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quency Deviation

검색결과 1,420건 처리시간 0.025초

농촌 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생활 경험에 대한 인식 (Awareness to the Experience of Rural Married Migrant Women's Life in Korea)

  • 이현심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0권1호
    • /
    • pp.71-103
    • /
    • 2013
  • 본 연구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생활 경험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경기도와 인천에 거주하는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자기기입 방식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활용하여 빈도분석,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이주여성들의 절반이상은 자신들의 생활에 만족하고 있으며, 남편과의 만족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자녀교육에 대한 인식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학습지도이며, 자녀에게 가장 필요한 지원은 기초 교과지도, 자녀교육의 문제해결 방법으로 방과 후 학교교육 활성화와 언어소통으로 나타났다. 한국생활에서 힘든 점은 언어문제이며, 차별받은 장소는 공공장소로 나타났다. 한국사회에 적응하는데 가장 필요한 도움은 언어소통, 자녀교육, 지역사회 적응의 문제가 같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자주 참여하는 모임이나 활동은 종교단체, 모국친구 모임이며, 어려울 때 의논하는 사람은 한국인, 모국인 순서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라 농촌지역 결혼이주 여성들이 지역사회와 한국사회에 잘 적응하여 자녀들을 잘 양육할 수 있는 기틀을 지역사회와 한국사회는 제도적으로 잘 마련하며 또한 기초 프로그램을 더욱 활성화 시켜야 할 것이다.

남성 방광암환자와 전립성비대증 환자에서 배뇨증상, 배뇨 불편감 및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Relationship of Urinary Symptom, Urinary Discomfort and Quality of Life in Bladder Cancer and Benign Prostatic Hypertrophy of Male Patients)

  • 김금순;최은숙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78-87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lationship of urinary symptom, urinary discomfort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 bladder cancer patients and benign prostate hypertrophy patients, and to contribute health promotion of such patients and nursing intervention development based on this results. Method: Study sample recruited bladder cancer patents(n=49) and benign prostate hypertrophy patients who admitted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une, 2002 to June, 2003. Both group patients were operated, and prostate hypertrophy patients group (mean 67.8 years old) were older than bladder cancer patients group(60.82 years old). Instruments was compos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urinary symptom scale(19 items), urinary discomfort scale(19 items) and quality of life scale(21 items). Data was analysed SPSS PC + 10. using mean, standard deviation,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 as follows: 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ccupation between two groups (p=.027). Hypertrophy patients group's age was more older than bladder cancer patients group. 2. The prostate hypertrophy patients group had the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urinary symptom (p=000) and nighttime urination frequenc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continence symptoms and the symptoms associated bladder cancer between two groups. 3. The prostate hypertrophy patients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urinary discomfort (p=000) than the bladder cancer patients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continence discomfort and the discomfort associated bladder cancer between two groups. 4. The prostate hypertrophy patients group suffered more urinary discomfort than the bladder cancer patients group did. The quality of life the prostate hypertrophy patients group was lower than the quality of life the bladder cancer patients group. Quality of lif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p=000). 5.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urinary symptoms and urinary discomfort. However,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quality of life and urination symptoms and discomfort. Conclusions: The prostate hypertrophy patients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urinary symptom and urinary discomfort (p=000) than the bladder cancer patients group. The quality of life the prostate hypertrophy patients group was lower than the quality of life the bladder cancer patients group. This means that urinary symptom and urinary discomfort in prostate hypertrophy patient group is more important problem. So, prostate hypertrophy patient group need to control the symptom. Therefore, nurses will be provide the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the bladder function after prostate hypertrophy surgery.

  • PDF

여름철 제주 남부해역에서 내부 조석에 의한 음파 전달손실의 시간적 변화 모의실험 (Simulation of Temporal Variation of Acoustic Transmission Loss by Internal Tide in the Southern Sea of Jeju Island in Summer)

  • 김주호;김한수;팽동국;방익찬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2-19
    • /
    • 2015
  • 여름철 제주 남부해역에서 내부조석에 의한 음향특성 변화를 실측 자료와 모의실험을 통해 연구하였다. 이를위해 서귀포 인근 해역의 수심 80 m 내외인 두 정점에서 2009년 7월 27일과 28일에 걸쳐 25시간동안 한 시간 간격으로 수심별 수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조석에 의해 해수 상층부의 등수온선이 약 10 m이상 반일주기로 변하는 현상이 관측되었다. 이로 인한 음파전달손실의 시간적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음원을 수심 10 m에 두고 거리 3.8 km 떨어진 두 관측 정점 사이에서 음파전달을 모의하였다. 중심주파수 100 Hz인 1/3 옥타브 밴드의 경우 특정 수심 및 거리에서 반일주기가 지배적 이었으나 1 kHz의 경우는 반일주기 성분이 거의 나타나지 않고 복잡한 변화를 보였다. 음원에서 거리 2.8 km떨어진 지점에서 시간에 따른 전달손실 변화의 표준편차는 중심주파수 100 Hz의 경우 수심에 따라 최대 4.2 dB 였으며, 1 kHz의 경우 최대 3.7 dB인 것으로 나타났다. 탐지성능 60 dB를 고려한 탐지거리를 분석한 결과 두 중심주파수 경우 모두 반일주기 변화가 나타났으며 최대 1.0 km 미만의 변화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차후 제주 남부해역의 음향 특성 실험 및 연구 수행 시 전달손실의 시변동성에 대해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범이론적모델을 이용한 교대근무 간호사의 운동행위 변화단계에 미치는 융합적인 영향요인 (Converged Influencing Factors on the Stages of Exercise Behavior Change of Nurses in Shift Work Using Transtheoretical Model)

  • 이혜경;정영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35-4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교대근무 간호사의 운동행위변화단계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요인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병원에 근무하는 교대근무 간호사로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할 것을 동의한 120명의 간호사이다. 연구 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X^2$ test,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교대근무 간호사의 운동행위변화단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운동 동기(${\beta}=2.480$, p=.022), 건강상태 지각(${\beta}=1.151$, p=.013), 사회적지지(${\beta}=1.819$, p=.002)와 결혼유무(${\beta}=-1.820$, p=.004)로 나타났다. 즉, 운동행위 변화가 있는 대상자가 운동행위 변화가 없는 대상자에 비해 운동 동기가 11.9배 높고, 건강상태 지각은 3.1배 높았으며 사회적 지지는 6.1배, 미혼인 대상자는 기혼인 대상자에 비해 .16배 높았다. 그러므로 교대근무간호사의 운동행위 변화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운동동기와 사회적지지, 건강상태 지각인 점을 고려하여 지속적이고 규칙적인 운동을 실천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노년기 여가활동 활성화 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 - 노인의 여가활동과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 (The Basic Study on Activating the Education of Leisure Activity for the Old Age -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ctivities(level and types)and life satisfaction -)

  • 정유리;이신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49-63
    • /
    • 2013
  • 본 연구는 노인의 여가활동 정도와 유형이 생활만족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노년기 여가활동의 중요성을 밝히고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높힐 수 있도록 여가활동 활성과 교육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두며 여가교육에 있어 가정과 교육의 중요성을 논하고 있다. 연구의 조사대상은 전남 동부권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남녀노인 28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신뢰도 검증,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정도 및 유형과 생활만족도의 정도를 알아본 결과 가장 많이 참여하는 여가활동 유형은 소일거리 활동과 가족중심활동이었으며 자기개발 활동 및 종교, 사회봉사활동에는 참여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들의 여가활동은 생활수준이 높을 때, 가정분위기가 좋을 때, 건강이 좋을 때 여가활동에 더 많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활동에 따른 생활만족도는 오락 및 사교활동에 참여할 때, 자기개발활동에 참여할 때, 가족중심활동에 많이 참여할 때 생활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가활동을 많이 한 노인일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길어진 노후생활에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우리 문화에 맞는 노인여가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이에 대한 참여가 필요하다. 그리고 노인의 여가활동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가정과 교육이 교과내용으로 다루고 이를 실천해야 할 것이다.

  • PDF

경북지역 장애아전문어린이집의 작업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조사 (Satisfaction Survey of Occupational Therapy Service at Specialized Child-care Centers for Disabled in Gyeongbuk)

  • 강석구;이춘엽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5-62
    • /
    • 2015
  • 목적 : 경북지역의 장애아전문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작업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경북지역의 14개 장애아전문어린이집에서 작업치료를 받고 있는 아동의 부모 104명을 대상으로 2014년 7월부터 2015년 3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빈도분석과 평균 및 표준편차, 일원배치분산분석을 하였다. 결과 : 아동이 작업치료를 처음 받은 시기는 평균 3.25세, 작업치료서비스를 받아 온 기간은 평균 31.84개월이었고, 작업치료를 이용한 주된 동기는 어린이집 상담을 통한 것이 40.4%로 가장 많았다. 작업치료 이외 받는 서비스는 언어치료가 78.0%로 가장 많았고, 작업치료의 필요성에 대해 매우 필요가 69.3%로 가장 많았다. 작업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작업치료사의 태도가 평균 4.49점이었고, 작업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평균 4.36점이었으며, 작업치료실의 환경이 평균 4.26점으로 작업치료사의 태도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 작업치료서비스의 만족도를 바탕으로 객관적인 시각으로 작업치료를 볼 수 있었고, 보다 효과적이며 의미 있는 작업치료가 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었다.

  • PDF

119구급대원의 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도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level of Recognition and Practices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about Infection Control)

  • 윤형완;정지연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99-113
    • /
    • 2008
  • In order to protect Rescue 119 workers exposed on the spot from potential infection, this study identified their awareness and practices of infection control so that it could help preventing them from infection and also provide basic materials necessary for pre-hospital infection control. This study applied questionnaire survey to total 215 Rescue 119 workers at fire stations in Jeonbuk province, Jeonnam province and Gwangju city from July 14 to Sept. 14, 2006 for the benefit of data collection. The questionnaire about possible associations between awareness and practices of infection control consisted of total 46 times across 6 categories such as washing hands during emergency activities ; fluid therapy and injection ; respirator maintenance; individual hygienics ; disinfectant supplies and equipments maintenance ; and control of infectious wastes. And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SPSS statistic program to analyze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and one-way ANOVA. As a result, this study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 In terms of awareness about infection control, our respondents showed highest awareness about infectious waste control, and also showed highest level of practices in washing hands during emergency activities. Throughout all domains, awareness means were higher than practice means. In particular, infectious waste control was the domain of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wareness and practices. In terms of associations between awarenes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female rescue worker group and hospital/general hospital career group (before joining the Rescue 119)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wareness on statistic level. In regard to associations betwe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practices, it was found that female rescue worker group showed higher level of practices than male group on statistic level. This study also analyzed correlations between rescue workers' awareness and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awareness was in correlations with the higher practices across all 6 domains including washing hands. In addition, the higher awareness of a questionnaire item was in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higher practice of other items. However, our respondents showed high awareness about anti-infection, but low practices in reality. This indicates necessity of devising possible solutions to improve the practices as much as awareness. Especially, it was noted that major reasons for insufficient practices of infection control guideline come from unhabituated practices and lack of supports for infection-preventing supplies and protective device (mask, etc). Hence, it is necessary to provide more infection-preventing supplies for local rescue workers sufficiently, in parallel with steady habituation of infection control. Furthermore, it is required to manage and study infection control policies even at pre-hospital step in efforts for effective infection control, education and activities.

  • PDF

하지운동과 탄력압력스타킹 적용이 일종합병원 간호사의 하지부종과 하지통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Lower Extremities Exercise and Elastic Compression Stockings on Edema and Pain of Lower Extremities in Nurses)

  • 최영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8037-8045
    • /
    • 2015
  • 본 연구는 하지운동과 탄력압력스타킹 적용이 간호사의 하지부종 및 통증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 후시차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E시에 소재하는 일개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30명으로 탄력압력스타킹 적용군 10명, 하지운동 적용군 10명, 대조군 10명으로 구성되었다. 자료수집은 2015년 8월 10일부터 2015년 8월 31일까지 이루어졌다. 실험처치는 실험군인 탄력압력스타킹 적용군은 근무 중 탄력압력스타킹을 착용하며 하지운동 적용군은 근무 전 하지운동을 적용하였다. 종속변수인 하지부종은 줄자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하지통증은 숫자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하지운동 적용군, 탄력압력스타킹 적용군과 대조군간의 하지부종에 대한 차이에 대한 비교는 지지되었으며(오른쪽 종아리 F=0.645, p=.000, 왼쪽 종아리 F=21.941, p=.000), 하지운동 적용군, 탄력압력스타킹 착용군과 대조군간에는 하지통증에 대한 차이에 대한 비교는 지지 되었다(오른쪽: F=7.320, p=.000 왼쪽: F=10.623, p=.000). 또한 하지운동 적용군과 탄력압력스타킹 적용군은 근무 후 발목둘레와 종아리둘레가 감소하였으나 대조군의 경우는 발목둘레와 종아리둘레가 오히려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에 하지운동 적용과 탄력압력스타킹 적용은 간호사와 같이 장시간 서서 일하는 직업 종사자들의 하지부종 감소 및 통증완화를 위해 효과적인 중재방법임을 알 수 있다.

선택적인 다공질 실리콘 에칭법을 이용한 압저항형 실리콘 가속도센서의 제조 (Fabrication of Piezoresistive Silicon Acceleration Sensor Using Selectively Porous Silicon Etching Method)

  • 심준환;김동기;조찬섭;태흥식;함성호;이종현
    • 센서학회지
    • /
    • 제5권5호
    • /
    • pp.21-29
    • /
    • 1996
  • (111), $n/n^{+}/n$ 3층 구조의 실리콘 기판을 HF 용액 내에서 양극반응시켜 선택확산된 $n^{+}$ 층에 다공질 실리콘층(Porous Silicon Layer : PSL)을 형성한 후, 이를 5% NaOH 수용액에서 식각하여 미세구조를 제조하는 다공질 실리콘 식각법을 이용한 실리콘 미세구조의 제조법으로 8개의 빔을 갖는 압저항형 실리콘 가속도센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가속도센서의 매스 패드(mass pad)의 반경, 빔 길이, 빔 폭, 그리고 빔 두께는 각각 $700\;{\mu}m$, $50;{\mu}m$, $100\;{\mu}m$, $7\;{\mu}m$ 였다. 자동차의 응용을 위하여 50g 범위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진동질량은 2 mg으로 제조하였다. 이때, 진동질량을 부가하는 방법은 Pb/Sn/Ag 솔더 페이스트를 매스 패드에 디스펜싱한 후, 3-zone reflow 장치를 사용하여 열처리하였다. 제조된 가속도센서의 충격응답에 대한 감쇠시간은 약 30 ms로 나타났으며, 가산회로로 합한 출력의 감도는 2.9 mV/g이며, 비선형특성은 full scale 출력에서 2%이하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각 브릿지의 편차는 ${\pm}5%$ 미만으로 나타났다. 또한 측정된 타축감도는 약 4% 이하로 나타났으며, 시뮬레이션 결과로 부터 얻은 센서의 공진주파수는 2.15 KHz이었다.

  • PDF

치과위생처치와 관련된 두려움, 불안 및 관련요인 -일부 치위생처치 환자를 대상으로- (Dental Hygiene Treatment Fear, Anxiety and Related Factors in Dental Patients)

  • 조명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419-436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ental hygiene treatment fear and anxiety in dental patients. METHODS: The sample consisted of 466 dental patients who had received the dental hygiene treatment at 8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in Daegu city between March and August 2006 studied. Dental hygienists recruited a questionnaire, which includes generalized anxiety sub-scale(4 items), specific fear sub-scale(5 items), distrust sub-scale(5 items), and catastrophic anxiety sub-scale(4 items). Minimum score is 1, and maximum score is 5. The research was designed to be a cross-sectional measured study. SAS statistical software was used for the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ample were described by mean and standard deviation(SD) for continuous variables an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for categorical variables. The Student's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ANOVA) were used to compare fear and anxiety score in demographic variables. 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relationship among values of fear and anxiety for dental hygien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fear and anxiety related with dental hygiene. RESULTS: A total of 466 dental patients were analyzed, their average age${\pm}$SD was $37.7{\pm}12.9$ years(range: 15-79 yr). The mean value for dental hygiene fear and anxiety was 2.70(generalized anxiety 2.65, specific fear 2.93, distrust anxiety 2.72, and catastrophic anxiety 2.42, respectivel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p<0.05), 2.81 for women was higher than 2.55 for men(p=.0000). The older we are, the higher fear and anxiety for dental hygiene treatment were. that is, under age of 20 years 2.49, 20 years 2.59, 30 years 2.69, 40 years 2.77, 50 years 2.88, 60 years 2.69, and over age of 70 2.45, respectively(p=.0321). Factors related to dental hygiene treatment fear and anxiety by multiple regressions were gender(${\square}$=0.18, p=0.0001), age(${\square}$=.07, p=.0058), and the time when visits dentist recently(${\square}$=.07, p=.0058). CONCLUSIONS: In conclusion, gender, age and the time when visits dentist recently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ntal hygiene treatment fear and anxiety. We recommend that further research should investigate a dental hygiene treatment fear and anxiety by using more follow-up stud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