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e Water

검색결과 3,575건 처리시간 0.041초

Nb 첨가 핵연료피복관용 Zr 신합금의 부식특성 연구 (Study on Corrosion Characteristic of New Nb-containing Zr based Alloys for Fuel cladding)

  • 최병권;하승원;정용환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405-41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360^{\circ}C$ 물 및 $360^{\circ}C$, 70ppm LiOH 수용액 분위기의 static autoclave를 이용하여 새롭게 개발한 Zr 신합금 (Zr-0.4Nb-0.8Sn-xFeCrMn, Zr-0.2Nb-1.1Sn-xFeCrMn, Zr-1.0Nb-xFeCu) 의 부식 특성을 평가하였다. 합금의 미세구조를 광학현미경과 T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고, 부식시험 중에 생성된 산화막은 SEM과 XRD를 이용하여 단면 및 결정구조를 조사하였다. 부식시험 결과, 3종의 합금 모두 $360^{\circ}C$ 물 분위기보다 $360^{\circ}C$, 70ppm LiOH 수용액 분위기에서의 부식저항성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High Nb 합금의 경우 급격한 가속 부식현상을 나타내었다. 합금원소 첨가량과 관련하여 Nb의 함량을 고용도 이내로 줄이고 Sn을 적절히 첨가한 조성의 합금이 Sn을 첨가하지 않고 고용도 이상의 Nb을 가진 합금보다 우수한 부식저항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최종열처리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에, 완전재결정 조직의 합금이 부분재결정 조직을 가진 합금보다 부식저항성이 감소되었는데 이는 기지조직에서 석출하늘 제 2상의 크기 및 분포에 의한 영향으로 사료된다.

  • PDF

담수어(淡氷魚)의 식품학적(食品學的) 연구(硏究) -3. 은어, 누치, 쏘가리 및 밀어 배육(背肉)의 핵산관련물질(核酸關聯物質) 및 아미노산(酸) 조성(組成)- (Studies on the Food from Fresh Water Fish -3. Composition in Amino Acids and Nucleotides of the Dorsal Muscle of Some Fresh Water Fishes, Sweet Fish, Cornet Fish, Mandarin Fish and Read Fish-)

  • 성낙주;이응호;하봉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3-168
    • /
    • 1984
  • 우리나라의 하천에 분포(分布)하고 있는 담수어(談水魚)의 식품학적(食品學的)인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져 비교적(比較的) 희귀종(稀貴種)에 속(屬)는 은어, 누치, 쏘가리 및 밀어 배육중(背肉中)의 핵산관련물질(核驗關聯物質), 유리(遊離)아미노산(酸) 및 구성(構成)아미노산(酸)을 분석(分析)하였다. 핵산관련물질(核酸關聯物質)은 IMP가 월등히 많아 은어, 누치, 쏘가리 및 밀어 배육중(背肉中)에 $10.7{\sim}19.5{\mu}mole/g$의 범위였다. UMP 및 hypoxanthine은 $2.0{\mu}mole/g$ 이하였고. GMP와 inosine은 흔적량에 불과하였다. 그리고 AMP는 은어 배육(背肉) 및 밀어 배육(背肉)에서 각각 2.0, $2.7{\mu}mole/g$으로 검출(檢出)되었으나 누치와 쏘가리 배육(背肉)에서는 흔적량으로 검출(檢出)되었다. 유리(遊離)아미노산(酸) 조성(組成)을 보면 은어 배육(背肉)의 엑스분중(分中)에는 taurine 및 histidine이 각각 전체(全體)의 36.6%, 15.4%, 누치 배육(背肉)에는 taurine, glycine 및 histidine이 각각(各各) 21.2${\sim}$29.0%, 쏘가리 배육(背肉)에는 taurine, histidine 및 alanine이 각각(各各) 14.5${\sim}$31.8%, 밀어 배육(背肉)에는 taurine, proline 및 threonine이 9.1${\sim}$31.2%로서 비교적(比較的) 많은 함량(含量)이 검출(檢出)되었다. 구성(構成)아미노산(酸) 은어 배육중(背肉中)에는 glutamic acid, glycine, aspartic acid 및 lysine이 총(總) 구성(構成)아미노산(酸)의 44.0%, 누치 배육중(背肉中)에는 43.5%, 그리고 쏘가리 및 밀어배육중(背肉中)에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및 leucine이 각각(各各) 43.3%와 43.1%를 점유(占有)하고 있었다. glutamic acid는 어종(魚種)에 관계(關係)없이 그 함량(含量)이 가장 많았다.

  • PDF

신품종 갈색양송이 '다향'의 화학성분과 항산화활성 및 α-Glucoamylase 저해활성 (Chemical Components, Antioxidant Activity, and α-Glucoamylase Inhibitory Activity of a New Mushroom Variety 'Dahyang')

  • 김홍규;양의석;박기문;김관후;김현호;이가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8호
    • /
    • pp.1179-1183
    • /
    • 2011
  • 신품종으로 개발한 양송이 '다향'의 우수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총 폴리페놀성 물질, 유리당 및 ${\beta}$-glucan의 함량과 항산화활성 및 ${\alpha}$-glucoamylase 저해활성을 기존 유통되고 잇는 705호 양송이와 비교 분석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189${\pm}$12 mg%로 기존 705호 양송이 168${\pm}$8 mg%에 비하여 더 높았고, 유리당은 mannitol, xylose 및 trehalose의 3종이 각각 3.11, 0.12 및 0.08%로 mannitol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beta}$-glucan의 함량은 건조물에 대하여 28.34%이었고 705호 양송이는 26.55%의 함량을 보여 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함량을 보여주고 있었다. DPPH용액에 의한 전자공여능은 다향은 물 추출물과 80% 에탄올 추출 각각 52.14% 및 57.81%, 705호는 각각 45.27% 및 46.93%를 보였으며, ${\alpha}$-glucoamylase 저해활성은 물 추출물에서는 다향이 705호 양송이보다 저해활성이 더 높은 경향이었으며 80%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거의 비슷한 저해활성을 보였다.

참비름의 라디칼 소거활성 및 콜레스테롤 급이 흰쥐에 대한 혈액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ambirum 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erum Lipid Levels in Rats Fed Cholesterol)

  • 황초롱;이수정;류지현;강재란;강신권;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80-486
    • /
    • 2012
  • 참비름의 $in$ $vitro$ 라디칼 소거활성 및 콜레스테롤 급이 흰쥐에 보충 급이할 경우 혈액 중 지질 성분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참비름 물 및 80% 에탄올 추출물의 ABTS, DPPH 및 nitric oxide 라디칼 소거활성은 물 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콜레스테롤을 급이한 대조군에 비해 5%(HCA1) 및 10%(HCA2)의 참비름 분말 급이 시 혈청 총 지질, 총 콜레스테롤 함량, 동맥경화지수 및 심혈관질환 위험지수는 시료의 첨가량이 증가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중성지방은 HCA2군에서만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며, HDL-콜레스테롤은 대조군에 비해 참비름 분말 급이 시 증가하였으나, 첨가량에 따른 유의차는 없었다. 혈중 GPT 및 ${\gamma}$-GTP 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참비름 분말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중 지질과산화물 함량도 같은 경향이었다. 따라서 참비름은 식이성 콜레스테롤에 의한 질환의 조절에 유효할 것으로 생각된다.

'신고' 배 수확 전·후 처리가 저장 중 배과피얼룩과 발생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and post-harvest treatments on the fruit quality and the occurrence of fruit skin stain during the storage of 'Niitaka' pears)

  • 문병우;윤덕훈;남기웅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68-472
    • /
    • 2014
  • '신고' 배에서 저장 전 몇 가지를 처리하여 배과피얼룩과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2중 봉지 속지색에 따른 배과피얼룩과 발생은 황색지가 청색지 및 적색지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은 발생률을 보였다. 수확 시기별로는 적숙기 보다 7일 전에 수확하여 저온 저장한 처리가 발병률이 낮았으며 과실 품질에는 차이가 없었다. 저장방법에서 칼슘코팅봉지에 넣어 저장한 과실이 PE 봉지 및 알배로 저장한 과실에 비하여 현저하게 발생률이 높았다. 이산화염소 및 칼슘액 침지처리는 무처리 및 증류수 처리에 비하여 발생률이 낮았다. 또한 NaDCC 1,500배액에 침지처리를 하면 발생률이 낮았으며 반점의 크기도 감소되었다. 저장 중 과피얼룩과 발생은 과피의 수분함량(67.7%)이 낮은 과실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적숙기 보다 7일 전에 수확하여 칼슘봉지 씌우기 및 이산화염소, 칼슘용액, NaDCC 침지는 저장중 배과피얼룩과 발생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표면유속을 이용한 평균유속 추정방법의 개발 (Estimatation of Mean Velocity from Surface Velocity)

  • 노영신;윤병만;류권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8권11호
    • /
    • pp.917-925
    • /
    • 2005
  • LSIV은 표면유속을 측정하는 영상기반 유속측정법중의 하나이다. 이 방법은 기존 측정기법에 비해 측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경제적이기 때문에 유량측정 등의 실제 하천의 유속 측정에 활용하려는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이 기법은 표면유속을 측정하기 때문에 유량 산정을 위해서는 측정된 표면유속을 평균유속으로 환산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하상 및 흐름조건에 대한 다양한 수리실험을 통해 개수로 난류 흐름에 대한 연직유속분포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수리실험결과 수표면 영역의 유속감소를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유속감소는 조도보다는 Froude 수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표면유속으로부터 평균유속을 추정하는 두 가지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방법들은 표면유속 보정량을 이용하여 후류법칙의 유속분포를 보정하는 방법과 평균유속과 표면유속의 비를 이용한 방법이다. 제시된 방법들은 실제 하천의 유속 측정 자료들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이 방법들은 $6\%$ 이내의 오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방법에 따른 톳 추출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Hijikia fusiforme extracts with different extraction method)

  • 권유리;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0-7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추출방법(열수, 가압가열, 초고압 추출방법)을 통해 톳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품질특성을 실시하여 효과적인 톳 추출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추출 수율은 초고압 추출물, 가압가열 추출물, 열수 추출물 순으로 높은 수율을 확인하였으며 색도의 경우 열수 추출물에서 높은 명도와 황색도를 나타내었고 가압가열 추출물에서는 적색도가 높았다. 추출방법에 따른 톳 추출물의 전당 함량을 측정한 결과, 전체적으로 모든 추출물이 40~60%의 높은 전당 함량을 보였으며 특히 가압가열 추출물의 함량이 높았다. 또한 시료별 전당 함량의 경우 가압가열, 열수, 초고압 추출물의 순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이는 환원당과 단백질 함량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우론산 및 총 아미노산 함량의 경우 초고압 추출물이 다른 추출물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특히 asparagine의 경우 초고압 추출물에서만 검출되었다. 톳의 다당류 성분을 알아보고자 에탄올을 이용하여 조다당류를 추출한 결과 수율의 경우 초고압 추출물에서 4.75%로 높았으며 가압가열, 열수 추출물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high performance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를 통하여 조다당류의 구성당을 살펴본 결과 fucose가 주 당성분인 polysaccharide임을 알 수 있었으며 galactose, glucose, xylose가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높은 온도와 압력을 가해 추출할 경우 해조류의 수율 및 유용성분의 추출이 용이해짐을 알 수 있었으며 추후 적절한 압력과 온도 설정관련 연구를 통해 해조 가공산업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나트륨 저감화에 따른 된장의 품질 특성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reduced of sodium content)

  • 김미연;김민아;황지홍;김선화;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71-777
    • /
    • 2017
  • 된장은 대두를 주원료로 하는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발효 식품임이나,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고나트륨을 가지는 식품군에 분류되었다.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나트륨 과다섭취에 대한 저나트륨 된장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으로, 품질에 크게 영향이 없이도 나트륨 함량이 적은 장류의 개발은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하는 과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나트륨 함량을 12.5%-45%까지 저감하도록 실험을 설계하여 적용하여 된장 담금을 진행하였으며, 그 품질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나트륨의 저감화가 된장의 관능적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지 pH, 염도 및 수분, 나트륨함량, 색도, 아미노산성 질소함량, 유리아미노산, 구성아미노산조성을 평가하여, 그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나트륨의 저감화는 pH와 수분, 염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대조구와 같은 범위에서의 품질을 유지하였다. 나트륨함량은 실제로 비례적으로 감소되었으며, 아미노산성 질소는 500 mg%수준이었다. 대량으로 된장업체에서 제조한 25% 저염된 된장의 대체소재를 사용하는 것은 최종 된장의 나트륨함량을 줄이면서도 된장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추출방법에 따른 대나무(왕대) 추출물의 화학성분 및 생리활성 (Chemical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Bamboo (Phyllostachys bambusoides Starf) Extracts Prepared with Different Methods)

  • 주인옥;정기태;류정;최정식;최영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42-548
    • /
    • 2005
  • 대나루(왕대)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추출하고 그 추출액의 화학 성분을 분석하였다. 대나무 추출액의 pH는 5.0-5.5였고, 가용성고형분과 총페놀 함량은 알코올 추출액이 각각 $13.7^{\circ}Brix$와 0.42%로 가장 높았으며, 증발잔사는 직접가열 추출액이 3.8%로 가장 높았다. 무기성분은 K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추출방법에 따라서는 간접가열이 가장 높은 무기물 함량을 나타내었다. 중금속은 Al, Cr, Cu, Mn, Ni, Pb, Zn, 등이 검출되었으며, 유해중금속 중 As, Cd, Hg는 검출되지 않았고 Cr, Pb는 극미량 검출되었다. 폴리페놀은 catechin,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3-hydroxy benzoic acid, ferulic acid등 5종이 확인되었으며 이중 3-hydroxy benzoic acid와 catechin이 주종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리당은 galactose, glucose, fructose 및 sucrose가 검출되었으며 glucose와 sucrose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유기산은 citric acid, tarta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acetic acid 등이 검출되었으나 직접가열 추출액은 tartaric acid가, 물 추출액과 알코올 추출액은 citric acid, tartaric acid 및 succinic acid가 검출되지 않았다. 항산화 활성은 간접가열 추출액과 알코올 추출액이 상업용 항산화제인 BHA와 ${\delta}-tocopherol$ 보다 우수하였다. 아질산염소거능은 pH 1.2와 3.0에서 효과가 우수하였으나 pH 6.0에서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물 추출액이 가장 높았으며, SOD 유사활성과 ACE 저해활성은 간접가열 추출액이 가장 높았다. 식품 부패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Bacillus subtilis, E. coli O157,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조건에 따른 배초향 추출물들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gastache rugosa O. Kuntze Extracts by Extraction Conditions)

  • 이부용;황진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8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추출용매의 종류, 추출온도, 용매혼합비율 등의 추출조건에 따른 배초향의 꽃, 잎, 줄기의 3가지 부위와 부위별 추출물들의 여러 가지 이화학적 특성들을 분석하여 배초향의 식품소재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단백질함량은 꽃이 16.08%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지방은 잎에 9.54%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다른 아미노산들보다도 로이신과 같은 필수아미노산들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모든 부위에서 K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물보다는 에탄올, 에탄올보다는 NaCl용액으로 추출할 때 상대적으로 조금 높은 수율을 나타냈으며, 추출용매의 종류, 추출온도, 부위 등에 상관없이 모두 15-20분 정도면 가용성성분이 거의 다 추출되었다. 추출물의 pH는 거의 중성에 가까웠고, 유리당도 에탄올추출물에만 매우 소량 함유되어 있었다. 색도 및 관능검사 결과도 추출조건에 따라 모두 다르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배초향의 3가지 부위의 추출물들은 추출용매의 종류나 농도, 온도별로 위에서 측정한 여러 가지 이화학적 특성들이 절대적으로 어떤 조건에서 추출한 추출물이 더 좋다고 판단하기보다는 각기 다른 나름대로의 독특한 특성들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소재로 사용하고자 최종제품의 특성이나 목적에 맞는 추출조건들을 앞에서 측정된 자료들을 참고하여 선정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