시료는 향기 성분이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로부터 "신선한 풀향기"와 "향긋한 꽃향기 (floral)" 등 녹차향 품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향 화합물들이 녹차의 초기 채엽기간 중에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서 확인 할 수 있었으며, 향기품질이 우수한 녹차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생엽 성장 기간동안의 향기성분변화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동치미의 발효 중 화학적 및 관능적 성질의 변화 (Changes in 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Dongchimi during Fermentation)

  • 강근옥;손현주;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67-271
    • /
    • 1991
  • 동치미의 발효과정 중 주요 품질지표인 담금액의 pH, 총산도, 환원당 및 유기산 등의 화학적 성질과 냄새, 맛, 텍스쳐 등 관능적 특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동치미의 제조는 파, 마늘, 생강 등 양념을 첨가하여 7% 소금용액에 무를 담그고 $4^{\circ}{\sim}35^{\circ}C$의 범위에서 발효시켰다. 그 결과 담금액의 pH와 총산도의 감소경향에서 3개의 변곡점이 측정되었고 pH의 대수값과 총산도에는 부의 직선관계가 있었다. 이 직선의 기울기는 발효온도가 높을수록 높았다. 환원당은 pH $4.0{\sim}4.2$될 때까지 상승하다가 감소하였으며 발효온도가 $4^{\circ}C$에서 $25^{\circ}C$로 상승하면서 그 양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비휘발성 유기상은 젖산과 구연산이 주성분이었고 발효 중 젖산의 증가는 $4^{\circ}C$보다 $25^{\circ}C$에서 더욱 현저하였다. 관능적 특성중 생무우냄새나 맛은 현저히 감소하는 반면 신맛과 군덕내는 증가하였으며 무우조직의 사각사각함은 약간 줄어들었다.

  • PDF

동결건조에 의한 양파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 (Changes of Volatile Odor Components in Onion by Freeze-drying)

  • 김준형;서혜영;노기미;한병재;이성진;서유석;김경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30-235
    • /
    • 2005
  • SDE추출방법과 GC/MS 분석에 의하여 동결건조한 양파의 휘발성 유기정분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생양파와 동결건조양파에서 각각40와31종의 화합물이 확인되었으며, 이들은 ester류, aldehyde류, ketone류, alcohol류, 함황화합물류이었다. 함황화함물류들이 생양파와 동결건조 양파에서 주요 화합물로 가장 많은 함량을 차지하였고, 이 중 1-propanethiol과 dipropyl trisulfide, methyl propyl tirsulfide, dimethyl trisulfide는 생양파와 동결건조 양파에서 모두 다량 확인되었다. 생 양파에서 주요 성분으로 확인되었던 1-propanethiol, dipropyl trisulfide는 동결건조 양파에서 매우 감소되었고, methyl propyl trisulfide, methyl propyl disulfide 역시 같은 경향을 보였다. Methyl allyl sulfide, propyl ally sulfide, dially disulfide그리고 3,5-diethyl-1,2,4-trithiolane등의 함황화합물과 propanol, pentanol, hexanol 등의 alcohol류 등은 생양파에서 확인되었으나 동결건조 양파에서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양파의 건조과정 중 특징적인 휘발성 유기성분의 구성변화와 특성의 손실 그리고 효소 불활정화로 인한 휘발성 성분의 불완전한 생성 등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동결건조 양파에서 ethyl acetate, dimethyl disulfide와 2-methyl-2-pentenal은 생 양파에서보다 그 함량이 증가되었고, (Z)-propenyl methyl disulfide와 (E)-propenyl methyl disulfide 또한 동결건조 양파에서 증가되어 짐을 확인하였다.

사양관리에 따른 오리 육의 가공 적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ropriateness of Duck Meat Processing According to Feeding Management)

  • 이관호;최일신;남기택;김상현;오윤길;이치호;최강덕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03-208
    • /
    • 2007
  • 유기오리의 도체중은 일반오리보다 품종 및 사양방법의 차이에 기인하여 낮게 나타났으나 도체율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가슴부위의 정육율에서는 일반오리(11.95%)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다리부위(13.07%)에서는 일반오리(14.2%)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도축 직후 측정된 유기오리의 pH는 가슴 및 다리부위에서 각각 6.48 및 6.73으로 일반오리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일반적으로 다리부위의 pH값이 가슴육보다 유의적으로 나타났다(p<0.05). 유기오리육에서 다리근육이 가슴근육 보다 낮은 가열감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유기오리에 대한 일반 이화학적 검사 결과 일반오리육보다 높은 pH, 높은 전단력, 낮은 가열감량 등이 우수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육질 및 냄새, 연도, 맛에 있어서 일반오리보다 좋은 기호도를 보였으며 이와 같은 결과 전체적으로 우수한 식육 자원으로서 육제품 개발에도 충분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Effects of Natural Antioxidants on Protein Oxidation, Lipid Oxidation, Color, and Sensory Attributes of Beef Patties during Cold Storage at 4℃

  • Zahid, Md. Ashrafuzzaman;Seo, Jin-Kyu;Park, Jun-Young;Jeong, Jin-Yeon;Jin, Sang-Keun;Park, Tae-Seon;Yang, Han-Sul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1029-1042
    • /
    • 2018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use of golden thread extract (GTE), clove extract (CE), and commercially available nitrite for retarding lipid and protein oxidation and for maintaining color stability and sensory attributes in beef patties stored at $4^{\circ}C$. GTE, CE, and nitrite treatment samples were found to be efficient in retarding lipid oxidation as all three treatments resulted in low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content (p<0.05). By using GTE, CE, and nitrite into beef patties, protein oxidation was not developed. Incorporation of GTE and CE into beef patties maintained color stability by protecting against the decrease of $L^*$, $a^*$, $b^*$, chroma, and hue angle values and exhibited significant influence on sensory characteristics, including color and odor of beef patties (p<0.05). Compared to commercially available nitrite, GTE and CE were more effective as antioxidants for inhibiting lipid oxidation, and preserving color stability of fresh beef patties. The study indicated that GTE and CE could be utilized efficiently to extend the shelf life of beef patties.

Effect of Repeated Freeze-Thaw Cycles on Beef Quality and Safety

  • Rahman, Mohammad Hafizur;Hossain, Mohammad Mujaffar;Rahman, Syed Mohammad Ehsanur;Hashem, Mohammad Abul;Oh, Deog-Hwa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482-495
    • /
    • 2014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know the effect of repeated freeze-thaw cycles of beef on the sensory, physicochemical quality and microbiological assessment. The effects of three successive freeze-thaw cycles on beef forelimb were investigated comparing with unfrozen fresh beef for 75 d by keeping at $-20{\pm}1^{\circ}C$. The freeze-thaw cycles were subjected to three thawing methods and carried out to know the best one. As the number of freeze-thaw cycles increased color and odor declined significantly before cook within the cycles and tenderness, overall acceptability also declined among the cycles after cook by thawing methods. The thawing loss increased and dripping loss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Water holding capacity (WHC) increased (p<0.05) until two cycles and then decreased. Cooking loss increased in cycle 1 and 3, but decreased in cycle 2. pH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among the cycles. Moreover, drip loss, cooking loss and WHC were affected (p<0.05) by thawing methods within the cycles. 2-Thiobarbituric acid (TBARS) value increased (p<0.05) gradually within the cycles and among the cycles by thawing methods. Total viable bacteria, total coliform and total yeast-mould count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within and among the cycles in comparison to the initial count in repeated freeze-thaw cycles. As a result, repeated freeze-thaw cycles affected the sensory,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quality of beef, causing the deterioration of beef quality, but improved the microbiological quality. Although repeated freeze-thaw cycles did not affect much on beef quality and safety but it may be concluded that repeated freeze and thaw should be minimized in terms of beef color for commercial value and WHC and tenderness/juiciness for eating quality.

Potassium Sorbate에 침지한 냉장 돼지고기 안심의 미생물, pH 및 관능평가 (Microbiological, pH and Sensory Evaluations of Refrigerated Pork Tender-Loins Treated with Potassium Sorbate)

  • 김창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7-62
    • /
    • 2007
  • 본 연구는 $4^{\circ}C$ 냉장 동안 potassium sorbate로 침지한 돼지고기 안심의 미생물, pH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0.5{\sim}2.0%(w/w)$ potassium sorbate로 10분 동안 침지한 돼지고기 안심의 호기성 미생물과 그람음성 미생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4^{\circ}C$ 냉장 9일 동안 유의적 감소(P < 0.05)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 $4^{\circ}C$ 냉장 동안 potassium sorbate의 농도가 증가하므로 서 모든 처리군에서 돼지고기 안심의 호기성 미생물과 그람음성 미생물에 대한 항 미생물 효과를 보였다. $4^{\circ}C$ 냉장 6일 동안 potassium sorbate로 침지한 돼지고기 안심의 pH가는 증가함을 보였다. $0.5{\sim}1.0%(w/w)$ potassium sorbate로 침지한 돼지고기 안심의 관능평가 결과는 신선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냄새와 외관의 점수가 매우 유사함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 1.0% (v/w) potassium sorbate로 10분 침지한 돼지고기 안심은 관능평가 저하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4^{\circ}C$ 냉장 동안 미생물학적 저장 안정성을 확장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