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e Water

검색결과 3,575건 처리시간 0.031초

고화방지제의 첨가가 참다래 동결건조분말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ticaking Agent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reeze-dried Kiwifruit Powders)

  • 오현정;임자훈;이주연;오영주;임상빈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78-188
    • /
    • 2014
  • 제주에서 육성된 참다래(한라골드)의 식품 소재화를 위한 방안으로 과육에 고화방지제를 첨가한 분말형 시제품을 제조하였다. 즉, 참다래 과육 페이스트 100%(대조구), 참다래 과육 페이스트 95%+polydextrose 5%, 참다래 과육 페이스트 95%+dextrin 5% 등 3개 시료를 제조한 다음, 동결건조 후 분말화한 각 시제품에 대하여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참다래 분말 수율은 고화방지제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수분함량, 산도, 총페놀 함량은 고화방지제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비타민C 함량은 고화방지제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반면, 고화방지제 첨가구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유리당(fructose, glucose, total sugar) 및 유기산(oxalic acid, lactic acid, total organic acid)의 함량은 고화방지제 첨가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전반적으로 색도는 모든 시험군에서 높은 L값과 낮은 a값을 나타내었으며, 고화방지제 종류에 따른 갈변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과육 분말의 용해도(59.57~64.84%)및 팽윤력은 시료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시간에 따른 흡습성은 고화방지제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음을 보였다. 위의 결과로부터 고화방지제 첨가(5% 수준) 과육 분말은 무첨가 과육분말에 비하여 비타민C의 유지율이 높고, 수분함량이 낮고, 시간에 따른 흡습성이 낮아 우수한 분말 품질 특성을 보였다.

오이를 첨가한 막걸리의 발효기간 중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Makgeolli, Supplemented with Cucumber during Fermentation)

  • 김상연;김은경;윤성준;조남지;정수경;권상호;장윤혁;정윤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23-22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오이를 첨가한 막걸리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쌀의 20%만큼 오이를 첨가하여 막걸리를 제조한 후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발효 6일째 알코올 함량은 대조군 16.3%, 오이 막걸리 16.2%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발효 6일째 두 시료의 pH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총산은 두 시료 모두 발효 1일째에 급격히 증가하고, 그 이후 완만히 증가하였다. 총 균수, 유산균수 및 효모수 모두 오이 막걸리가 대조군보다 높았으며, 색도는 대조군과 오이 막걸리 사이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리당 중 glucose는 발효가 진행되면서 감소하였고, 대조군과 오이 막걸리 모두 succin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다. 휘발성 화합물 중 오이 막걸리에서 가장 많이 동정된 성분은 3-methyl-1-butanol, 2-methyl-1-propanol, ethyl acetate이었다.

은행나무의 잎끝마름병에 미치는 $SO_2$ 의 영향 (Effect of $SO_2$ on Leaf Tip Blight of Ginkgo biloba caused by Coniothyrium sp.)

  • 강연지;박소홍;이두형;배공형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79-184
    • /
    • 1999
  • 대기오염과 병충해발생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은행나무에 $SO_2$ 가스를 처리한 후, 잎끝마름병균을 접종하여 식물의 생리·생화학적인 변화를 조사하였다. ${\mu}l/l$$SO_2$ 가스를 하루 8시간씩 7일간 은행나무에 처리한 결과 Chlorosis등의 가시피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광합성이 대조구에 비해 40%가량 감소되고, $CO_2$ 이용효율과 수분이용효율이 감소되는 현상을 보였다. 가스처리 후 병원균을 상처접종시키고 42일 뒤 SI와 SFI의 발병도를 조사한 결과 SI가 SFI에 비해 3배 가량 빠르게 병이 진전되어 있었다. 병원균의 먹이가 되는 당의 함량은 대조구, SFI, SI간에 유의성을 보일 만큼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광합성은 SI가 SFI에 비해 11%가량 저하되었다. 광합성이 저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당의 함량이 유지되었으므로 탄소 고정관계를 알아본 결과 $CO_2$ 이용효율이 저하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함께 수분이용효율이 SI에서 SFI에 비해 13.2%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이온유출량 등으로 보아 $SO_2$ 가스처리로 인해 식물이 연약해져 병원균에 대한 저항력이 낮아졌고, 수분이용효율의 증가로 인해 탄소 고정이 활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당이 원활히 합성되는 한편 내부적인 변화로 인해 합성된 당의 전류가 억제되어 잎에 당이 축적되었기 때문에 SI의 발병도가 훨씬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손바닥 선인장의 항산화활성 및 분말 첨가 쿠키의 품질특성 연구 (The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Cactus (Opuntia humifusa)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Cactus Powder added)

  • 한임희;이경애;변광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4호통권100호
    • /
    • pp.443-451
    • /
    • 2007
  •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quality of Korean cactus, Opuntia humifusa, as the functional foodstuffs, it's seeds, stems and fruits were analyzed. In addition, we performed quality evaluation on cookies manufactured with cactus powder added. The results showed the soluble nitrogen-free component levels in the cactus to be very high. The highest component levels were crude fiber(48.75%) and crude fat(7.38%) in the seeds, crude ash(15.39%) in the stems, and moisture(11.26%) and crude protein(8.79%) in the fruit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cactus were evaluated based on peroxide values(POV),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TBARS value),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EDA) using the DPPH method. The POVs for soybean oil containing a 0.05% concentrated water extract from each part of the cactus revealed a remarkable antioxidant effects on peroxidation as storage time increased. The TBA values were 63.65% in BHT, 60.67% in the stems, 57.31% in the fruits and 49.16% in the seeds. The EDAs were 30.26% in the stems, 25.89% in the fruits, and 25.65% in the seed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the water soluble materials from the cactus were 3.14 g/100 g in the fruits, 2.93 g in the stems and 2.11 g in the seeds. For the cookies, as the amounts of fruit and stem powder increased, the spreadness was significantly lowered, but moisture content was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The color degree of the cookies changed from dim to intense as more fruit powder was added, resulting from a decrease in the L- and b-values and a significantly increased a-value. With the addition of stem powder, the L- and a-value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hile the b-value was lowered compared to the control as more stem powder added. For texture changes of the fruit cooki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ardness, gumminess, cohesiveness, springiness and brittleness. The stem cookies, however, showed only differences in hardness, gumminess, and brittleness, and not in cohesiveness and springiness. Finally, an overall sensory preference was found with the 1% fruit powder and 3% stem powder additions.

압력 구동 기반 분리막의 막 오염 저감을 위한 표면 개질 방법 최신 연구 동향 (Current Research Trends on Surface Modification of Pressure-driven Membranes for Fouling Mitigation)

  • 전병문;이형개;김우정;박지훈;김종혁;권영남
    • 멤브레인
    • /
    • 제28권1호
    • /
    • pp.1-20
    • /
    • 2018
  • 고분자 재질의 압력 구동 기반 분리막을 이용하여 담수를 얻기 위한 공정은 에너지 효율이 높은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분리막 운전 중에 투과성능을 떨어트리는 막 오염 문제가 발생 하기에, 막 오염을 제어하는 것은 분리막 공정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데 필수적이다. 막 오염은 일반적으로 분리막 표면과 막 오염 물질과의 상호 작용으로 발생하며, 분리막 표면을 개질하는 방법은 막 오염을 방지하여 높은 투과 특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좋은 방법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압력 구동 기반 분리막인 미세여과, 한외여과, 나노여과 및 역삼투용 분리막의 표면을 개질할 수 있는 방법을 정리하였다. 구체적인 개질 방법으로는 개질 물질의 흡착 및 코팅 방법인 물리적 방법과 가교제 이용, 자유 라디칼 중합(FRP), 원자 이동 라디칼 중합(ATRP), 플라즈마 및 자외선 조사 기반 중합인 화학적 방법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본 총설에서는 최근 논문상에 보고되고 있는 물리화학적 표면 개질 방법을 소개하고, 막 오염 저항성을 높일 수 있는 분리막 제조를 위한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산(韓國産) 고등(高等) 균류(菌類)의 성분(成分) 연구(硏究)(제(第)56보(報)) -영지(靈芝)의 성분(成分) 및 면역촉진작용(免疫促進作用)- (Studies on Constituents of Higher Fungi of Korea(LVI) -General Constituents and lmmunostimulation of Ganoderma lucidum-)

  • 이명희;김하원;심미자;도상학;최응칠;김병각
    • 한국균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49-163
    • /
    • 1986
  • 1. 한국에서 재배된 영지의 일반 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 14.6 %, 회분 2.0 %, 조 지방 3.3 %, 조 단백 질 23.6 %, 조 섬유 59.0 %이었다. 9 종의 환원당 중 maltose가 9.2 mg/g으로써 가장 많았다. alanine을 비롯한 17 종의 유리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었다. 열수 추출액의 pH는 $4.1{\sim}4.2$ 이었다. 2. 주사 전자 현미경으로 2 종류의 재배 영지의 포자 표면의 미세 구조를 관찰하여 본 결과, 차이점이 없었으며 그 크기는 장경(長 徑) $6.3{\sim}7.1\;{\mu}m$, 단경(短徑) $3.5{\sim}4.3\;{\mu}m$, 두께 $2.0{\sim}2.5\;{\mu}m$이었다. 표면의 오목한 부분은 직경(直徑) $0.4{\sim}0.5\;{\mu}m$의 원형이다. 3. Sarcoma-180을 이식한 마우스에 대한 영지의 수명 연장 효과는 Fraction A가 131.7 %, Fraction B가 162.5 %, Fraction C가 141.7 %이었다. 4. Fraction B를 40 mg/kg의 용량으로 5 일간 마우스에 투여하였을 때, 지연형 과민만응이 대조군에 비하여 66.7 %로 회복되었다.

  • PDF

Mate (ILex paraguarensis) 발효차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Mate(ILex paraguarensis) Leaf Tea)

  • 홍주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00-506
    • /
    • 2010
  • 본 연구는 최근 기능성 차 소재로 알려져 있는 mate의 특유의 맛과 향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효공정을 적용하였으며 발효공정 단계별 유용성분 분석을 통해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발효 전 mate 추출물에서는 탄닌 함량이 $5.81{\pm}0.02\;{\mu}g/mL$로 측정되었으나 발효 후 덖기 과정 및 최종 건조과정을 거침에 따라 각각 $5.56{\pm}0.03\;{\mu}g/mL$, $5.49{\pm}0.04\;{\mu}g/mL$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발효 전 mate 추출물에서 각각 43.45 mg/g, 0.86 mg/g이었으며 발효 후 덖음 과정을 거친 구간이 각각 38.20 mg/g, 0.73 mg/g으로 나타나 발효공정이 진행 될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발효 전 mate추출물의 카페인 함량은 6.78 mg/g이었으나 발효 후 덖음 과정을 거친 후 4.30 mg/g으로 나타나 발효공정이 진행될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으며 최종 건조완료 후 3.65 mg/g이었다. 발효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유리아미노산과 필수아미노산은 낮아지는 경향이었으며, 발효 후 덖기과정을 거친 mate의 유리아미노산과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690.95\;{\mu}g/mL$, $93.68\;{\mu}g/mL$이었다. 종합적인 기호도는 발효공정이 진행될수록 높은 점수를 얻어 풍미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는데, 발효를 통해 단맛 및 구수한 맛은 증가하였고 쓴맛과 떫은맛은 감소하여 종합적인 기호도는 증가하였다.

The effect of phosphorus removal from sewage on the plankton community in a hypertrophic reservoir

  • Jung, Sungmin;Kim, Kiyong;Lee, Yunkyoung;Lee, Jaeyong;Cheong, Yukyong;Reza, Arif;Kim, Jaiku;Owen, Jeffrey S.;Kim, Bomchul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0권1호
    • /
    • pp.66-74
    • /
    • 2016
  • Background: When developing water quality improvement strategies for eutrophic lakes, questions may arise about the relative importance of point sources and nonpoint sources of phosphorus. For example, there is some skepticism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partial reductions in phosphorus loading; because phosphorus concentrations are too high in hypertrophic lakes, in-lake phosphorus concentrations might still remain within typical range for eutrophic lakes even after the reduction of phosphorus loading. For this study, water quality and the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communities were monitored in a hypertrophic reservoir (Lake Wangsong) before and after the reduction of phosphorus loading from a point source (a sewage treatment plant) by the installation of a chemical phosphorus-removal process. Results: Before phosphorus removal, Lake Wangsong was classified as hypertrophic with a median phosphorus concentration of $0.232mg\;L^{-1}$ and a median chlorophyll-a concentration of $112mg\;L^{-1}$. The dominant phytoplankton were filamentous cyanobacteria for the most of the ice-free season. Following the installation of the advanced treatment process, phosphorus concentrations were reduced to $81mg\;L^{-1}$, and the N/P atomic ratio increased from 42 to 102. Chlorophyll-a concentrations decreased to $42{\mu}g\;L^{-1}$, and the duration of cyanobacterial dominance was confined to the summer season. Cyanobacteria in spring and autumn were replaced by diatoms and cryptomonads. Filamentous cyanobacteria in summer were replaced by colony-forming unicellular Microcystis spp. It was remarkable that zooplankton biomass increased despite the decrease in phytoplankton biomass, and especially cladoceran zooplankton which increased drastically. These responses to the reduction of point source P loading to Lake Wangsong imply that reducing the point source P loading can have a big impact even when nonpoint sources account for a large fraction of the total annual phosphorus loading. Conclusions: Our results also show that the phytoplankton community can shift to decreased cyanobacterial dominance and the zooplankton community can shift to higher cladoceran dominance, even when phosphorus concentrations remain within the typical range for eutrophic lakes following the reduction of phosphorus loading.

담수어(淡水魚)의 식품학적(食品學的) 연구(硏究) (I) - 잉어 육(肉)의 화학성분(化學成分) - (Studies on the Food of Fresh Water Fish ( I ) -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arp Muscle, Cyprinus Carpio -)

  • 성낙주;심기환;이종호;이종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3권1호
    • /
    • pp.59-64
    • /
    • 1980
  • Carp, Cypinus carpio, has been esteemed as one of the most tasty fresh water fishes in Korea. But little study on its food has been reported.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s, amino acids,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as chemical component of carp muscle were analyzed by gas-liauid chromatography, amino acid autoanalyzer and high speed liauid chromatography. The fatty acids of the carp muscle lipid consisted of the large amount of $C_{18}\;:\;2,$ $C_{18}\;:\;1,$ $C_{18}\;:\;3,$ $C_{16}\;:\;0,$ $C_{16}\;:\;1,$ acids, small amount of $C_{16}\;:\;2,$ $C_{18}\;:\;0,$ $C_{18}\;:\;4,$ $C_{14}\;:\;0,$ $C_{14}\;:\;1,$ $C_{12}\;:\;0,$ acids, and $C_{13}\;:\;1,$ $C_{13}\;:\;0,$ $C_{20}\;:\;1,$ $C_{17}\;:\;0,$ $C_{15}\;:\;1,$ $C_{17}\;:\;1,$ $C_{22}\;:\;1$ acids were smaller. In fresh carp, the results showed that inosine $17.25{\mu}mole/g$, hypoxanthine $10.06{\mu}mole/g$ were dominant and the content of GMP, IMP, AMP, UMP, CMP were 1.56, 1.36, 0.92, 0.49, $0.34\:{\mu}mole/g$ on dry base, respectively. Histidine and lysine were dominant amino acids in carp extract, having 49.4% (214.6mg%), 33.9% (147.1mg%) of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s, respectively, but the content of glycine, serine, alanine and glutamic acid were low, and arginine, aspartic acid, threonine, proline,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phenylalanine were detected in trace amount. The content of amino acid composition showed that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leucine, alanine, valine and arginine were the most abundant amino acids, while such amino acids as glycine, isoleucine, phenylalanine, threonine, histidine, methionine, serine and tyrosine were low, and proline was detected in trace amount.

  • PDF

스마트 팜 시스템으로 재배된 표고의 외형평가 및 항산화능 활성 (Characterization of the morphology and antioxidant content of shiitake cultivated in smart farm system)

  • 조재한;엽소진;한재구;이강효;박혜성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06-209
    • /
    • 2017
  • 스마트 팜 시스템을 이용하여 재배한 표고와 일반재배 시스템으로 재배한 표고의 갓 직경과 두께를 조사한 결과로 갓 직경과 굵기, 대 길이와 굵기, 개체중 모두 스마트팜 시스템을 이용하여 재배한 버섯이 조금 높게 나왔고, 갓과 대의 경도는 일반 재배된 버섯이 더 높게 나왔는데 이는 수분 함량이 더 적기 때문에 경도가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DPPH 라디칼 소거능에서는 스마트 팜 시스템에서 재배하여 동결건조한 후에 $60^{\circ}C$에서 추출한 처리구에서 37.8%의 라디칼 소거능을 보여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열풍건조하여 70% 발효주정에서 추출한 처리구가 12.2%로 가장 낮은 활성을 보인 것을 확인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 역시 열수 추출한 처리구가 70% 발효주정에서 추출한 처리구보다 모두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가졌고, 동결건조 샘플이 열풍건조 샘플보다 폴리페놀 함량이 높았으며, 스마트 팜 시스템에서 재배한 버섯이 각각의 처리구에서 일반 재배된 버섯보다 조금씩 높은 함량을 가진 것을 확인하였다. 스마트 팜 시스템을 이용하여 표고버섯을 재배했을 때 일반 재배방식으로 재배된 버섯보다 항산화 활성과 폴리페놀 함량이 높게 나와 일반 재배방식보다 더욱 기능성이 향상된 버섯을 만드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