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ight Determinant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4초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hird Party Logistics Service Suppliers in Dongdaemun Market

  • Zhang, Yu-Liang;Yoo, Chang-Gwon;Kim, Gi-Pyoung
    • 유통과학연구
    • /
    • 제15권2호
    • /
    • pp.27-36
    • /
    • 2017
  • Purpose - This study was intended to find the selection attribution factors and service satisfaction determinants of third party logistics suppliers in Dongdaemun wholesale marke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nd the retailers and wholesalers in Dongdaemun wholesale market were asked to fill in it. Company employees using third party logistics service were selected by a random sampling method. Results - It is easy for both retailers and wholesalers to use third party logistics service. The logistics companies in Dongdaemun wholesale market have paid more heed to the security of freight and the operability. That is, the freight safety and operating service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selecting third party logistics suppliers, and they both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user satisfaction. There is no relation between service level and recognition in selection factors of third party logistics suppliers. All the responsiveness, operability and informativeness of third-party logistics providers h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user satisfaction. Conclusions - Third party logistics service is entirel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delivery or transport service. The most market vendors' wish for third party logistics suppliers is the stability of freight and robust operating service. They also demand the responsiveness for special or emergency situation with having information strength.

복합운송업자의 해상운송서비스 질 인식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 해상화물운송주선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Freight Forwarders' Perceptions of Shipping Service Quality)

  • 신한원;김성국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65-79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i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veral factors representing shipping service quality enumerated in the service marketing literature and the adaptability to the marketing strategy of container shipping firm. An empirical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not only the determinants of shipping service quality but also ists implications to the service marketing strategy. The data investigating the deteminants of shipping service quality were collected from Korean Multimodal Company , Shipping Freight Forwarder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data.

  • PDF

케이프선 시장 운임의 결정요인 및 운임예측 모형 분석 (An Analysis on Determinants of the Capesize Freight Rate and Forecasting Models)

  • 임상섭;윤희성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539-545
    • /
    • 2018
  • 운임시장의 심한 변동성과 시계열 데이터의 불안정성으로 해운시황 예측에 대한 연구가 큰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지만 최근 대표적인 비선형 모델인 기계학습모델을 적용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부분의 기존 연구가 계량모델의 설계단계에서 입력변수에 해당하는 요인들을 기존 문헌연구와 연구자의 직관에 의존하여 선정했기 때문에 요인선정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케이프선 운임을 대상으로 단계적 회귀모형과 랜덤포레스트모델을 이용하여 중요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해운시장에서 비교적 단순한 수급구조를 가져 요인파악이 용이한 케이프선 운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16개의 수급요인들을 사전 추출하였다. 요인간의 상호관련성을 파악하여 단계적 회귀는 8개 요인, 랜덤포레스트는 10개 요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변수를 입력변수로 하여 예측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랜덤포레스트의 예측성능이 아주 우수하였는데 수요요인이 주로 선정된 단계적 회귀분석과는 달리 공급요인이 비중 있게 선정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운임예측 연구에 있어 운임결정요인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를 마련하였으며 이를 위해 기계학습 기반의 모델을 활용하였다는데 연구적 의의가 있다. 또한 시장정보의 분석에 있어 실무자들이 어떤 변수에 중점을 두어야 하는지에 대해 합리적 근거를 제시한 측면에서 해운기업의 의사결정에 실질적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자산가격결정요인의 선박가격에 대한 파급효과 분석 (The Spillover from Asset Determinants to Ship Price)

  • 최영재;김현석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59-71
    • /
    • 2016
  • 본 논문은 2000년 1월부터 2014년 10월까지의 시계열 자료를 사용하여 이자율과 운임이 선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선행연구와 달리, 동태적 고든(Gordon) 모형을 통하여 이자율이 할인율로써 선가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였으며, 이자율과 운임이 선가에 미치는 동태적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벡터자기회귀모형과 충격반응분석, 예측오차분산분해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벡터자기회귀모형의 추정은 선가와 이자율이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가지며, 선가와 운임의 유의한 양(+)의 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선가의 동태적 고든(Gordon) 모형 하에서 선가는 이자율과 운임에 의존함을 의미한다. 둘째, 이자율과 운임의 동태적 영향이 지속되는 기간을 파악하기 위해 충격반응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자율과 운임의 충격에 대한 선가의 반응은 모두 약 7개월 간 지속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예측오차분산분해의 실증결과는 선가 변동을 설명하는데 있어 운임의 영향이 이자율보다 상대적인 비중이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우리나라 화주기업의 입지선택 특성분석(내수화물을 중심으로) (Determinants of Domestic Shippers' Location Choice Decisions)

  • 김찬성;성홍모;안승범;예충열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1-71
    • /
    • 2007
  • 우리나라에서는 국가물류 개선대책의 일환으로 전국 단위의 물류조사가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조사된 물류조사 자료와 사회경제지표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화주기업의 입지선택 특성을 분석한다. 분석에 사용되어진 자료는 첫째, 최근에 수행된 사업체 물류조사 중 내수화물을 중심으로 개별 입하 및 출하에 대하여 입출하 지역, 입출하 품목, 교통수단, 통행시간 그리고 통행비용이 조사된 자료를 이용하였다. 둘째, 통계청에서 발간하는 자료를 이용하여 화주기업이 입지하고 있는 지역의 사회경제지표를 이용한다. 기업의 입지선택 효용을 구하기 위하여 location choice 모형을 채택하였으며, 입하지역과 출하지역의 수송비용 특성 그리고 입하지역과 출하지역의 시장 크기 등 입지 결정에 미치는 요인이 분석된다. 최근 수년동안 급속히 변화하고 있는 국내외 물류환경변화에 기업이 중요하게 판단하고 있는 입지선택요인을 파악하고 향후 정부의 기업입지정책에 필요한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해운서비스시장에 있어서 관계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 정기선사와 운송주선인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Relationship Quality in Shipping Service Market : Primarily on Relationship between Liner Shipping Companies and Freight Forwarders)

  • 최영로;신한원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3-83
    • /
    • 2006
  • 본 연구는 해운서비스 거래기업간의 관계를 대상으로 관계마케팅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보다 동태적인 시장메카니즘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해운기업은 영업업무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 기업으로서 해운기업과 하주의 관계구조를 분석함에 있어서 고객의 접점에 있는 영업사원의 관계특성을 기업차원의 관계특성과 함께 고려해야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운서비스 공급기업에 초점을 맞추어 하주들과 장기협력관계를 구축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관계의 질을 중심으로 그 선행요인인 관계특성과 성과요인인 장기협력관계를 실증분석함으로써 해운기업이 하주와 장기협력관계를 구축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인천국제공항의 화물운송서비스 이용자의 지각된 서비스품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ived Service Quality of Airport users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 최병권
    • 무역상무연구
    • /
    • 제33권
    • /
    • pp.167-190
    • /
    • 2007
  • The aim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which decide an airport service quality and the differentiation of perception on the airport service quality between airport users and airport authorit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determinants of airport service quality were factors analyzed on the basis of service marketing concept. In order to identify an airport service quality dimension, the writer conducted mail survey and individual interview from the Korean freight forwarders, the 3PL entities, integrators and the airport operation authorit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imen measurement was confirmed as a superior method to dimension of service competitiveness.sions of airport service quality consist of five factors; tangibles, reliability, responsiveness, assurance, empathy. 2. There are notable differences in cognition of airport service quality between airport authority's perception and airport customer, and between airport customer's perception and expectation.

  • PDF

포아송 및 음이항 회귀분석을 이용한 해상운임 결정요인이 해운선사의 블랭크 세일링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 (A Study on Impact of Factors Influencing Maritime Freight Rates Using Poisson an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nalysis on Blank Sailings of Shipping Companies)

  • 류원형;남형식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62-77
    • /
    • 2024
  • 해상운송 산업에서는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세계 주요 해운선사들이 해운 시황에 따른 선복량을 탄력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블랭크 세일링을 주요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블랭크 세일링은 중국의 춘절 기간에 맞추어 많이 실시되어 왔지만, 2020년부터 시작된 글로벌 팬데믹과 미국·중국 간 무역 전쟁 등과 같은 특수한 상황으로 인해 최근 해운선사들은 기존 대비 큰 규모의 블랭크 세일링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블랭크 세일링은 화물 운송 지연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기업과 소비자의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포아송 회귀모형과 음이항 회귀모형을 활용하여 해상운임 결정요인이 해운선사의 블랭크 세일링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포아송 회귀분석의 2M의 경우 유의한 변수로 글로벌 컨테이너 해상물동량, 컨테이너 선복량, 컨테이너선 해체량, 컨테이너선 신조선가지수, OECD 인플레이션을 도출하였고, 음이항 회귀분석의 Ocean Alliance의 경우 글로벌 컨테이너 해상물동량과 컨테이너선 발주량을, THE Alliance의 경우 컨테이너선 선복량과 금리를, Non-Alliance의 경우 국제유가, 글로벌 공급망 압력지수, 컨테이너선 선복량, OECD 인플레이션을, Total Alliance의 경우 컨테이너선 선복량과 금리를 유의한 변수로 도출할 수 있었다.

부산항 환적컨테이너의 바지선 운송 타당성 분석 (An analysis on the Feasibility of Busan Container Transshipment by Barge service)

  • 조부래;최만기;신용존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97-404
    • /
    • 2010
  • 현재 부산 북항과 부산 신항간의 컨테이너 환적화물의 대부분은 육상을 통하여 운송되고 있으며, 일부 환적화물은 바지선(barge)을 통하여 해상으로 운송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녹색물류의 관점에서 부산 북항과 신항간의 환적 컨테이너의 바지선 운송수요가 증가될 것을 예상하여, 바지선 운송의 타당성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부산항 환적물동량의 북항과 신항간 바지선 운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고려하여 연간 수익성을 예측함으로써 북항과 신항 간의 컨테이너 물동량의 바지선 운송 사업의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부강과 신항간의 환적 물동량 변동 시나리오를 사용하여 환적 운송물동량의 50%, 60%, 80%, 100% 운송의 경우와 바지선 월간 항차수 25회를 가정하여, 시나리오별 효과를 예측하였다. 바지선 운송사업은 북항과 신항 간의 TEU당 운임과 항차수에 따라 당기순이익이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바지선 운송 사업의 당기순이익이 흑자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예상되는 최저 환적물동량이 확보되어야 하고 TEU 당 최저운임이 결정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전세계적으로 녹색물류가 강화되는 시점에서 부산 북항과 신항간 환적 컨테이너의 바지선 운송 필요성을 제안하여 환경오염과 도시교통 체증 등의 사회적 비용감소에 기여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