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e oxalic acid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32초

한국산 작두콩의 부위별 화학성분 (Chemical Components in Different Parts of Korean Sword Bean(Canavalia gladiata))

  • 조영수;배영일;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475-480
    • /
    • 1999
  • 한국산 작두콩을 부위별(종자, 자엽, 껍질, 깍지, 잎, 줄기 및 뿌리)로 구분하여 화학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작두콩의 부위별 일반성분 중 총당과 조단백질은 다른 부위에 비해 자엽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무기성분은 뿌리에서 칼륨, 잎에서는 칼슘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유기산은 잎의 경우 oxalic acid가 2.556 mg%, 깍지는 citric acid가 573 mg%로 가장 높았다. 유리당은 껍질에서 sucrose가 3.80%, 줄기의 경우 fructose가 2.17%로 각각 높게 나타났다. 구성 아미노산은 자엽과 잎에서 glutamic acid가 각각 592 mg%와 429 mg%, 깍지에서 proline 497 mg%, 줄기에서 lysine 328 mg% 및 뿌리에서는 arginine이 714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껍질과 깍지의 지방산 함량은 포화지방산인 경우 palmitic acid가 각각 32.75%와 21.93%이었으며, 불포화지방산의 경우는 linoleic acid가 각각 39.15%와 43.03%로 높게 나타났다.

  • PDF

고오지 종류에 따른 식혜 고추장의 숙성 중 이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Prepared with Different Koji during Fermentation)

  • 신동화;안은영;김용석;오지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56-263
    • /
    • 2001
  • 전통 고추장의 품질개선과 균일화를 위하여 메주 종류를 달리하여 고추장을 제조하고 발효시키면서 이화학적 성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고추장의 품질지표인 아미노산성 질소는 P-2 고오지 단독 첨가구(KP2), P-1 고오지 단독 첨가구(KP1), 전통메주와 P-2 고오지 혼합 첨가구(MKP2)의 함량이 높아 고오지 첨가로 고추장 품질 개선의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고추장 발효 중 산도와 pH는 메주 종류에 따른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고추장의 신맛의 척도가 되는 유기산은 모든 시료에서 citr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malic acid, oxalic acid, succinic acid, acetic acid, lactic acid 순이었다. 총 유기산 함량은 담금 초 보다 후기에 높았고 메주 종류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발효 100일 후 P-2 고오지 첨가구의 함량이 높았다. 고추장 발효 중 검출된 유리당은 maltose, fructose, glucose로 P-1 고오지를 일부 또는 전체 첨가한 시료(MKP1, KP1)에서 그 함량이 높아 고추장의 단맛을 증가 시키는데 고오지 첨가가 유리할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추장의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lanine, phenylalanine, argine 등이었고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아미노산성 질소의 함량변화와 유사한 경향으로 고오지 함량이 많을수록 높았다. 숙성이 완료된 고추장의 관능평가 결과 색택, 냄새, 맛, 전체적 기호도에서 처리구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전통메주와 P-1 고오지 혼합첨가구(MKP1)와 전통 메주와 P-2 고오지 혼합첨가구(MKP2)에서 종합적 기호도가 높았다.

  • PDF

미숙 복숭아의 성분 연구 (Studies on the Components of Unripe Peaches)

  • 이주백;정헌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9-83
    • /
    • 2008
  • 4월 20일과 5월 2일 적과된 미숙 복숭아의 식품학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평균중량은 각각 $4{\sim}6g$, $10{\sim}15g$이었다. 유기산 함량은 oxal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cirtr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 순으로 나타났고 유기산의 구성비가 변화하였다. 적과시기에 관계없이 모든 시료에서 arabinose가 검출되었으며, 부위별로 유리당 조성은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4월 20일과 5월 2일 과육부 당의 주체는 arabinose와 sucrose이었으며 과피부의 당의 주체는 각각arabinose와 glucose 및 sucrose 이었다. 주요 아미노산으로는 aspartic acid로서 함량이 가장 높아 전체 아미노산의 $22{\sim}3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proline, glutamic acid, serine, leucine, Iysine의 순으로 나타났다 무기물 중 K의 월등히 높은 함량을 보였고 다음으로 Ca, Mg, Na 순이었다.

시판된장의 유리아미노산, 유기산 및 Isoflavone의 함량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ntents of Free Amino Acids, Organic Acids and Isoflavones in Commercial Soybean Paste)

  • 오만진;정재홍;김종생;이상덕;최성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0-15
    • /
    • 1998
  • In order to establish the quality standard of commercial soybean paste, pH, color, moisture, crude protein, isoflavone, free amino acid and organic acid contents of the fermented soybean food in both traditional and commercial products were analyzed. The crude protein contents were from 5.0 to 11.9% in commercial soybean pasted of Samjang and traditional soybean paste of Chungugjang, and the latter showed higher value than those of the former. The contents of isoflavones in commercial soybean paste were less than those of traditional soybean paste. Total contents of free amino acids were distributed from 301 to 4,602mg%, respectively, in which Chungugjang showed the smallest value of 301mg% and the traditional soybean paste showed the most abundant one of 4,602mg%. The ratio of glutamic acid to total free amino acids were 15.9% and 30.1% in traditional soybean paste and commercial soybean paste, respectively. The major organic acid both commercial soybean paste and Samjang was citric acid containing 109.9~196.5mg%. On the other hand, that of traditional soybean paste and Chungugjang was oxalic acid containing 82.8~130.1mg%. This results might be caused by the differences of brewed periods, microflora, processing methods and used raw materials.

  • PDF

Polyethylene Film 두께에 따른 딸기의 MA(Modified Atmosphere) 저장 효과 (Effect of PE Film Thickness on MA (Modified Atmosphere) Storage of Strawberry)

  • 김종국;문광덕;손태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8-84
    • /
    • 1993
  • 딸기의 저장중 품질에 미치는 PE 필름포장에 의한 저장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각 두께의 PE 필름에 딸기를 저온저장하면서 포장내부의 기체조성변화 중량감소율 및 부패율 그리고 여러 성분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포장내 기체조성은 저장 초기에 급격히 변화하여 저장 14일 이후에는 $CO_2$농도 5~10%, $O_2$농도 1~3%를 유지하였다. 딸기의 중량감소율 및 부패율은 필름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적게 나타났으며 pH, 적정산도 및 당도는 저장 전기간을 통하여 약간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나 PE 필름의 두께에 의한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과육의 경도는 PE 필름 포장에 의해 감소가 상당히 억제되었으며 과육의 a value 역시 PE 필름 포장에 의하여 감소가 억제되었다. 딸기의 유리당은 glucose 와 fructose가 비슷한 함량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저장중 다소 감소하였으나 필름의 두께에 따른 뚜렷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딸기의 유기산은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asco-rbic acid, oxalic acid, tartaric acid 및 pyruvic acid의 순으로 그 함량이 많았으며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및 ascorbic acid는 저장중 뚜렷이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oxalic acid와 tartaric acid는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pyruvic acid는 다소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이러한 유기산의 저장중 변화는 필름이 두꺼울수록 적게 나타났다. 저장을 위한 최적 필름두께는 0.08mm PE 필름으로 나타났다.

  • PDF

오미자의 용출시간에 따른 풍미성분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in Flavor Component of Omija, Shizandra Chinensis Baillon, with Various Extraction times)

  • 김유미;김동희;염초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7-34
    • /
    • 1991
  • This study attempted to set up reasonable extraction time of Omija that was put in water for the various components to soak out. Changes of free sugars, organic acids, reducing sugar, total acid and tannin in Omija with various extraction times were investigated (together with the analysis of each components in Omija fruit). 1.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showed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to be the major free sugars of the Omija fruit. Free sugars and reducing sugar value in Omija beverage increased gradually in according with the extraction time, and marked 75.6% per total free sugars and 82.1% per total reducing sugar at 12 hours. 2. Gas Chromatography showed lactic acid, oxalic acid, fumaric acid, levulinic acid, succinic acid, malic acid, citric acid and pyroglutamic acid to be the major organic acids of the Omija fruit. Organic acids and total acids value in Omija beverage increased gradually on proportion to extraction time, and marked 97.0% per total organic acids at 9 hours and 79.0% per total acids at 12 hours. 3. Tannin content in Omija beverage was increased when extraction time was longer but it showed a low percentage as compared with the reducing sugar and total acid. Tannin content marked 48.8% per total tannin at 12 hours. 4. Sensory evaluation revealed that !1 hours of extraction produced the best quality products based in taste, flavor, color and over-all acceptability, considering the data, it seems possible to conclude that the optimum of time for extraction of Omija to water is 9 hours.

  • PDF

Bacillus subtilis DC-2를 이용한 청국장 발효과정 중 맛성분 및 기호도의 변화 (Changes of Taste Components and Palatability during Chunggugjang Fermentation by Bacillus subtilis DC-2)

  • 정영건;최웅규;손동화;지원대;임무혁;최종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840-845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duce the high quality of chunggugjang. The taste compounds of chunggugjang produced with Bacillus subtilis DC-2, pigment producing bacterium, were analysed, and palatability of chunggugjang was compared to that of commercial chunggugjang. Among the volatile organic acids, the contentof acetic acid was contained more than any other volatile organic acid. The major nonvolatile organic acid was lactic acid, followed by oxalic acid and citric acid. Tartaric acid was not detected. In case of free sugars, raffinose was sharply decreased between 72 and 96 hours after fermentation. Free amino acid was increased to 20 folds at 48 hours after fermentation compared to that of stemed soybean. As a result of sensory test, it was founded that the chunggujang fermented by Bacillus subtilis DC-2 was suitable to produce for commercial purpose.

  • PDF

재래식과 공장산 고추장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nd Commercial Kochujang during Fermentation)

  • 김영수;권동진;오훈일;강통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2-17
    • /
    • 1994
  • 6개월 숙성된 재래식 고추장과 시판 중인 공장산 고추장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공시된 고추장은 순창지역의 찹쌀고추장 18종, 보은지역의 10종의 보리고추장, 사천 지역의 밀 고추장 17종 및 공장산 고추장 10종이었다. 재래식 고추장의 유리당 함량은 대체로 공장산 고추장의 1/4 수준이었으며 주요 유리당은 glucose로 나타났고 이밖에 fructose, maltose sucrose가 검출되었다. 유리아미노산의 총량을 비교해 보면 공장산이 1,089mg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사천, 순창, 보은 고추장 순으로 각각 554, 498, 266mg이었다. 각 고추장에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유리아미노산은 순창 고추장에서는 serine, 보은 및 사천고추장에서는 aspartic acid, 공장산 고추장에서는 glutamic acid로 나타났다. 재래식 고추장에서 발견되는 휘발성 유기산으로는 acetic aicd, propionic acid, butyric acid 및 3-methyl butanoic acid가 검출되었으나, 공장산 고추장에서는 이 중 3-methyl butanoic acid가 검출되지 않았다. 함량면에서 aceticacid가 가장 많은 유기산으로 나타났으며 재래식 고추장에서 함량상 중요한 비휘발성 유기산은 lartic, oxalic, succinic acid이며 공장산 고추장에서는 이외에 itaconic, malic, malonic, pyroglutamic acid가 미량 검출되었다.

  • PDF

국내산 마늘의 향미성분 (Flavor Composition of Garlic from Different Area)

  • 신동빈;석호문;김지현;이영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93-300
    • /
    • 1999
  • 산지별 마늘의 향미성분으로서 향기, 유리당, 유리아미노산 및 유기산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마늘의 향기성분을 GC로 분리한 결과 28개의 피크를 얻었고 이중 GC/MS를 이용하여 25종의 화합물을 동정할 수 있었다. 향기성분을 총피크면적을 기준으로 할 때 서산산이 가장 높았으며 함평산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늘의 주요 향기성분으로 알려진 황화합물에 있어서는 남해산, 서산산 및 의성산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온 크로마토그래피로 유리당을 분석한 결과 glucose, fructose, sucrose 이외에 fructooligosaccharide인 1-kestose, 1-nystose, 1-f-fructosyl nystose가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서산마늘은 1-nystose, 1-F-fructosyl nystose함량이 높았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2036.1{\sim}2704.0mg%$ (건조물기준)정도 함유되어 있었으며, 한지계마늘인 의성마늘과 서산마늘이 남해 및 함평산 마늘 보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산 분석 결과 마늘중에는 citric acid, pyruvic acid, malic acid, lactic acid, pyroglutamic acid, succinic acid, oxalic acid, malonic acid, levulinic acid 및 fumaric acid가 존재하였고 이들 유기산의 총함량은 건조마늘 100g당 $1905.7{\sim}2359.2mg$이 함유되어 있었다. 함평산 마늘은 다른 지역의 마늘 보다 유기산 함량이 비교적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국내산 고구마 품종에 따른 영양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 (Nutrient Componen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Sweet Potato according to Cultivars)

  • 라하나;김진숙;김기창;최송이;한선경;정미남;김경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97-607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the nutrient components and measur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23 Korean sweet potato cultivars. The proximate composition, free sugars, organic acids, and dietary fiber of sweet potato were analyzed and the water binding capacity, oil absorption and pasting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The proximate composition was the highest in Happymi and was higher in colored sweet potato than in general sweet potato (p<0.05). The sucrose content was the highest among the free sugars in the general cultivars and yellow/orange colored cultivar. The major organic acids were oxal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fumaric acid, and acetic acid. Oxalic acid and citric acid were high in the purple colored cultivars and malic acid was high in yellow/orange colored cultivars. Each total dietary fiber content of the general and colored cultivars was 7.51-13.94 and 13.04-16.97%, respectivel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water binding capacity and oil absorption of Juhwangmi was high in all cultivars (p<0.05). The peak viscosity of sweet potato powder showed highest a significant difference of 12.50-1342 cP (p<0.05). The breakdown of Sincheonmi was 512, which was the highest value (p<0.05). The setback of Geonpungmi was significantly low, 6.0 (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