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e fatty acids

검색결과 927건 처리시간 0.035초

닭고기의 성분조성에 미치는 감귤껍질 급여의 영향 (Effects of Feeding Citrus Peels on Nutritional Composition of Chicken Meat)

  • 정인철;문윤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8호
    • /
    • pp.1081-1087
    • /
    • 2009
  • 본 연구는 감귤껍질 첨가 사료를 급여한 닭고기의 성분조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닭고기는 초기, 중기 및 후기 모두 감귤껍질을 첨가하지 않은 육계용 배합사료로 사육한 CP-0, 그리고 초기(1${\sim}$9일), 중기(10${\sim}$24일) 및 후기(25${\sim}$36일) 사료에 감귤껍질을 각각 1.0%, 1.5% 및 2.0%를 첨가하여 급여한 CP-1으로 구분하였다. 일반성분 및 열량은 감귤껍질 급여의 영향이 없었으나 콜레스테롤 함량은 CP-0 보다 CP-1이 유의하게 낮았다 (p<0.05). K, P 및 ca는 CP-1이 CP-0보다 함량이 높았으나 Na 및 Mg는 CP-0 및 CP-1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비타민 A, xanthophyll, ${\beta}$-carotene, hesperidin 및 naringin은 감귤껍질 급여의 영향이 없었지만 비타민 $B_1$$B_2$는 감귤껍질을 급여한 닭고기가 유의하게 높았다(p<0.05). 아미노산 조성은 CP-0 및 CP-1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대부분의 유리아미노산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유리아미노산 중 L-glutamic acid는 CP-0가 CP-1보다 높았고, DL-${\beta}$-amino isobutyric acid는 CP-1이 더 높았다(p<0.05). 그리고 지방산 조성은 CP-0와 CP-1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db/db 마우스 동물모델에서 Vigna nakashimae 클로로포름층 분획물의 항당뇨 효능 (Antidiabetic Activity of a Chloroform Fraction of Vigna nakashimae in db/db mice)

  • 남정수;하태정;박재홍;정명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78-585
    • /
    • 2013
  • 최근 식생활의 변화에 따라 당뇨병, 비만 등의 만성대사질환의 발병률이 증가함에 따라 예방과 치료를 위한 물질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항당뇨 효능이 확인된 Vigna nakashimae (VN)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VN 클로로포름층 분획물과 물층 분획물을 얻어 각 분획물의 항당뇨 효능과 분자적 기전을 살펴보았다. 각각의 VN 분획물을 제 2형 당뇨병질환모델인 db/db 마우스에 경구투여하여 VN 분획물의 혈당 및 지질 대사 변화 등을 측정하였다. VN 클로로포름층 분획물은 공복 혈당과 당화혈색소를 물층 분획물보다 더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다. 또한 내당능도 개선하였으며, 혈중 지방산과 중성지방도 감소시켰다. VN 클로로포름층 분획물은 HepG2와 C2C12세포에서 인산화된 AMPK와 AMPK 하위 유전자인 CPT-1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켰다. VN 클로로포름층 분획물은 AMPK의 활성화와 일치하게 HepG2에서 당 생성 효소인 PEPCK와 G-6Pase의 발현을 감소시켰으며, C2C12에서는 당 유입을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는 VN 클로로포름층 분획물은 AMPK의 활성화를 통해 공복혈당을 감소시켰으며, 이러한 효과는 물층 분획물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채취시기에 따른 매생이, 가시파래 및 청각 식품 성분의 변화 (Changes of Food Compopents in Mesangi (Capsosiphon fulvecense), Gashiparae (Enteromorpha prolifera), and Cheonggak (Codium fragile) Depending on Harvest Times)

  • 정규진;정춘희;변재형;최영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687-693
    • /
    • 2005
  • 매생이, 가시파래 및 청각에 있는 식품성분을 조사할 목적으로 매생이와 가시파래의 수확기인 12월부터 3월, 그리고 청각은 6월부터 8월까지 월별로 채취하여 채취 시기별 일반성분, 총 아미노산과 유리 아미노산, 지방산 조성, 무기질 함량 및 클로로필의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매생이와 가시파래는 조단백질 함량이 특히 높아서 각각 $34.1\~43.8\%$$22.5\~35.7\%$이었다. 매생이, 가시파래 및 청각의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의 순으로 높았다. 매생이의 유리 아미노산은 proline과 alanine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가시파래는 asparagine과 glutamic acid의 함량이 특히 높았으며, 3월에 asparagine의 함량이 현저히 감소한 반면 sarcosine이 크게 증가하였다. 청각의 주요 유리 아미노산은 hydroxyproline, glutamic acid 및 alanine이었다. 매생이, 가시 파래와 청각의 폴리엔산 비율은 각각 $63.91\~74.05\%,\;62.87\~68.23\%,\;40.25\~44.61\%$였다. 대표적인 무기질은 Ca, K, Mg와 Fe이었으며, 매생이와 가시 파래의 chlorophyll a와 b는 3월에 크게 감소하였다. 매생이와 가시파래는 고단백질 해조 식품으로 개발이 기대되며, 특히 가시파래에 다량 함유된 asparagine은 약리 성분으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Xylooligo당이 고콜레스테를 식이 횐쥐에서 간조직 HMG-CoA Reductase 활성과 지질 초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Xylooligosaccharides on HMG-CoA Reductase Activity and Lipid Cmposition of Liver in Rat Fed High Cholesterol Diets)

  • 김성옥;최정화;홍희진;주길재;이인구;이순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190-1196
    • /
    • 2001
  • 고콜레스테롤 식이 횐쥐에서 xylooligo당이 간장에서의 콜레스테롤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실험동물은 100$\pm$10g의 Sprague-Dawley 횐쥐를 이용하여 정상 식이군과 1% 고콜레스테롤 실험군으로 나누고 다시 실험군은 1%의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xylooligo당을 0%, 5%, 10% 및 15% 농도 첨가군(C, C5XO, C10XO 및 C15XO군)으로 나누어 4주간 자유섭식시킨 후 콜레스테롤 대사 개선효과를 알아보았다. 간조직중의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C군에서는 각각 3.9배, 20배씩 증가되었으며 C군에 비해 C10XO군은 거의 절반으로 감소되었다. 간조직의 HMG-CoA reductase 활성은 정상군에 비해 C군은 45% 감소되었으나, xylooligo당 공급군에서는 정상군 수준이었다. 간조직중의 지방산 조성은 oleic acid( $C_{18:1}$)과 linoleic acid( $C_{18:2}$)은 정상군에 비해 C군에서 유의적(p<0.05)으로 증가되었고, ara chidonic acid( $C_{20:4}$)는 감소되었으나 xylooligo당 공급으로 증가되었다. 총포화지방산(SFA)은 정상군에 비해 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인해 감소되 었으나, xylooligo당 공급으로 정상화되었다. 고콜레스테롤군에서는 총 단일불포화지방산(MUFA)은 증가되었으나, xylooligo당 공급으로 감소되었다. 항혈전지수인 n-3/n-6 지방산 비는 정상군에 비해 C군에서 감소되었으나, xylooligo당 10% 공급군에서는 C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식이 xylooligo당은 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인한 고콜레스테롤 혈증이나 고지혈증의 위험인자인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킬 수 있는 콜레스테롤 대사 개선 기능이 우수하므로 기능성 식품 신소재나 식이섬유의 대용품으로도 활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다.

  • PDF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the Dual Positional Specific Maize Lipoxygenase and the Dependence of Lagging and Initial Burst Phenomenon on pH, Substrate, and Detergent during Pre-steady State Kinetics

  • Cho, Kyoung-Won;Jang, Sung-Kuk;Huon, Thavrak;Park, Sang-Wook;Han, Ok-Soo
    • BMB Reports
    • /
    • 제40권1호
    • /
    • pp.100-106
    • /
    • 2007
  • The wound-inducible lipoxygenase obtained from maize is one of the nontraditional lipoxygenases that possess dual positional specificity. In this paper, we provide our results on the determination and comparison of the kinetic constants of the maize lipoxygenase, with or without detergents in the steady state, and characterization of the dependence of the kinetic lag phase or initial burst, on pH, substrate, and detergent in the pre-steady state of the lipoxygenase reaction. The oxidation of linoleic acid showed a typical lag phase in the pre-steady state of the lipoxygenase reaction at pH 7.5 in the presence of 0.25% Tween-20 detergent. The reciprocal correlation between the induction period and the enzyme level indicated that this lag phenomenon was attributable to the slow oxidative activation of Fe (II) to Fe (III) at the active site of the enzyme as observed in other lipoxygenase reactions. Contrary to the lagging phenomenon observed at pH 7.5 in the presence of Tween-20, a unique initial burst was observed at pH 6.2 in the absence of detergents. To our knowledge, the initial burst in the oxidation of linoleic acid at pH 6.2 is the first observation in the lipoxygenase reaction. Kinetic constants (Km and kcat values) were largely dependent on the presence of detergent. An inverse correlation of the initial burst period with enzyme levels and interpretations on kinetic constants suggested that the observed initial burst in the oxidation of linoleic acid could be due to the availability of free fatty acids as substrates for binding with the lipoxygenase enzyme.

홍화씨의 식품학적 성분 분석 및 항균활성 (Analysis of Food Components of Carthamus Tinctorius L. Seed and its Antimicrobial Activity)

  • 유석영;이영준;강석남;이성갑;장중영;이효구;임정호;이옥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27-233
    • /
    • 2013
  • 본 연구는 홍화씨의 식품학적 성분 및 항균활성을 분석하였다. 홍화씨의 수분함량은 $5.58{\pm}0.09%$, 조단백질 $37.16{\pm}0.85%$, 조회분 $3.52{\pm}0.04%$, 조지방 $13.69{\pm}8.98%$, 탄수화물 40.05%이었다. 홍화씨의 총 아미노산은 391.99 mg%이고, 이중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122.97 mg%이었다. 홍화씨의 아미노산 중 alanine (75.43 mg%), arginine (37.93 mg%) 및 aspartic acid (33.24mg%)을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홍화씨의 주요 유리당은 fructose가 3.29%이었고, linoleic acid (C18:2)는 약 79.46%의 비율을 차지하여 홍화씨의 조지방 중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Oleic acid (C18:1)도 약 10.42%를 함유하여 불포화지방산의 함유량도 매우 높게 나타났다. 홍화씨의 무기질 함량 측정 결과, K 및 Ca의 함량이 1,528 및 1,005 m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55.52{\pm}0.99$ mg GAE/g, $78.69{\pm}0.91$ mg QE/g으로 나타났다. 홍화씨의 항균활성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typhimurium, Escheria coli, Candida albicans,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Vibrio parahaemolyticus 및 Clustridium perfringens 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압처리가 발아벼의 화학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igh Hydrostatic Pressure Treatment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Germinated Rough Rice (Oryza sativar L.))

  • 김민영;이상훈;장귀영;박혜진;윤나라;이연리;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98-203
    • /
    • 2015
  • 본 연구는 발아와 고압처리 시간에 따른 발아벼의 일반성분, 유리당, 유리아미노산 조성 및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여 화학성분 변화에 미치는 고압처리의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조단백질과 조지방 함량은 30 MPa 압력에서 24시간 고압처리 시 발아 일수에 따라 각각 8.39-9.59% 범위로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다. 유리당 함량은 발아와 고압처리에 의해 총 유리당 함량과 glucose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maltose와 fructose 함량은 감소하였다. 총 아미노산 함량은 고압처리에 의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고압처리 시 1.57-5.34 mg/g 범위로 대조구인 0.45-5.09 mg/g에 비해 증가하였다. 주요 지방산은 oleic acid와 linoleic acid가 가장 많았으며, 특이적으로 linoleic acid가 발아 및 고압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 발아와 고압의 병행처리 시 발아벼의 영양성분이 저분자화 되고 필수영양성분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고부가가치의 식품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s of feed intake restriction during late pregnancy on the function, anti-oxidation capability and acute phase protein synthesis of ovine liver

  • Yang, Huan;Wang, Ying;Ma, Chi;Sun, Chuan;Liu, Yingchun;Wu, Kaifeng;Li, Ming;Borjigin, Gerelt;Gao, Fe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2호
    • /
    • pp.217-223
    • /
    • 2019
  • Objectiv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ed intake restriction during late pregnancy on the function, anti-oxidation capability and acute phase protein synthesis of ovine liver. Methods: Eighteen time-mated ewes with singleton fetuses were allocated to three groups: restricted group 1 (RG1, 0.18 MJ ME/kg $W^{0.75}$ d, n = 6), restricted group 2 (RG2, 0.33 MJ ME/kg $W^{0.75}$ d), n = 6) and a control group (CG, ad libitum, 0.67 MJ ME/kg $W^{0.75}$ d, n = 6). The feed restriction period was from 90 days to 140 days of pregnancy. Results: The ewe's body weight, liver weights, water, and protein content of liver in the restricted groups were reduced compared with the CG group (p<0.05), but the liver fat contents in the RG1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G group (p<0.05). The increased hepatic collagen fibers and reticular fibers were observed in the restricted groups with the reduction of energy intake. The concentrations of nonesterified free fatty acids in the RG1 and RG2 group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G group with the reduction of energy intake (p<0.05), but there were decreased concentrations of lipoprotein lipase and hepatic lipase in both restricted groups compared with the CG group (p<0.05). In addition, the increased concentrations of ${\beta}$-hydroxybutyric acid, triglycerides, malondialdehyde, total antioxidant capacity and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and catalase were found in the RG1 group, and the concentrations of cholinesterase in the RG1 group were reduced compared with the CG group (p<0.05). For the concentrations of acute phase proteins, the C-reactive protein (CRP) in the RG1 group were reduced compared with the CG group,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haptoglobin relative to the controls (p>0.05). Conclusion: The fat accumulation, increased hepatic fibrosis, antioxidant imbalance and modified synthesis of acute phase proteins were induced in ewe's liver by maternal malnutrition during late pregnancy, which were detrimental for liver function to accommodate pregnancy.

Comparative Efficacy of Synthetic and Natural Tenderizer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structured Spent Hen Meat Slices (RSHS)

  • Kantale, Rushikesh Ambadasrao;Kumar, Pavan;Mehta, Nitin;Chatli, Manish Kumar;Malav, Om Prakash;Kaur, Amanpreet;Wagh, Rajesh Vishwanath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21-138
    • /
    • 2019
  • In the present study, comparative efficacy of natural as well as synthetic tenderizer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structured spent hen meat slices (RSHS) was studied. Four different batches of RSHS viz. Control (without any tenderizer), T1 (1.25% calcium chloride replacing salt in formulation), T2 and T3 (1.5% each of pineapple rind and fig powder, replacing binder in the formulation) were developed in pre-standardized formulation. Vacuum tumbling was performed for 2.5 h and cooked product (RSHS) was assayed for quality attributes. Samples were packaged in aerobic conditions, stored for 21 days under refrigeration ($4{\pm}1^{\circ}C$) and were evaluated for pH, oxidative and microbial quality parameters at regular interval of 7 days. Water holding capacity of T2 was recorded the highest and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all other samples. The textural attributes of T2 were comparable to T1 but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C and T3. The colour attributes ($L^*$, $a^*$, and $b^*$ value) of T2 and T3 were improved due to use of natural tenderizers. During sensory evaluation, tenderness scores for T2 samples were recorded the highest. Throughout storage perio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free fatty acids (FFA) and peroxide value (PV) followed an increasing trend for control as well as treated products; however, T2 showed a significantly (p<0.05) lower value than control and other treated samples. It can be concluded that good quality RSHS with better storage stability could be prepared by utilizing 1.5% pineapple rind powder as natural tenderizer.

우리나라 19-69세의 수면시간에 따른 견과류 섭취와 고혈압의 연관성: 2010~2016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Association Between Nut Consumption and Hypertension According to Sleep Duration Among Korean Adults (Aged 19-69 Years): 2010~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범설영;김유경;신우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103-11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성인(19-69세)들의 견과류 섭취량과 고혈압의 연관성 및 성인들의 수면시간에 따른 견과류 섭취량과 고혈압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2010-2016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25,359명의 연구 대상자가 포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면시간에 따른 견과류섭취와 고혈압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수면시간에 따른 견과류섭취와 고혈압의 연관성을 알아보기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사용하여 교차비(odds ratio, OR)와 95%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CI)으로 제시하였다. 자료의 통계처리 및 분석은 SAS 9.4 for windows(SAS Institute Inc, Cary, NC USA)를 이용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05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견과류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고혈압 유병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 for trend=0.02). 또한, 수면시간이 6시간 이상 7시간 미만인 대상자의 경우에는, 견과류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고혈압 유병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p for trend=0.03), DBP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p for trend=0.01). 결론적으로, 견과류 섭취와 고혈압유병은 연관성이 있었고, 특히 수면시간이 6시간 이상, 7시간 미만 또는 7시간 이상 8시간 미만인 경우에도 견과류를 많이 섭취할수록 고혈압 유병률이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