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enomenological Nonlinear Gain Saturation Effect on the Noise Characteristics of a Multi-electrode DBR Laser with Continuous Frequency Tuning

연속 파장 가변시 현상론적인 비선형 이득포화효과가 다전극 DBR 레이저의 잡음특성에 미치는 영향

  • 이석목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정보전자연구부) ;
  • 최원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정보전자연구부) ;
  • 한일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정보전자연구부) ;
  • 김회종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정보전자연구부) ;
  • 우덕하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정보전자연구부) ;
  • 김선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정보전자연구부) ;
  • 이정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정보전자연구부) ;
  • 감광남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정보전자연구부) ;
  • 박홍이 (연세대학교 물리학과)
  • Published : 1995.06.01

Abstract

Phenomenological nonlinear gain saturation effect on the noise characteristics of a multi-electrode DBR laser, when the lasing wavelength changes continuously, is presented theoretically. Using the optical transmission line theory, noise characteristics reliant on output power are analyzed by taking into account both the spontaneous enhancement factor K due to the distribution of the spontaneous emission along the active cavity and the nonlinear gain saturation effect. Spontaneous emission rate was increased due to an increase in injected current into the passive section, which in turn lead to increase in relative intensity noise (RIN) and frequency noise. Phenomenological nonlinear gain saturation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RIN and frequency noise characteristics. However. Iinewidth was found to decrease due to a phenomenological nonlinear gain saturation effect. ffect.

현상론적인 비선형 이득 포화 효과가 연속 파장 가변시 다전극 DBR 레이저의 잡음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으로 연구하였다. 광전송선 모델에 종 방향으로의 자발적 방출 분포에 의한 향상계수 K와 비선형 이득 포화 효과를 고려하여 연속 파장 가변시 출력의 감소에 따른 상대적 세기 잡음과 주파수 잡음 특성을 분석하였다. 수동부분의 주입전류의 증가에 따라 자발적 방출률은 증가하며, 이에 비례하여 상대적 세기 잡음, 주파수 잡음 및 선폭은 증가한다. 현상론적인 비선형 이득 포화 효과는 상대적 세기 잡음 및 주파수 잡음 특성에 큰 영향을 주지만 선폭은 오히려 감소한다.

Keywords

References

  1. J. Lightwave Technol. v.LT-8 T.L.Koch;U.Koren
  2. IEEE J. Proc. v.79 T.P.Lee
  3. Phys. Rev. v.184 H.Haug
  4. IEEE J. Quantum Electron. v.QE-15 T.L.Paoli
  5. IEEE J. Quantum Electron. v.QE-21 J.Shapiro
  6. J. Lightwave Technol. v.LT-3 V.Chan;T.Yee;G.Abbas
  7. J. Lightwave Technol. v.LT-6 R.Gross;P.Meissner;E.Patzak
  8. J. Lightwave Technol. v.LT-4 C.H.Henry
  9. IEEE Photon. Lett. v.2 S.L.Woodward;T.L.Koch;U.Koren
  10. Electron. Lett. v.27 E.Gobar;R.Schatz
  11. IEEE J. Quantum Electron. v.QE-28 M.Ferreira;J.R.Rocha;J.L.Pinto
  12. Opt. Quantum Electron. v.23 M.Ferreira;J.R.Rocha;J.L.Pinto
  13. IEEE J. Quantum Electron. v.QE-23 B.Tromborg;H.Olesen;X.Pan;S.Saito
  14. IEEE J. Quantum Electron. v.QE-24 X.Pan;H.Olesen;B.Tromborg
  15. J. Korean Phys. Soc. v.26 S.Lee;S.Y.Lee;H.L.Park;W.J.Choi;J.I.Lee;K.N.Kang
  16. IEEE J. Quantum Electron. v.QE-20 P.Spano;S.Piazzolla;M.Tamburrini
  17. 한국광학회지 v.4 이석;박노헌;박홍이;최원준;한일기;이정일;강광남
  18. IEEE J. Quantum Electron. v.QE-25 Y.Kotaki;H.Ishikaw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