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ankliniella occidentalis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7초

시설농업지에서의 해충과 천적의 발생상 (Insect Pests and Their Natural Enemies in the Controlled Agricultural Farms)

  • 서미자;안수정;박덕기;윤영남
    • 농업과학연구
    • /
    • 제24권1호
    • /
    • pp.21-28
    • /
    • 1997
  • 전국 일원의 시설 재배 농가 중 353 농가를 방문하여 해충 및 천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전체 조사 농가의 73%에서 총 52종의 해충이 발생되고 있었으며 이 중 꽃노랑총채벌레, 점박이응애, 온실가루이, 목화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등이 주요 해충으로 조사되었다. 천적의 발생은 아주 미미하였으나 방문 농가의 11%인 40개소의 시설재배 농사에서 확인하였으며 이는 해충이 발생한 농가의 약 17%에서 볼 수 있었다. 주요 천적으로는 전체 조사 천적 중 진디벌류가 63%, 무당벌레류가 20%, 애꽃노린재류가 8%를 차지하였으며 이들 이외에도 꽃등에류, 포식응애류, 풀잠자리류, 좀벌류, 혹파리류가 채집되었다. 또한 주요 작물별 해충과 천적의 발생정도를 살펴본 결과 토마토에서는 온실가루이, 오이에서는 꽃노랑총채벌레, 목화진딧물, 참외 및 수박에서는 꽃노랑총채벌레와 응애류, 고추에서는 복숭아혹진딧물과 꽃노랑총채벌레, 딸기에서는 응애류와 진딧물류 등이 주요해충으로 조사되었다.

  • PDF

Residue analysis of spinetoram and spinosad on paprika leaf using the modified QuEChERS pre-treatment methods

  • Kim, Young-Shin;Yang, Jun-Young;Jin, Na-Young;Yu, Yong-Man;Youn, Young-Nam;Lim, Chi-Hwan
    • 농업과학연구
    • /
    • 제44권4호
    • /
    • pp.487-494
    • /
    • 2017
  • Spinosad and spinetoram are widely used insecticides for the control of lepidopteran larvae, leaf miners, and thrips; however, they might also have low toxicity toward beneficial insects like bees. Because these pesticides are easily photolyzed by ultraviolet radiation, the QuEChERS method, with its simple pretreatment procedure, is often used for analyzing residues of spinosad and spinetoram. The present study performed a residue analysis using a modified QuEChERS method by pretreating with ammonium salt. The limit of detection (LOD) of the modified method was 0.05 mg/kg and the limit of quantification (LOQ) was 0.25 mg/kg.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for the calibration curve was 0.999. Also, we examined any change in the adhesion of spinosad and spinetoram on the plants depending on a spray volume. The adhesion was approximately 70% when the spray volume was increased from 60 L to 120 L per 10 a whereas the adhesion was approximately 37% when the spray volume was increased from 125 L to 250 L. This showed that the amount of adhesion decreased with the higher spray volume. The efficacy result of spinetoram was that over 90% of Frankliniella occidentalis was controlled with the application volume of 125 L per 10 a.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control of insects is effective and sufficient with a spray volume of 125 L per 10 a in paprika cultivation facilities.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of Watermelon Grafted onto Transgenic Rootstock Resistant to Cucumber Green Mottle Mosaic Virus (CGMMV) on Non-Target Insects in Conventional Agro-Ecosystem

  • Yi, Hoon-Bok;Park, Ji-Eun;Kwon, Min-Chul;Park, Sang-Kyu;Kim, Chang-Gi;Jeong, Soon-Chun;Yoon, Won-Kee;Park, Sang-Mi;Han, Sang-Lyul;Harn, Chee-Hark;Kim, Hwan-Mo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4호
    • /
    • pp.323-330
    • /
    • 2006
  • We investigated the impact of watermelon grafted onto Cucumber Green Mottle Mosaic Virus (CGMMV)-resistant transgenic watermelon rootstock on insects as non-target organisms in a greenhouse in 2005. We quantitatively collected insect assemblages living on leaves and flowers, and we used sticky traps to collect alate insects. We compared the patterns of insect assemblages and community composition, cotton aphid (Aphis gossypii Glover) on watermelon leaves and western flower thrip (Frankliniella occidentalis Trybom) on watermelon male flowers, between CGMMV-resistant transgenic watermelon (TR) and non-transgenic watermelon (nTR). Non-para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NMS) ordination verified that insect assemblages on leaves and sticky traps were different between TR and nTR (P<0.05). The insect assemblages on male flower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Multi-response permutation procedures proofed our results from NMS results (P>0.05). Conclusively, TR watermelons appear to have some adverse effects on the population of cotton aphids on leaves and sticky traps, but watermelon male flowers do not show an adverse effect.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assess the effect of TR on the aphid and western flower thrip. Life table experiments might support the specific reason for the adverse effects from leaf assemblages. Assessment of non-target impacts is an essential part of the risk assessment of non-target insects for the impact of transgenic organisms.

일천궁과 토천궁에서 발생하는 총채벌레류의 분자동정 (Molecular Identification of Thrips in Two Medicinal Crops, Cnidium officinale Makino and Ligusticum chuanxiong Hort)

  • 정충렬;정대희;박홍우;김현준;전권석;윤정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7-23
    • /
    • 2019
  • Background: Cnidium officinale Makino and Ligusticum chuanxiong Hort. are important medicinal crops in Korea. However, there is insufficient information on the identification of thrips, which attack these plants. Until now, one species of thrips has been recorded as a main pest. Methods and Results: To identify the thrips emerging in C. officinale Makino and L. chuanxiong Hort., these plants were independently cultivated in two local areas. Thirty individuals of each plant species were selected randomly and surveyed for the presence of thrips. After confirming the existence of thrips, 100 thrips individuals were collected from each crop using the beating method. To identify thrips species, we performed PCR-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based analysis using ITS2 primer sets. Six thrips species were identified: western flower thrips (Frankliniella occidentalis), flower thrips (F. intonsa), onion thrips (Thrips tabaci), chrysanthemum thrips (T. nigropilosus), chilli thrips (Scirtothrips dorsalis), and grass thrips (Anaphothrips obscurus). The proportion of these species differed between the host plant species. Conclusions: Six thrips species were major pests of two medicinal crops. Integrated pest management is required to control these thrips species, and will enhance the yield and quality of C. officinale and L. chuanxiong.

절화장미 훈증처리시 Methyl Bromide와 PH3를 이용한 새로운 살충방법의 개발 (Development of a New Disinfestation Method Using Methyl Bromide and PH3 in Cut Rose Fumigation)

  • 손기철;변혜진;김미경;윤재길;김의영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6권3호
    • /
    • pp.370-373
    • /
    • 1998
  • 절화장미 해충(진딧물, 응애, 총채벌레) 살충시 MB와 $PH_3$을 혼용하여 훈증함으로써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훨씬 높은 살충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MB/PH_3$농도를 $10/3g{\cdot}m^{-3}$$10^{\circ}C$의 훈증상에서 2시간 훈증했을 때, 진딧물과 총채벌레에 대해 각각 91.3%, 100%의 살충율을 나타내었다. 훈증시간을 3시간으로 하고 ;$MB/PH_3$의 농도가 $5/3g{\cdot}m^{-3}$ 또는 $7/3g{\cdot}m^{-3}$일 때, 식물약해가 전혀 없었을 뿐 아니라 응애와 총채벌레에서 96% 이상의 살충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훈증상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0.03%에서 5% 및 10%로 높여 주거나, 산소를 20%에서 15%으로 감소시켜 훈증처리를 한 결과, 이들 공기조성의 변화가 살충효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였다.

  • PDF

시설재배 국화에서 꽃노랑총채벌레 방제를 위한 미끌애꽃노린재와 new banker plants의 혼합 적용 효과 (Biological control of Frankliniella occidentalis Pergande by Orius laevigatus (Fieber) and new banker plants on chrysanthomum greenhouse)

  • 함은혜;박종균;최용석;이준석;최영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33-38
    • /
    • 2014
  • 시설국화에서 꽃노랑총채벌레를 친환경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미끌애꽃노린재와 미끌애꽃노린재 뱅커플랜트를 적용하여 7주 동안 천적의 분포 및 해충의 밀도변동을 조사하였다. 시설국화에서 천적의 방사방법 및 방사량에 따른 해충의 밀도 억제 효과를 검증하고자 천적 단독 처리, 뱅커플랜트 단독 처리 I, II, 천적과 뱅커플랜트 혼합 처리 I, II의 시험구를 설정하였다. 천적과 뱅커플랜트를 혼합 적용하여 처리한 곳이 국화 1주당 꽃노랑총채벌레 1마리 이하로 70마리까지 증가한 무처리구에 비해 밀도 억제 효과가 가장 뛰어났다. 이 처리구에서 91.8%의 꽃노랑총채벌레에 대한 방제가를 보였으며 친환경자재 처리구에 비해 5.8배, 천적 단독 처리구에 비해 1.4배의 해충 방제 효과가 있어 시설재배 국화에서 천적과 뱅커플랜트 혼합 적용의 꽃노랑총채벌레 방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칠레이리응애에 대한 농약의 선택독성과 장미에서 천적과 농약의 혼용에 의한 점박이응애의 방제효과 (Selective Toxicity of Pesticides to the Predatory Mite, Phytoseiulus persimilis and Control Effects of the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by Predatory Mite and Pesticide Mixture on Rose)

  • 안기수;이소영;이기열;이영수;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71-79
    • /
    • 2004
  • 장미의 병해충 방제에 등록되어 있는 34종, 등록되어 있지 않은 5종, 그리고 보조제 3종, 충 42종의 농약에 대한 칠레이리응애(알, 약충, 성충)와 점박이응애(알, 성충)의 선택독성과 칠레이리 응애에 의한 점박이응애 밀도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살비제 중 acequinocyl, bifenazate, fenbutatin oxide, spirodiclofen은 칠레이리응애에 대해서 독성이 낮았으나, 점박이응애에 대해서는 독성이 높았다. 살충제는 acetamiprid, imidacloprid, spinosad, thiamethoxam, acetamiprid+etofenprox가 칠레이리응애와 점박이응애에 대해서 독성이 없거나 적었다. 살균제 중에는 azoxystrobin, kresoximmethyl, myclobutanil, nuarimol, triadimefon, triflumizole, oxadixyl+mancozeb이 칠레이리응애와 점박이응애에 대해서 영향이 없었다. 농약보조제인 cover와 siloxane은 칠레이리응애에 대해서 독성이 컸으나, spreader는 영향이 없었고, 점박이응애에 대해서는 독성이 없거나 낮았다. 장미시설하우스에 서 칠레이리응애에 의한 점박이응애 밀도억제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점박이응애의 밀도가 잎당 65.3마리였을 때, 칠레이리응애를 주당 30마리 방사하였다. 방사 후 11일에 점박이응애 밀도가 잎당 3.8마리로 크게 감소하였고, 방사 후 20일에는 잎당 0마리로 밀도억제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조사기간 동안 흰가루병 방제로 살균제 4회(kresoxim-methyl, myclobutanil, nuarimol, triflumizole)와 총채벌레 방제약제를 1회(spinosad)처리하였으나, 칠레이리응애 밀도에는 영향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장미 병해충의 종합관리체계에서 칠레이리응애에 독성이 적은 약제와 칠레이리응애를 함께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구기자(Lycium chinense Mill.) 유기재배시 병해충 발생 및 친환경제제의 방제효과 (Studies on Outbreak of Diseases and Pests and Effect of Environmental Friendly Control Materials in Boxthorn (Lycium chinenseMill.) Organic Cultivation)

  • 이보희;박영춘;이석수;김영국;안영섭;유승헌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85-396
    • /
    • 2011
  • 본 연구는 구기자 유기재배 시 발생하는 주요 병해충에 대해 친환경적인 방제방법을 개발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관내 주요 유기재배 농가의 병해충의 발생을 조사한 결과 18종의 병해충이 조사되었는데 그 중 발생의 정도에 따라 병해로 흰가루병과 뒷면곰팡이병 해충으로 복숭아혹진딧물과 꽃노랑총채벌레 및 나방류가 친환경적인 방제연구가 필요하였다. 이에 방제 시험한 결과 초여름 발생하는 흰가루병에는 Bacilus subtilis QST 713 수화제와 Sulfur 수화제가 효과가 좋았고 초가을에 발생하는 흰가루병에는 Sulfur 수화제와 Copper hydroxide 수화제, Paraffinic oil 유제의 효과가 좋았다. 또한 뒷면곰팡이병 방제시험 결과 Paraffinic oil 유제와 Bacilus subtilis GB-0365 액상수화제의 방제효과가 70% 이상으로 좋았다. 해충 친환경 방제시험에서 총채벌레의 방제에 천적인 유럽애꽃노린재(Orius laevigatus)를 방사하여 80%이상 방제가능 하였다. 왕담배나방은 미생물농약인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aizawai GB413 액상수화제와 Bacillus thuringiensis aizawa 0423 수화제로 70%이상의 방제가로 방제할 수 있었으며, 구기자 뿔나방(Hedma lycia sp.)은 B.T. servar aizawai 수화제가 70% 이상의 방제가로 효과가 우수하였다. 마지막으로 복숭아혹진딧물을 친환경제제로 방제 시험한 결과 Bacillus subtilis(Seoncho)와 Bacillus subtilis(Jinsami)가 80%이상의 방제가로 약효가 우수하였으며 Ginkgo nut extract로도 70%이상 방제할 수 있었다. 이상의 방제시험으로 구기자 유기재배시 우선 문제되는 5종의 병해충에 대해서 방제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다.

농업해충에 대한 친환경유기농자재들의 살충력 및 섭식저해력 평가 (Evaluation of Insecticidal and Antifeeding Activities of Eco-friendly Organic Insecticides Against Agricultural Insect Pests)

  • 김유화;나영은;김민준;최병렬;조형찬;김순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99-109
    • /
    • 2015
  • 충해 또는 병충해 관리용 친환경유기농자재로 목록공시된 제품 29종의 배추좀나방과 파밤나방 유충, 복숭아혹진딧물 성충, 꽃노랑총채벌레 성충에 대한 살충과 섭식저해활성을 분무법과 잎침지법을 이용하여 실내에서 평가하였다. 배추좀나방 유충에 대해 추천농도 분무 또는 잎침지시 유효성분으로 고삼 추출물 60% 단제(EOIS)와 고삼외 3종 식물 추출물(백부근, 멀구슬나무, 개박하, EIOSm) 및 고삼외 2종 식물추출물(EOISc)을 함유한 혼합제의 살충력이 우수했다. 하지만 반량 처리 시 그 활성은 50% 이하로 감소되었다. 파밤나방 유충에 대해서는 고삼 60%단제(EOIS)만이 우수한 살충력을 보였고, 비슷하게 꽃노랑총채벌레 성충에 대해 잎침지 후 24시간과 48시간 노출 시 85%와 95%의 살충력을 나타냈다. 복숭아혹진딧물 성충에 대한 분무시험에서 고삼 외 3종 혼합제(EOISm)와 유채외 2종 혼합제(EOIR)가 93%와 68% 살충력을 보였는데, 농도를 배량 증가시켜도 살충력은 크게 향상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추천농도 잎침지에서는 고삼외 3종 혼합제(EIOSm)만이 100%의 강한 접촉독성을 나타냈는데, 노출 시간과 농도를 증가시키면 시트로넬라오일외 1종(EOICi)과 유채외 2종 혼합제(EOIR)들의 살충력이 증가하였다.흥미롭게도 cedar oil 16%(EOICe), 고삼 60% 단제(EOIS), 고삼외 3종 혼합제(EIOSm), 고삼외 2종 혼합제(EOISc), 미생물 89.62%(EOIM), 유채외 2종 혼합제(EOIR), 식물추출물(EOIPe), 차나무추출물 48%(EOIT)제 등은 파밤나방에 대해 분무처리 시 강한 섭식저해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배추좀나방 유충에 대해서도 이들 혼합제들 이외에 3종 미생물제들(EOIB, EOIM, EOIBs)과 시트로넬라오일외 1종(EOICi), 겨자외 2종(EOIMc) 등의 식물 추출물 혼합제들이 70% 이상의 섭식저해활성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 대상 곤충 종 및 유효성분이나 처리량에 따라 살충력과 섭식저해력이 차이를 보였으나, 전체적으로 고삼추출물외 2-3종 식물추출물을 복합적으로 함유한 혼합제들의 유효력이 우수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총채벌레 천적 으뜸애꽃노린재(Orius strigicollis)와 미끌애꽃노린재(Orius laevigatus)의 생물학적 특성 비교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wo Natural Enemies of Thrips, Orius strigicollis (Poppius) and O. laevigatus (Fieber) (Hemiptera: Anthocoridae))

  • 김정환;김황용;변영웅;김용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21-428
    • /
    • 2008
  • 국내종인 으뜸애꽃노린재와 유럽종인 미끌애꽃노린재의 알, 약충 발육기간과 성충의 산란수, 수명, 포식량 및 포장밀도에서 증가량을 비교하였다. 으뜸애꽃노린재와 미끌애꽃노린재의 $15{\sim}30^{\circ}C$에서 알 부화율은 각각 $46.7{\sim}88.2%$$65.0{\sim}89.9%$였고, 알기간은 각각 $3.1{\sim}14.9$일과 $3.1{\sim}13.5$일이었다. 두 종의 약충 발육기간은 각각 $9.4{\sim}42.8$일과 $9.3{\sim}42.0$일이었고, 약충기간 생존율은 각각 $2.4{\sim}96.5%$$4.3{\sim}80.6%$였다. 두 종의 산란수는 15, 20, 25, 30, $35^{\circ}C$에서 각각 28.1, 107.9, 123.6, 127.3, 18.1개와 101.8, 218.6, 224.5, 219.5, 15.7개였고, 성충수명은 각각 63.4, 40.1, 22.1, 18.3, 11.0일과 70.6, 66.4, 32.6, 34.5, 7.3일로 으뜸애꽃노린재에 비해 미끌애꽃노린재의 산란수가 많고 성충수명은 길었다. 으뜸애꽃노린재와 미끌애꽃노린재의 온도와 일장에 의한 산란수는 $18^{\circ}C$, 16L:8D에서 각각 105.8개와 109.5개였고, 10L:14D에서 각각 1.0개와 63.0개였다. $25^{\circ}C$, 16L:8D에서 각각 142.4개와 191.5개였고, 10L:14D에서 각각 31.8개와 198.8개로 으뜸애꽃노린재는 $18^{\circ}C$, 10L:14D에서에 거의 모든 개체가 휴면하지만 미끌에꽃노린재는 휴면하지 않는다, 으뜸애꽃노린재와 미끌애꽃노린재의 꽃노랑총채벌레 2령 하루 포식량은 각각 14.3마리와 10.9마리이다. 겨울작형 시설재배 파프리카에서 으뜸애꽃노린재는 5월 중순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7월 상순에는 꽃당 1.8마리로 증가하였다. 미끌애꽃노린재는 3월 중순부터 증가하여 6월 상순에는 꽃당 6.6마리로 증가하는 과밀도 현상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