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quency gain

검색결과 2,405건 처리시간 0.033초

수중 음향 통신에서 주파수 편이 변조 신호의 프리엠블 오류율을 이용한 주파수 이득 조절 연구 (A study on frequency gain control of frequency shift keying signals using the preamble error rate for underwater acoustic communications)

  • 정현우;정지원;김완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18-226
    • /
    • 2022
  • 수중 음향 채널의 주요 특징은 다중 경로와 빠른 주파수 페이딩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다중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주파수 변이 변조(Frequency Shift Keying, FSK) 신호는 다중 경로로 인한 선택적 페이딩으로 인하여 특정한 주파수에 할당된 정보 비트의 손실을 가져온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프리엠블 오류율 기반으로 각 중심 주파수의 이득을 조절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수신되는 신호의 페이딩으로 인한 특정 주파수의 이득을 변화하면서 프리엠블 오류율이 10 % 미만인 영역의 값을 할당하여 최적의 이득 값을 추정하였다. 경북 문경의 호수에서 300 m ~ 500 m의 이동 거리를 가지는 호수 실험을 하였으며, 부호화율 1/3을 가지는 주파수 변이 변조 신호의 터보 등화 모델에서 터보 등화 반복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제안한 알고리즘의 적용 시 모두 복호됨을 확인하였다.

CAUTION OF REGIONAL FLOOD FREQUENCY ANALYSIS BASED ON WEIBULL MODEL

  • Heo, Jun-Haeng;Lee, Dong-Jin;Kim, Kyung-Duk
    • Water Engineering Research
    • /
    • 제1권1호
    • /
    • pp.11-23
    • /
    • 2000
  • Regional flood frequency analysis has been developed by employing the nearby site's information to improve a precision in estimating flood quantiles at the site of interest. In this paper, single site and regional flood frequency analyses were compared based of the 2-parameter Weibull model. For regional analysis, two approaches were employed. The First one is to use the asymptotic variances of the quantile estimators derived based of the assumption that all sites including the site of interest are independent each other. This approach may give the maximum regional gain due to the spatial independence assumption among sites. The second one in Hosking's regional L-moment algorithm. These methods were applied to annual flood data. As the results, both methods generally showed the regional gain at the site of interest depending on grouping the sites as homogeneous. And asymptotic formula generally shows smaller variance than those from Hosking's algorithm. If the shape parameter of the site of interest from single site analysis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from regional analysis then Hosking's results might be better than the asymptotic ones because the formula was derived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ll sites have the same regional shape parameter. Furthermore, in such a case, regional analysis might be worse than single site analysis in the sense of precision of flood quantile estimation. Even though the selected sites may satisfy Hosking's criteria, regional analysis may not give a regional gain for specific and nonexceedance probabilities.

  • PDF

엑세스 잡음 억압에 의한 광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동시 접속 가능한 광센서 수량의 증가 (Improvement of Number of Sensors Simultaneously Connected to Optical Sensor Network Using Frequency domain Optical CDMA with Excess Noise Suppression)

  • 박상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243-249
    • /
    • 2007
  • 주파수 영역 광 CDMA방식에 의한 광센서 네트워크에서 접속 가능한 광센서의 수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이득 포화 증폭기를 사용하여 액세스 잡음을 억압한다.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하여 제안 광센서 네트워크에서 광센서의 스위핑 주파수를 10MHz이하로 설정하고 이득 포화증폭기의 이득을 증가시키면 엑세스잡음이 억압되고, 동시에 접속 가능한 광센서의 수가 종래의 방식에 비해 대폭으로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요구 SNR이 20dB이고 광센서의 스위핑 주파수가 10MHz일 경우 이득 포화 증폭기의 이득을 10dB로 설정하면 동시에 접속 가능한 광센서의 수가 종래의 방식에 비해 4배 이상으로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고Q고이득 VHF 능동필터와 그 FM 수신기에의 응용 (High Q High Gain VHF Active Filters and Their Application to FM Receivers)

  • 박송배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27-33
    • /
    • 1972
  • This paper describes the computer-aided design, fabrication and performance of high Q and high gain active filters suitable for microminiaturization in the frequency range of 10-800MHz, based on the negative resistance operation of a transistor. 48 as high as 1000 and a transducer gain as high as 35dB can readily be obtained with a single-transistor amplifier and with an inductance as small as a few nH at higher frequencies and 150 nH at lower frequencies in tile above frequency range. The gain of the proposed active filter can be stoabilized within $\pm$ 1.5 dB over the temperature range -1$0^{\circ}C$ to +5$0^{\circ}C$ and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center frequency is tapicalla 50ppm/$^{\circ}C$. An experimental FM receiver utilizing these fitters and operating at a carrier frequency of 92 MH3 was built. The whole circuit was fabricated on eight alumina substrates of by the thick-film hybrid IC technique and the coils are constructed, for miniaturization, in a spiral form of 3 or 4 turns of enamel copper wire with an overall diameter of about 5mm. The test results are also reported in this paper.

  • PDF

A Study on a Gain-Enhanced Antenna for Energy Harvesting using Adaptive Particle Swarm Optimization

  • Kang, Seong-In;Kim, Koon-Tae;Lee, Seung-Jae;Kim, Jeong-Phill;Choi, Kyung;Kim, Hyeong-Seok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0권4호
    • /
    • pp.1780-1785
    • /
    • 2015
  • In this paper, the adaptive particle swarm optimization (APSO) algorithm is employed to design a gain-enhanced antenna with a reflector for energy harvesting. We placed the reflector below the main radiating element. Its back-radiated field is reflected and added to the forward radiated field, which could increase the antenna gain. We adopt the adaptive particle swarm optimization (APSO) algorithm, which improves the speed of convergence with a high frequency solver. The result shows that performance of the optimized design successfully satisfied the design goal of the frequency band, gain and axial ratio.

연속 파장 가변시 현상론적인 비선형 이득포화효과가 다전극 DBR 레이저의 잡음특성에 미치는 영향 (Phenomenological Nonlinear Gain Saturation Effect on the Noise Characteristics of a Multi-electrode DBR Laser with Continuous Frequency Tuning)

  • 이석목;최원준;한일기;김회종;우덕하;김선호;이정일;감광남;박홍이
    • 한국광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35-141
    • /
    • 1995
  • 현상론적인 비선형 이득 포화 효과가 연속 파장 가변시 다전극 DBR 레이저의 잡음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으로 연구하였다. 광전송선 모델에 종 방향으로의 자발적 방출 분포에 의한 향상계수 K와 비선형 이득 포화 효과를 고려하여 연속 파장 가변시 출력의 감소에 따른 상대적 세기 잡음과 주파수 잡음 특성을 분석하였다. 수동부분의 주입전류의 증가에 따라 자발적 방출률은 증가하며, 이에 비례하여 상대적 세기 잡음, 주파수 잡음 및 선폭은 증가한다. 현상론적인 비선형 이득 포화 효과는 상대적 세기 잡음 및 주파수 잡음 특성에 큰 영향을 주지만 선폭은 오히려 감소한다.

  • PDF

Impact of the Gain-saturation Characteristic of Erbium-doped Fiber Amplifiers on Suppression of Atmospheric-turbulence-induced Optical Scintillation in a Terrestrial Free-space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 Jeong, Yoo Seok;Kim, Chul Han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5권2호
    • /
    • pp.141-146
    • /
    • 2021
  • We have evaluated the suppression effect of atmospheric-turbulence-induced optical scintillation in terrestrial free-space optical (FSO) communication systems using a gain-saturated erbium-doped fiber amplifier (EDFA). The variation of EDFA output signal power has been measu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gain saturation and modulation indices of the optical input signal. From the measured results, we have found that the peak-to-peak power variation was decreased drastically below 2 kHz of modulation frequency, in both 3-dB and 6-dB gain compression cases. Then, the power spectral density (PSD) of optical scintillation has been calculated with Butterworth-type transfer function. In the calculation, different levels of atmospheric-turbulence-induced optical scintillation have been taken into account with different values of the Butterworth cut-off frequency. Finally, the suppression effect of optical scintillation has been estimated with the measured frequency response of the EDFA and the calculated PSD of the optical scintillation. From our estimated results, the atmospheric-turbulence-induced optical scintillation could be suppressed efficiently, as long as the EDFA were operated in a deeply gain-saturated region.

COVID-19 유행 동안 대학생의 체중증가와 관련된 생활습관 및 식생활 변화 (Lifestyle and dietary changes related to weight gain in college stud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김지현;계승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6권3호
    • /
    • pp.288-299
    • /
    • 2023
  • 본 연구는 COVID-19 유행 동안 대학생의 체중변화를 알아보고 체중증가와 관련된 생활습관 및 식생활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대학생 270명을 대상으로 2021년 9월 22에서 10월 26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체중증가와 일반적 특성, 생활습관 및 식생활 변화와의 관련성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평가되었다. 체중이 증가하였다고 응답한 비율은 남성이 42,9%, 여성이 44.7%이었다. 체중이 증가한 주요 이유로는 외부활동 제한으로 활동량 감소, 배달음식이나 인스턴트 위주의 식습관으로 조사되었다. COVID-19 유행 동안 체중증가와 일반적 특성 및 생활습관과의 관련성을 평가한 결과 체중증가는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쁜 경우 (OR, 3.97, 95% CI, 1.98-7.96), 저체중 (OR, 0.19, 95% CI, 0.05-0.83)과 유의적 수준에서 관련성이 있었다. 체중증가와 식생활과의 관련성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체중증가가 아침 섭취빈도 증가(OR, 4.44, 95% CI, 1.76-11.21), 간식 섭취빈도 감소 (OR, 0.35, 95% CI, 0.16-0.77), 과일 섭취빈도 감소 (OR, 3.0, 95% CI, 1.32-6.80), 탄산음료 및 가당음료 섭취빈도 증가 (OR, 2.74, 95% CI, 1.26-5.99), 패스트푸드의 섭취빈도 증가 (OR, 2.32, 95% CI, 1.14-4.70)와 유의적 수준에서 관련이 있었다. COVID-19 유행은 체중증가와 생활습관 및 식생활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향후 감염병을 대비하여 좀 더 많은 표본을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건강 및 영양관리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청력 보정을 위한 고주파 증폭 회로 설계 (Design of High Frequency Boosting Circuits Compensating for Hearing Loss)

  • 이광;정영진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4권3호
    • /
    • pp.138-144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노인성 난청으로 인한 청력도 감쇄를 보상하는 고주파 증폭 회로를 제안한다. 노인성 난청은 고음역(고주파 대역)의 청력도가 저음역(저주파대역)에 비해 더 떨어지는 저주파 통과 필터의 특성을 보이므로, 보상회로는 임계주파수 이상의 대역에서는 주파수에 비례하여 신호를 증폭하고 임계주파수 이하에서는 증폭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구조이다. 제안된 고주파 회로는 미분기, 단위 이득 증폭기로 구성된다. 임계주파수는 볼륨 조절 레버 형태로 간단하게 제어가 가능한 구조로 노인들이 자신의 난청정도에 따라 쉽게 증폭도를 조절할 수 있다. 고주파 증폭회로의 임계주파수는 가청주파수 전 대역에서 연속적으로 조절 가능하고, 10 kHz 음역의 신호는 80dB 이상 증폭도를 가진다.

초고주파용 선형 이득 등화기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inear Gain Equalizer for Microwave band)

  • 김규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635-639
    • /
    • 2016
  • 초고주파 대역에서 사용하는 소자들은 기생성분으로 인하여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이득이 감소한다. 이러한 특성을 보상하기 위해 전자전과 같은 광대역 시스템에서는 반대의 기울기를 갖는 선형 이득 등화기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18~40GHz 대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선형 이득 등화기를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설계와 제작의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회로설계와 모멘텀 설계를 진행하였다. 구현 주파수 대역 내에서 가능한 기생성분을 최소화하기 위해 thin film 공정을 사용하였으며, 박막저항의 길이에 의한 파장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100 ohm/square의 sheet resistance로 설계하였다. 본 선형 이득 등화기는 직렬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에 사분의 일 파장을 갖는 공진기를 저항으로 결합하는 구조이다. 모두 3개의 1/4 파장의 Short 공진기를 사용하였다. 제작된 선형 이득 등화기는 40GHz에서 -5dB 이상의 손실을 가졌으며, 18 ~ 40 GHz 대역에서 6dB 기울기를 나타내었다. 제작된 이득 등화기를 전자전 수신기와 같은 광대역 MMIC들이 다단으로 연결된 장치 내부에 사용한다면 주파수가 증가에 따른 이득 평탄도 악화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