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e Fatty Acids

검색결과 930건 처리시간 0.036초

양식 및 천연산 우렁쉥이의 식품성분 (Food Constituents of Edible Ascidians Halocynthia roretzi and Pyura michaelseni)

  • 오광수;김진수;허민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955-962
    • /
    • 1997
  • 우리나라에서 생선회와 더불어 즐겨 먹고 있는 수산식품인 멍게류의 식품성분 특성을 분석하여 수산화학적 측면에서 비교 검토하였다. 수분과 조단백질 함량은 돌멍게와 천연산 우렁쉥이가 양식산에 비해 다소 많았으며, 양식산 우렁쉥이는 글리코겐의 함량이 다소 많았다. 양식산 및 천연산우렁쉥이, 돌멍게의 구성아미노산의 총함량은 각각 11,425.4 mg%, 11,593.4 mg% 및 12,152.7 mg%이었고, Asp, Glu 및 Lys 등이 주요 구성아미노산이었다. 양식산 및 천연간 우렁쉥이, 돌멍게 총지방질의 주요구성지방산은 14:0. 16:0, 16:1n7, 18:1n9, 18:1n7, 18:4n3, 20:5n3 및 22:6n3 등이었고, n3계열 고도불포화 지방산의 조성비는 각각 39.1%, 47.0% 및 46.5%이었다. 정미성분의 조성에서 양식산 및 천연산 우렁쉥이, 돌멍게에 함유된 유리아미노산의 총량은 각각 1,071.3 mg%, 1,278.7 mg% 및 1,133.2 mg%으로 천연산 쪽의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각 시료 모두 Tau, Glu 및 Pro의 함량이 월등히 많았고, 다음이 Asn, Gly, Ala 등으로 이들이 전체의 $69.6{\sim}70.6%$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Arg의 함량이 극히 적은 점이 특이하였다. 핵산관련물질로는 AMP의 함량이 $11.6{\sim}27.6\;mg%$으로 주성분이었고, IMP가 소량 검출되었다. TMAO는 $12.2{\sim}18.1\;mg%$, total creatine은 $15.5{\sim}19.6\;mg%$ 정도로 그 양이 적었고, betaine 함량은 $270.5{\sim}329.9\;mg%$ 다량 검출되었으며, 돌멍게에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무기성분 중 $Na^+$$300.4{\sim}358.5\;mg%,\;K^+\;467.2{\sim}478.5\;mg%,\;Cl\;890.1{\sim}990.8mg%,$ 그리고 $PO^{3-}_4$의 함량은 $485.1{\sim}580.9\;mg%$ 정도였다.

  • PDF

국내 산지별 굴의 성분 특성 (Food Components Characteristic of Oysters Produced in Korea)

  • 최종덕;황석민;강진영;김상현;김정균;오광수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6호
    • /
    • pp.105-115
    • /
    • 2012
  • 국내산 양식 및 천연산 굴의 가치 증진 및 보다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식품학적 자료를 얻기 위해 통영, 고성, 여수 및 사천만에서 수하식 및 반수하식으로 양식한 참굴 4종과 고흥, 서천의 해안가 조간대에 서식하는 천연산 참굴류 2종을 구입하여 이들의 영양성분과 풍미성분 조성을 분석 비교하였다. 탈각한 양식산 및 천연산 굴의 크기는 각각 길이 4.7~5.1 및 3.0~4.2 cm, 무게 5.9~9.1 및 2.6~5.5 g으로 산지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었으나, 일반성분 조성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아미노질소 및 휘발성염기질소 함량은 각각 232.8~258.2 및 160.5~213.9 mg/100 g, 9.5~12.0 및 7.8~9.5 mg/100 g으로 산지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나타내어 맛과 냄새의 강도가 다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염도는 각각 1.5~1.7 및 1.5~1.8%, 절단력은 95~114 및 105~132 g으로 산지에 따른 차이는 거의 없었다. 양식산과 천연산 굴의 주요 구성지방산은 16:0, 18:0, 16:1n-9, 18:1n-9, 22:1n-9, 16:4n-3, 20:5n-3, 22:6n-3 등으로 산지에 따른 특별한 조성의 차이는 없었다. 총아미노산의 함량은 각각 9,004~10,198 및 8,165~8,942 mg/100 g으로 aspartic acid, glutamic acid, proline, alanine, leucine, phenylalanine, lysine 및 arginine이 주요 구성 아미노산이었고, 주요 무기이온은 K, Na, Ca, Fe, S, P 및 Zn 등으로 산지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정미발현성분인 유리아미노산의 총함량은 각각 1,444~1,620 및 1,017~1,277 mg/100 g으로 taurine,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tryptophan, ornithin 및 lysine 등이 주요 유리아미노산이었으며, 산지에 따라 다소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넙치, 범가자미 및 잡종 (넙치 male $\times$ 범가자미 female) 근육의 식품화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Pood Chemical Properties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Spotted Flounder (Verasper variegatus) and Their Hybrid Muscle)

  • 김태진;민진기;윤호동;이두석;박정흠;손광태;김경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0-55
    • /
    • 1999
  • 새로운 양식대상종의 개발 및 고급횟감으로서 이용하기 위하여 범가자미 수컷 (m)과 넙치 암컷 (f)을 교배시켜 생산된 잡종의 식품학적 특성을 범가자미, 넙치 그리고 등육과 배육으로 나누어 비교 검토하였다. 잡종과 범가자미는 넙치에 비하여 수분함량은 높고 조단백질 함량은 낮았다. 무기질은 칼륨, 칼슘, 마그네슘, 철, 아연, 망간의 순으로 낮았으며 잡종의 칼륨함량이 넙치나 범가자미에 비하여 높았다. 잡종의 등육이 배육에 비하여 칼슘, 철, 망간의 함량이 적고 마그네슘의 함량이 높았다. 잡종의 필수지방산의 함량비는 약 $10\%$로 넙치나 범가자미에 비하여 높았으며 포화지방산, 불포화지방산, DHA는 범가자미와 넙치의 중간수준을 보였다. 등육과 배육의 지방산 조성은 거의 비슷하였다. ATP 관련화합물의 함량에 있어서도 잡종은 넙치와 범가자미의 중간 수준을 보였으며 등육과 배육은 거의 비슷하였다. 구성아미노산의 함량은 넙치가 가장 높고 범가자미는 낮으며 잡종은 중간정도를 나타내었다. 주요 구성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glutamic acid, leucine, Iysine으로 어종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등육이 배육에 비하여 아미노산의 총량 및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이 다소 높았다. 유리아미노산의 함량 및 조성은 잡종과 범가자미가 비슷하였으며 taurine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등육이 배육에 비하여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았다. 잡종과 범가자미 근육의 백색도가 넙치에 비하여 강하였고 등육이 배육에 비하여 강한 경향을 보였다. 근육의 파괴강도에 있어서는 잡종이 범가자미에 거의 육박하였으며, 등육이 배육에 비하여 강하였다.

  • PDF

일반쌀겨와 발효쌀겨의 영양성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Non-Fermented Rice Bran and Fermented Rice Bran)

  • 최현임;이복규;김수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7
    • /
    • 2010
  • 쌀의 도정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산물인 일반쌀겨와 이 쌀겨를 발효시켜 얻은 발효쌀겨의 영양성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일반쌀겨의 수분 함량은 10.50%이었으며, 발효쌀겨의 수분 함량은 29.27%이었다. 단백질 함량은 일반쌀겨 15.01%, 발효쌀겨 25.99%로 나타내었다. 지방 함량은 일반쌀겨 17.43%, 발효쌀겨 3.62%를 나타내었다. 조회분은 일반쌀겨 및 발효쌀겨의 함량이 각각 8.80%, 15.45%를 나타내어, 쌀겨 발효 시 수분, 단백질, 회분은 증가하고, 지방과 탄수화물은 감소하였다. 일반쌀겨 및 발효쌀겨의 지방산 조성은 유사하게 나타나, 포화지방산 함량은 일반쌀겨가 17.7%, 발효쌀겨가 20.5%였으며, 일반쌀겨와 발효쌀겨의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각각 82.3%, 79.5%의 조성비를 나타내었다. 두 가지 시료의 포화 및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두 가지 시료 모두 palmitic acid, oleic acid 및 linoleic acid의 함량비가 90% 이상을 차지하였다. 일반쌀겨의 지방산은 palmitic acid 15.1%, oleic acid 40.6%와 linoleic acid 39.5%의 조성을 나타내었으며, 발효쌀겨의 palmitic aicd, oleic acid 및 linoleic acid의 조성은 각각 13.2%, 43.2%, 31.3%로 나타났다. 유리당은 일반쌀겨가 fructose 0.5419%, glucose 0.6910%, maltose 6.6692%로 나타내었고, 발효쌀겨의 경우 fructose는 검출되지 않았고, glucose 0.0099%, maltose 0.0039%, sucrose 0.3233%로 나타나 일반쌀겨가 발효되면서 당이 분해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반쌀겨의 비타민 C 함량은 53 mg/100 g이었고, 발효쌀겨의 비타민 C 함량은 7 mg/100 g으로 나타났으며, 두 가지 시료 모두 비타민 A는 검출되지 않았다. 18종의 무기질을 분석한 결과, 두 가지 시료 모두 Ca, K, Mg 및 Mn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일반쌀겨에는 K이 1,795.71 mg/100 g, Mg이 825.21 mg/100 g의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발효쌀겨는 일반쌀겨보다 더 높아 K이 3,163.67 mg/100 g, Mg이 1,178.94 mg/100 g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 무기질 함량은 일반쌀겨가 2,748.00 mg/100 g, 발효쌀겨가 4,660.49 mg/100 g으로 발효쌀겨의 무기질 함량이 더 높게 나타났다.

매화의 품종과 건조방법에 따른 화학성분 조성 (Chemical Composition of Prunus mume Flower Varieties and Drying Method)

  • 김용두;정명화;구이란;조인경;곽상호;김보은;김기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86-191
    • /
    • 2006
  • 매화의 품종과 건조방법에 따른 화학성분을 분석하여 매화차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 매화의 건조별, 품종별 일반성분은 생화를 기준으로 수분 함량은 $82.5{\sim}84.2%$, 조섬유 $2.5{\sim}3.1%$, 조단백질 $2.6{\sim}3.1%$, 조지방 $0.67{\sim}0.84%$, 조회분 $0.22{\sim}0.60%$ 이었으며, 가용성 무질소물은 $10.1{\sim}11.2%$로 나타났으며, 동결 건조에서는 수분 16.4%, 음건 13.3%로 나타났다. 품종에 따른 일반성분은 회분 함량을 제외하고는 큰 차이가 없었다. 매화의 생화, 동결건조, 음건의 유리당 분석결과 fructose, glucose가 검출되었으며 sucrose는 생화를 제외한 동결건조와 음건시료에서 미량 검출되었다. 품종에 따른 유리당 함량은 큰 차이가 없었다. 청축 생화 유기산 분석결과 citric acid, malic acid가 각각 0.82%, 0.41% 검출 되었고 품종별 함량은 청축>고성>백가하순으로 나타났다. 매화의 품종별 무기성분의 함량은 3품종 모두 K가 가장 높았으며 건조별 무기성분 함량을 보면 음건한 시료가 동결 건조된 시료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주요 지방산으로는 각각의 품종별로 palmitoleic acid가 가장 많았고 건조별로는 지방산 함량이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화의 비타민 C 함량은 청축의 경우 생화 64.3 mg%, 동결건조 480.5 mg%, 음건 442.3 mg%로 나타났다. 품종별로 구성 아미노산의 함량을 살펴보면 세 품종 모두 aspart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유리아미노산의 경우 총 함량은 청축>백가하>고성 순으로 나타났다.

현미의 볶음 처리 유무와 첨가량이 선식의 영양적 관능적 특성 및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Roasted or Non-roasted Brown Rice Addition on the Nutritional and Sensory Properties and Oxidative Stability of Sunsik, Korean Heated Cereal Powder)

  • 이병용;오진환;김미현;장기효;이재철;서정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872-886
    • /
    • 2010
  • 현미의 기능성을 선식에 부가하기 위해, 현미의 볶음처리 유무와 첨가량을 달리하여 6종의 현미 강화 선식을 제조하고, 이들 조건에 따른 선식의 영양적, 관능적 특성 및 산화안정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 의해 산출된 유의적 결과들은 크게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현미 첨가량이 선식의 품질 특성에 미친 영향 선식 재료의 배합에 있어, 현미의 첨가량을 증가시킬수록 선식의 식이섬유 함량 역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그 외의 일반성분, 8종의 개별 무기질 및 아미노산 조성은 현미 첨가량에 따른 유의적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2) 현미의 볶음공정이 선식의 품질 특성에 미친 영향 현미를 볶아서 선식에 첨가한 경우, 볶지 않고 첨가한 선식과 비교할 때,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현상은 볶음(roasting) 공정 중 고온에 의한 현미 단백질의 열분해에서 기인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한편, 현미의 볶음공정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은 것은 선식의 산화안정성이었다. 즉, 현미를 볶지 않고 첨가한 경우에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산화물이 비례적으로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볶음공정을 처리하였을 때는 측정시간의 범위 안에서 산화물 생성의 유의적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이, 현미 첨가량과 관계없이 볶음공정에 의해 산화안정성이 유의적으로 높아졌다는 사실은, 현미 자체에 내재하는 항산화물질에 의한 영향뿐 아니라, 볶음공정 중 진행되는 Maillard reaction 등의 화학반응에 의한 항산화물질의 생성이 현미강화선식의 산화안정성에 크게 기여할 것임을 시사하였다. 3) 현미 강화 선식의 관능적 특성 현미강화 선식의 관능적 특징 중, 후각과 미각에 의해 인지되는 특성인 구수한 맛과 향, 단맛의 특성은 종합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와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냄으로써, 볶은 현미 30%를 첨가한 RBR30 선식이 관능적으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양한 곡물이 주원료인 선식의 경우는, 선식을 구성하는 원료들 사이의 상호작용(interaction)으로, 곡물의 첨가량 및 볶음공정에 따른 관능적 특성의 비례적 변화가 아닌, 최적의 관능적 특성을 부여하는 배합비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Properties of Cholesterol-reduced Butter and Effect of Gamma Linolenic Acid Added Butter on Blood Cholesterol

  • Jung, Tae-Hee;Kim, Jae-Joon;Yu, Sang-Hoon;Ahn, Joungjwa;Kwak, Hae-So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11호
    • /
    • pp.1646-1654
    • /
    • 2005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cholesterol-reduced and gamma linolenic acid (GLA)-added butter and to examine the changes in 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and cholesterol lowering effect of GLA addition. The cholesterol removal rate reached 93.2% by $\beta$-cyclodextrin in butter before GLA addition. The thiobarbituric acid value of cholesterol-reduced and GLA-added butter increased slowly up to 4 week and plauteaued thereafter. TBA valu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2% GLA addition, compared with no GLA addition. The production of short-chain free fatty acids (FFA) increased with storage in all treatments. From 4 weeks storage, the amount of short-chain FFA in 2% GLA-adde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other groups. Among sensory characteristics, color, greas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mostly affected by GLA addition, however, the rancidity value of 2% GLA addi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control and GLA-unadded and cholesterol-reduced butter at 0, 6 and 8 week storage. Among groups, no difference was found in texture in all storage periods. The smallest increase of total blood cholesterol in rats was found in the group fed 2% GLA-added and cholesterol-reduced butter for 8 week, compared with that in controls. The present results showed the possibility of cholesterol-reduced and GLA-added butter development without much difference in chemical, rheological and sensory properties, and indicated a slow increase effect on blood total cholesterol in rats.

상이한 조건하에서 저장한 압출보리의 품질특성에 관한 이화학적 평가 -제 1 보 : 지방질 산화- (Physicochemical Assessment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Extruded Barley under Varied Storage Conditions)

  • 신효선;제이아이그레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89-194
    • /
    • 1983
  • 3가지 다른 조건하에서 제조된 압출보리와 생보리를 0.31 및 0.71의 수분활성과 $25^{\circ}C$$40^{\circ}C$의 온도에서 각각 4개월 저장하면서 지방질의 산화에 대한 수분활성과 온도의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모든 시료로부터 검출한 지방질 중의 Conjugated diene의 함량은 저장기간의 경과와 함께 수분활성과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지방산의 U/S비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생보리는 압출보리보다 저장 중 Conjugated diene함량의 증가와 U/S비의 감소가 더 심하였으며, 설탕을 첨가하여 제조한 압출보리는 다른 압출보리보다 저장 중 산화에 대한 지방질의 안정성이 양호하였다. 모든 시료에서 추출한 지방질 중 유리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지방질의 함량은 저장 중 수분활성과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 PDF

The Effects of Supplementing Methionine plus Cystine to a Low-protein Diet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Fat Accumulation of Growing Broiler Chicks

  • Bunchasak, C.;Satoso, U.;Tanaka, K.;Ohtani, S.;Collado, Cristino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0권2호
    • /
    • pp.185-191
    • /
    • 1997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 low-protein diet supplemented with DL-methionine plus L-cystine (Met + Cys)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fat accumulation of female broiler chicks during the growing period (3-6 wks old). A low-protein diet (17% CP; 3,200 ME kcal/kg) was supplemented with Met + Cys (1.1 : 1.0) at levels 0.75, 0.94, 1.25, 1.31 or 1.50% of diet, respectively. Another diet with 21% CP and 3,200 ME kcal/kg served as the control group. All essential amino acids were adjusted to meet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1984) requirement for chicks. Feed and water were given ad libitum. Body weight of the chicks fed the low-CP diets supplemented with Met + Cys were heavier than those of the control birds. Feed conversion ratio and feed intak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and among the treatment groups. Similary, abdominal fat cont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various treatments except that of the chicks fed the low CP diet with 1.25% Met + Cys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Fatty acid synthetase (FAS), acetyl-CoA carboxylase (ACC) activities and carcass protein content were not influenced by dietary treatments. Carcass fat content was lowest in chicks fed low CP diet with 0.75% Met + Cys and highest in the group that received 1.50% Met + Cys supplementation. Liver triglyceride increased as Met + Cys supplementation level increased. Various lipid fraction concentrations (cholesterol ester, free cholesterol, and phospholipid) in the serum went up as Met + Cys increased up to 1.25% after which it levelled off. Results of this experiment suggest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dietary protein level from 21% to 17% for growing broiler chicks by the supplementation of Met + Cys when other EAA were sufficient.

Medium- and long-chain triglyceride propofol reduces the activity of acetyl-coenzyme A carboxylase in hepatic lipid metabolism in HepG2 and Huh7 cells

  • Wang, Li-yuan;Wu, Jing;Gao, Ya-fen;Lin, Duo-mao;Ma, Ju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4권1호
    • /
    • pp.19-26
    • /
    • 2020
  • Medium- and long-chain triglyceride (MCT/LCT) propofol is widely used as an intravenous anesthetic, especially in the intensive care unit. The present study aimed to assess whether MCT/LCT propofol is safe in the hyperlipidemic population for long-term use. Free fatty acids (FFAs) were used to establish high-fat stimulation of HepG2 and Huh7 cells. Subsequently, these cells were treated with propofol at the concentration of 0, 4, or 8 ㎍/ml for 24 and 48 h.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ell viability was notably decreased when the cells were stimulated with 2 mmol/L FFAs and treated with 12 ㎍/ml MCT/LCT propofol. Accordingly, we chose 2 mmol/L FFAs along with 4 and 8 ㎍/ml MCT/LCT propofol for the subsequent experiments. Four and 8 ㎍/ml MCT/LCT propofol inhibited FFA-induced lipid accumulation in the cells and significantly reversed acetyl coenzyme A carboxylase (ACC) activity. In addition, MCT/LCT propofol not only significantly promoted the phosphorylation of AMPK and ACC, but also reversed the FFA-induced decreased phosphorylation of AMPK and ACC. In conclusion, MCT/LCT propofol reverses the negative effects caused by FFAs in HepG2 and Huh7 cells, indicating that MCT/LCT propofol might positively regulate lipid metabo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