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ail elderly prevention program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43초

농촌 지역의 재가 취약계층 허약노인을 위한 낙상예방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a Fall Prevention Program on Falls in Frail Elders Living at Home in Rural Communities)

  • 유재순;전미양;김철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13-625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 fall prevention program on falls, physical function, psychological function, and home environmental safety in frail elders living at home in rural communities. Methods: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 posttest design.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July to November, 2012 with 30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0 in the control group. Participants were registered at the public health center of E County. The prevention program on falls consisted of laughter therapy, exercise, foot care and education. The program was provided once a week for 8 weeks and each session lasted 80 minutes. Results: The risk score for falls and depress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scores for the control group. Compliance with prevention behavior related to falls, knowledge score on falls, safety scores of home environment, physical balance, muscle strength of lower extremities, and self-efficacy for fall prevention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revention program on falls is effective for the prevention of falls in frail elders living at home.

노인 허약 예방프로그램이 경로당 이용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체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lderly people's Frail prevention program on subjective health status, depression, physical fitness and quality of life for in Senior Center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 장경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47-58
    • /
    • 2017
  • 본 연구는 J시 보건소의 노인 허약 예방프로그램이 지역사회 경로당 이용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체력 및 삶의 질 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 후 시차 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는 경로당을 이용하는 노인으로 총 43명으로 이 중 실험군 22명, 대조군 21명 이었으며, 연구기간은 2015년 9월 1일부터 10월 16일까지 8주간, 주 2회 허약노인 예방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x^2-test$와 t-test 등으로 분석하였다. 허약노인 예방프로그램 적용 후 주관적 건강상태(t=-0.35, p=.024), 우울(t=2.76, p=.035), 체력 중 오른손의 압력(t=-3.10, p=.004)과 허리 유연성(t=-2.13, p=.039) 그리고 삶의 질(t=4.36, p<.001)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사회 경로당을 이용하는 노인들을 위한 허약 예방프로그램이 노인들의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체력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 허약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참여 및 역량강화 (Health Promotion Behavior, Perceived Health Status, Social Participation and Empowerment in Frail Elderly Receiving Home Visiting Services)

  • 박정숙;오윤정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44-256
    • /
    • 2017
  • Purpos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methods of induc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perceived health status, social participation and empowerment in the frail elderly receiving home visiting services. Methods: The subjects were 255 frail elders aged over 65 registered in the home visiting services of five public health centers in Daegu.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9 to August 10, 2015.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s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SPSS Win 18.0. Results: The mean health promotion behavior, perceived health status, social participation and empowerment scores were 2.56 (${\pm}0.33$), 7.11 (${\pm}1.98$), 2.60 (${\pm}0.69$) and 2.90 (${\pm}0.29$), respective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 promotion behavior by client classification and life satisfac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ived health status by life satisfaction, social participation by religion and client classification and empowerment by past jobs. Health promotion behavior, perceived health status, social participation and empowerment were positively correlated. Conclusion: An integrative health care program that includes these significant variables of subjects is essential to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deterioration of frailty in elderly.

지역사회 재가 허약노인의 낙상두려움 관련요인 성별 비교 (Factors Influencing the Fear of Falling According to Gender in Frail Elderly)

  • 최경원;박언아;이인숙
    • 한국노년학
    • /
    • 제31권3호
    • /
    • pp.539-551
    • /
    • 2011
  • 본 연구는 허약노인의 성별에 따른 낙상두려움, 건강상태, 규칙적 운동 횟수 등을 비교하고 낙상두려움에 영향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53개 보건소의 2009년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중에서 허약 노인 사례관리를 위해 수집된 65세 이상 노인들의 기초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총 3903명(남 259명, 여 3644명)으로, 평균 연령은 남성이 75.17세, 여성이 평균 77.54세였으며, 남성의 75.3%, 여성의 85.4%가 낙상 두려움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저소득층 허약노인의 낙상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남성의 경우 정적 균형감, 과거 낙상경험이었으며, 여성 노인의 경우 정적 균형감, 복합적 이동능력, 우울과 과거 낙상경험, 교육 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허약노인의 낙상두려움 여부 및 영향요인을 주기적으로 평가하여 고위험군을 발견하고, 낙상 및 낙상두려움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이들을 대상으로 정서적 접근을 포함한 다요인적 통합 프로그램을 성별에 따른 맞춤형으로 개발,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

Effect of Fall Prevention Exercise Program on Fall Efficacy,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f Elderly in the Community

  • Sungbae Jo;Yang Rae Kim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11권4호
    • /
    • pp.391-399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ll-prevention exercise programs on fall efficacy, depress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Desig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A total of 57 participants over 65-years-old have been allocated to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8 weeks of fall-prevention exercises that included strengthening of lower extremities, balance and gait training. They received the exercises twice a week for 50 minutes as a group.Both groups were assessed using Modified Falls Efficacy Scale (MFES),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and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SF-36) prior and post to the intervention. The control group also received the same exercise program after the post evaluation.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overall improvement in MFES, GDS, and physical components of SF-36 (p<0.05). The MF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p<0.05). The GD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p<0.05). The SF-36, only physical Function, Role limitations due to physical health, general health, and energy and fatigue categories were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p<0.05). Conclusions: The results showed 8 weeks of fall-prevention exercise programs can increase fall efficacy and physical related quality of life while reducing depression of elderly over 65.

허약노인을 위한 방문재활 프로그램의 장애발생예방 효과에 대한 연구 (Effects of Visiting Prehabilitation Program against Functional Decline in the Frail Elderly: A Prospective Randomized Community Trial)

  • 김창오;이희연;호승희;박현숙;박철우
    • 한국노년학
    • /
    • 제30권4호
    • /
    • pp.1293-1309
    • /
    • 2010
  • 본 연구는 허약노인의 장애발생예방을 위하여 개발된 지역사회 방문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하고, 허약노인 대상의 방문재활사업이 공공부문의 보건기관에서 실제 수행될 수 있도록 그 근거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2009년 4월부터 8월까지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에 등록된 저소득 취약계층 노인들 중 110명의 허약노인을 선정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중심의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무작위 방식으로 실험군(n=50)과 대조군(n=60)으로 나뉘어, 이 중 실험군은 3개월 동안 상·하지 근력강화, 보행능력 강화, 균형능력증진 등에 초점 맞추어진 허약노인 방문재활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하였고, 대조군은 가정방문을 통한 낙상예방교육을 받게 하였다. 프로그램의 평가를 위해 1차 결과지표로서 신체기능척도, 간이신체기능 평가를 프로그램 사전·사후에 측정하였고, 그밖에 운동수행능력검사, 영양지표, 정서기능, 입원 및 낙상경험 등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방문재활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에서 신체기능척도와 간이신체기능평가 등 주요 노인기능지표의 유의한 향상이 관찰되었다. 신체기능척도에 대해서 실험군은 1.3 ± 3.8점의 상승이 있었던 반면, 대조군에서는 1.1 ± 5.4점의 감소가 있었다 (p=.020). 간이신체기능평가에 대해서도 실험군은 2.4 ± 2.0점의 상승이 있었던 반면, 대조군에서는 0.3 ± 1.5점의 상승만이 관찰되었다 (p<.001). 그밖에 허약노인을 위한 방문재활 프로그램은 운동수행능력, 정서기능, 반복낙상 횟수 및 낙상 후 기능저하 발생에 대해서도 유의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p .002-.038). 향후 우리나라 노인들의 장애발생을 예방하고 이로 인한 중증 장기요양단계로의 진입을 억제하기 위하여 허약노인 대상의 방문재활 프로그램과 이에 근거한 건강관리사업이 보다 적극적으로 확대·보급되어야 할 것이다.

재가 허약노인의 낙상효능감, 낙상위험지각 및 낙상예방행위와의 관계 (Relations among Fall Efficacy, Perception of Fall Risk and Fall Prevention Behavior in the Frail Elderly at Home)

  • 김영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383-3389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65세 이상의 허약노인을 대상으로 낙상효능감, 낙상위험지각 및 낙상예방행위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함이다. 자료 수집은 재가 허약노인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낙상효능감은 $65.4{\pm}23.62$점이었으며, 낙상위험지각은 $34.3{\pm}11.5$점이었고, 낙상예방행위는 $17.7{\pm}2.75$점이었다. 2)낙상효능감(t=2.905, p<.05), 낙상위험지각(t=2.704, p<.05), 낙상예방행위(t=2.706, p<.05) 모두 낙상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낙상효능감과 낙상위험지각정도와는 역상관관계(r=-.440, p<.001), 낙상효능감과 낙상예방행위(r=.326, p<.001) 및 낙상위험지각과 낙상예방행위(r=.436, p<.001)와는 순상관관계에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볼 때 노인의 낙상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은 노인의 낙상효능감 증진 및 지각을 증진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전.후기 허약 고위험 노인을 대상으로 한 지역사회 중심의 다요인적 허약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a Frailty Preventing Multi-factorial Program Concentrated on Local Communities for High-risk Younger and Older Elderly People)

  • 이인숙;고영;이광옥;임은실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01-211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local community based multi-factorial program for high-risk younger and older elderly people. Methods: The quasi-experimental research design (pretest-post test) was employed. Participants were recruited in Seoul and a total of 98 elders completed an 8-week multi-factorial program for preventing frailty.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and GLM were used in the data analysis with SPSS/WIN 15.0. Results: The high-risk elderly people in the younger and older stages showed differences in IADL, TUG and BMI, and after being provided with the multi-factorial program for preventing frailty, some effects were shown on improving the total score of frailty, a physical function, TUG, BMI, depression, subjective feeling of health, and social interaction. Conclusion: The 8-week multi-factorial program for preventing frailty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physical, emotional and social functions of the high-risk elderly people.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effects after individual intervention as well as group intervention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by setting a control group in the future.

취약계층 노인의 연령별 허약정도와 관련 요인 (Frailty and its related Factors in Vulnerable Elderly Population by Age Groups)

  • 박은옥;유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848-857
    • /
    • 2016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frailty by age groups among vulnerable elders in Korea. Methods: In this secondary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from records for 22,868 elders registered in the Visiting Health Management program of Public Health Centers in 2012. Health behaviors, clinically diagnosed disease, frailty, depression and cognitive condition were assessed. Data were analyzed using stepwise regression to determine the associated factors of frailty by age group. Results: Alcohol consumption, physical activity, number of diseases, DM, CVA, arthritis, urinary incontinence, depression and cognitive condition were found to be factor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railty among the elders aged 65~74 (F=135.66, p <.001). Alcohol consumption, physical activity, CVA, arthritis, urinary incontinence, depression and cognitive condition were found to be factors associated with frailty in the elders aged 75~84 (F=245.40, p <.001). Physical activity, CVA, arthritis, depression and cognitive condition were factors associated with frailty in the elders over 85 years of age (F=96.48, p <.001). Conclusion: The findings show that frailty of elders and associated factors were different by age group, and common factors affecting frailty were physical activity, CVA, arthritis, depression and cognitive condition. Thus, thes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 for care and prevention of frailty and program should be modified according to age group.

지역사회 거주 여성노인의 요실금 유무에 따른 허약정도와 허약 영향요인 (Frailty and its Related Factors in the Vulnerable Elderly Woman by Urinary Incontinence)

  • 박진경
    • 한국노년학
    • /
    • 제37권4호
    • /
    • pp.893-907
    • /
    • 2017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여성 노인의 요실금 유무에 따른 허약정도와 허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2년 S시 8개구의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자 중 65세 이상 여성노인 3,251명의 자료를 이차 분석하였다. 요실금 유무별 여성노인의 체질량 지수, 허리둘레, 복합적 이동능력, 우울, 주관적 건강과 걷기운동, 유연성 운동 및 근력운동에 따른 허약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x^2$-test, t-test,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은 Scheffe 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요실금 유무에 따른 제 변수별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을 실시하였고, 요실금 유무에 따른 허약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위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요실금이 있는 여성노인의 허약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울, 걷기 운동, 복합적 이동능력, 연령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F=38.321, p<.001), 이들 변수에 의해 허약이 36.6% 설명되었다. 요실금이 없는 집단에서 유의한 변인은 연령, 우울, 걷기 운동, 주관적 건강, 복합적 이동능력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F=265.666, p<.001), 이들 변수에 의해 허약 정도가 설명되는 변량은 30.7%였다. 향후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여성 노인, 특히 요실금을 갖고 있는 여성노인의 허약을 예방하기 위하여, 하루 10분 이상, 주 5일 이상의 규칙적인 걷기 운동 프로그램과 우울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프로그램을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