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edom of Expression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4초

세계 게임 심의제도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Global Game Screening Systems)

  • 김찬수;박태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56-65
    • /
    • 2006
  • 게임심의제도는 거의 모든 국가에서 운영되는데, 각 국가의 커뮤니케이션 정책에 따라 그 운영형태는 각각 상이하다. 본고에서는 주요 국가의 게임심의제도를 표현의 자유, 콘텐츠 완전공개, 청소년보호/산업 진흥의 균형이라는 세 측면에서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국, 유럽, 일본 등의 제도가 커뮤니케이션 정책의 기본원칙들을 충실히 지키는 편이었으며, 우리나라와 남아공, 호주 등은 아직 개선되어야 할 점이 많이 나타났다.

  • PDF

국내 어린이 기획전시공간의 전시연출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duction of Domestic Special Exhibitions for Children)

  • 이경화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17-24
    • /
    • 2009
  • Recently people show interest in cultural exhibition space targeting on children from the birth of children to play and education. Accordingly, lately the necessity of professional special exhibition space, which is composed of changeable program fit to the children trend of a growth period, and shows relatively more freedom and adaptability in directing the theme than permanent exhibition, have increased rapidly. Today the social importance of special exhibition for children is emphasized as an alternative that can provide efficiently the expression of freedom and the environment of experimental space which is not filled in existing academy or school. The necessity of special exhibition space for children is raising to the climax at this moment, this study has the meaning to analyze the direction of domestic special exhibition for children progressed in last 1 year, and then to suggest basic guide and direction for future plan of special exhibitions.

  • PDF

Development of Fashion Art Design with Jogakbo, a Korean Traditional Wrapping Cloth

  • Kan, Moon-J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
    • /
    • 제7권1호
    • /
    • pp.11-21
    • /
    • 2007
  • In this study, we will analyze the artistic character of Jogakbo as a element of fashion art design. Korean traditional Jogakbo is a common homemade item made from clothing remnants and is a part of the culture of women�s quarters. Currently, Jogakbo is higly regarded for its artistic value and it finds a variety of uses in fashion. In particular, it is striking how its modern-style geometric lines and color composition are congruous with abstract art. In applying Jogakbo to fashion art design, we study the artistic expression of Jogakbo in 4 aspects; namely, line, color, material, and technique; and analyze the 4 artistic characteristics; beauty of naivety, simplicity, moderation and freedom. 8 dresses designed based on these 4 characteristics are presented as examples.

2자유도 채터진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tter vibration of two degree of freedom systems)

  • 김정석;강명창;김병룡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16-226
    • /
    • 1993
  • Three dimensional cutting is considered as an equivalent orthogonal cutting through the plane containing both the cutting velocity vector and the chip flow velocity vector in dynamic cutting process. An analytical expression of dynamic cutting force is obtained from the cutting parameters determined by the static cutting.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to the energy supplied to the vibratory system of cutting tool with two degree of freedom. In this approach, the phase lag of the horizontal vibration of the tool behind the vertical vibration and the direction angle of the fluctuating cutting force is considered in point of stability limits. Chatter vibration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by relatively increasing the spring constant and the damping coefficient of the cutting system in the vertical cutting force direction. A good agreement is found between the stability limits predicted by theoretical value and experimental results.

  • PDF

로보트 매니퓨레이터의 동적방정식의 자동 생성에 관한 연구 (Automatic Generation of Dynamic Equations for Robotic Manipulatorsa)

  • 원태현;황창선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87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 한국과학기술대학, 충남; 16-17 Oct. 1987
    • /
    • pp.19-22
    • /
    • 1987
  • A program is developed for generations the dynamic equations for robotic manipulators using the symbolic language muSIMP/MATH. The muSIMP/MATH is a LISP-based computer algebra package, devoted to the manipulation of algebraic expressions including number, variables, functions, and matrix. The muSIMP/MATH can operate on IBM-PC compatibles with MS-DOS. The program is developed, on the e formalism. This is program is applicable to the manipulators of any number of degrees of freedom, maximum six degree of freedom in this program. To control robotic manipulators by using dynamic equation is required a symbolic equations. The generated dynamic equation can be applied directly to the robotic manipulators, for the generated dynamic equation is a reduced form of symbolic expression.

  • PDF

현행 게임규제정책의 한계와 과제 : 합리적인 규제를 위한 고려사항 (Limitations and Challenges of Game Regulatory Law and Policy in Korea)

  • 권헌영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49-164
    • /
    • 2014
  • The laws and policies governing Korea's game regulations are becoming more and more topics for debate as we enter the Age of Internet. The nature of the basis for Internet regulations and policies are not rooted in freedom of speech or fundamental values of democracy, but rather focused on solving real-world problems such as protection of the youth. Furthermore, the reality is that regulatory devices for keeping the social order such as regulating gambling are being applied directly to games without consider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 gaming, raising concerns that the expansion of constitutional values and innovative empowerment inherent to the Internet are being weakened. The Geun-Hye Park Administration which succeeded Myung-Bak Lee's Administration, even went so far as to implement the so-called "Shutdown Policy", which prohibits access to Internet games during pre-defined time zones and also instigated a time zone selection rule. In order to curb the gambling nature of Internet games, government-led policies such as the mandatory personal identification and prohibition of player selection or in other words mandatory random player selection are being implemented. These institutions can inhibit freedom of speech, which is the basis of democracy, violate the right of equality through unreasonable discrimination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service providers, and infringe upon the principles of administrative law, such as laws, due process in policies, and balance in among policies and governmental bodies. Going forward, if Korea's Internet game regulations and polices is to develop in a rational manner, regulatory frameworks will need to be designed to protect the nature of the Internet and its innovative values that enable the realization of constitutional values; for example, the Internet acting as the "catalytic media for freedom of expression as a fundamental human right ", which has already been acknowledged by the Korea's Constitutional Court. At the same time, transparent procedures should be put into place that will allow diverse participation of stakeholders including game service providers, game users, the youth and parents in the legislation and enforcement process of regulatory institutions; policies will also need to be transformed to enable not only regulatory laws but also self-regulation system to be established. And in this process, scientific and empirical analysis on the expected effects before introducing regulations and the results of enforcing regulations after being introduced will need to be strengthened.

거리 공연에 관한 공법적 고찰 (A legal study on a Street Performance)

  • 이장희
    • 법제연구
    • /
    • 제55호
    • /
    • pp.7-56
    • /
    • 2018
  • 이 논문은 거리 공연의 법적 의미와 쟁점을 검토한 것이다. 거리 공연(또는 거리 예술)의 법적 의미를 이해하는데 핵심 징표는 '공공장소'와 '예술행위'에 있다. 따라서 '공공장소에서의 예술 행위'라 할 수 있는 한, 원칙적으로 그 예술성의 수준이나 대가의 지급 여부, 공연의 규모, 예술행위의 장르를 불문하고 거리 공연 또는 거리 예술이라 할 수 있다. 거리 공연은 개방된 길거리에서 행해짐으로써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하고 예술을 즐길 수 있는 방법이다. 또 누구나 거리공연가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거리 공연은 주류적 예술문화보다 더 대중적이고 민주적인 예술행위라 볼 수 있다. 다만 거리 공연이 유행하고 보편적 문화현상으로 자리잡아가고 있지만, 아직 법적으로 정돈되어 있는 상황은 아니라고 보인다. 하지만 거리 공연을 뭔가 이질적이면서 특별한 것으로 취급하면서 법으로 규제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예술의 자유 등을 보장하는 헌법의 취지에 맞게 거리 공연을 자유롭게 행하고 즐길 수 있도록 내버려 두는 것이 타당하다. 거리 공연이 사회적 유해성을 가진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최근 여러 지방자치단체들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한다는 이유에서 거리공연을 적극적으로 조례로 규율하고 있지만, 거리 공연을 규율하기 위한 법률이 별도로 필요하지는 않다고 판단된다. 다만 거리 공연에 관해 제기되는 주요 쟁점별로 관련 법률을 정비하는 것은 필요하다. 예컨대 공연 무대를 설치하는 대규모 거리 공연에서 별도의 허가가 필요한지 좀 더 분명하게 규정해 줄 필요가 있으며, 거리 공연으로 인한 생활소음의 규제를 받기 위해 "소음 진동관리법"상 거리 공연에 관한 근거 규정과 소음 기준을 별도로 마련해 주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거리 공연이 문화 현상으로 잘 정착되기 위해서는 거리공연가의 법질서 준수 노력, 거리 공연을 즐기는 시민들의 성숙된 의식과 문화적 관용태도, 그리고 거리 공연을 활성화하려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문화국가적 보호 노력이 조화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시대 가짜뉴스의 법적 규제에 대한 고찰 : 프랑스 정보조작대처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egal Regulation of 'Fake News' in the Age of Social Network Services : Focusing on the French Les propositions de loi contre la manipulation de l' information)

  • 곽선혜;이성욱
    • 서비스연구
    • /
    • 제12권3호
    • /
    • pp.144-157
    • /
    • 2022
  • 본 연구는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가짜뉴스(Fake News)로 볼 것인가에 대해 여전히 다른 기준과 관점을 가지고 접근하고 있는 상황에서 프랑스 '정보조작대처법(Les propositions de loi contre la manipulation de l' information)' 사례를 통해 수시로 등장하는 가짜뉴스 규제에 대한 국내언론 보도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는 것에서 시작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시대에 언론은 무엇이고, 뉴스는 무엇이며, 기자는 누구인가에 대한 답은 갈수록 어렵다. 이번 연구에서 살펴 본 가짜뉴스의 오랜 역사와 확산배경을 검토하면서 가짜뉴스에 대한 개념과 범위도 확실하지 않은 상황에서 단순히 하나의 잣대로 재단하거나 처벌하거나 규제하거나 통제하거나 판단할 수 없음을 확인했다. 법이 정하고 있는 '표현의 자유(Freedom of Expression)' 관점에서 우리는 누구나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드러낼 수 있는 권한을 갖고 있다. 또한 온라인(On-line) 공간은 가짜뉴스를 생성하고 확산하는 곳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해독제로 작용할 여지가 충분하다. 결국 양질의 '진짜뉴스' 가 보다 많이 쏟아질 수 있도록 하는 미디어 환경을 조성하면서, 사상의 자유시장에서 다양한 뉴스 간에 균형 잡힌 경쟁을 통해, 우리 스스로가 신뢰성 있는 정보를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는 장기적인 대응만이 인간의 역사와 함께 오래 지속되고 있는 가짜뉴스의 피해에 대한 대안일 것이다.

Design of PD Observers in Descriptor Linear Systems

  • Wu, Ai-Guo;Duan, Guang-Re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rol, Automation, and Systems
    • /
    • 제5권1호
    • /
    • pp.93-98
    • /
    • 2007
  • A class of new observers in descriptor linear systems, proportional-derivative(PD) observers, are proposed. A parametric design approach for such observers is proposed based on a complete parametric solution to the generalized Sylvester matrix equation. The approach provides complete parameterizations for all the observer gains, gives the parametric expression for the corresponding left eigenvector matrix of the observer system matrix, realizes elimination of impulsive behaviors, and guarantees the regularity of the observer system.

표현의 자유와 "명확성 원칙": 한국 헌법재판소와 미국 연방대법원의 판례 비교연구 (Free Speech and the Void for Vagueness Doctrine: A Comparative Analysis of Free Speech Cases in the Korea Consitutional Court and the United States Supreme Court)

  • 장호순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55권
    • /
    • pp.5-32
    • /
    • 2011
  • 한국의 헌법재판소와 미국의 연방대법원 모두 불명확한 법률로 인한 표현의 자유가 위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명확성 원칙을 위헌심사 기준으로 채택했다. 위헌심사 기준으로서 요구되는 명확성의 정도가 최고수준의 명확성이 아닌 "최소한의 명확성"이라는 점과 그러한 판단을 법관의 "제한적 해석"에 맡긴다는 점도 공통점이다. 헌법재판소는 법관의 보충적 해석을 통해 보다 명확하게 불법과 합법의 경계를 구분하게 했고, 미국 연방대법원도 법원이 한정해석(narrow construction)의 방법으로 법률적 의미와 범위를 명확하게 함으로써 위헌의 소지를 줄일 수 있다고 판결했다. 그런데 판례 비교 결과, 연방대법원은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 법적 규제에 대해서는 보다 높은 수준의 명확성을 요구한 반면, 헌법재판소는 오히려 명확성 판단기준을 완화하는 경우가 발견되었다. 연방대법원은 수정헌법1조를 침해할 여지가 있는 법조항은 "세밀하게 설정된, 합리적이고, 명확한 기준(narrowly drawn, reasonable and definite standards)"이 제시되어야 한다고 거듭 강조한 데 비해, 헌법재판소는 불명확한 법률조항으로 인해 표현의 자유 침해여지가 있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그러한 규제를 통해 얻는 국가 사회적 이익이 더 크다는 이유로, 혹은 "부단히 변화하는 다양한 생활관계를 제대로 규율할" 필요가 있다는 이유로 명확성 원칙을 희석시키는 경향을 보이기도 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