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agrance pattern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9초

생활화학제품의 알레르기반응가능 향료성분 함유 현황 및 동시 출현 패턴 조사 (Characteristics and Co-Occurrence Patterns of Fragrance Allergens in Consumer Chemical Products)

  • 김수민;이기영;임미영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06-215
    • /
    • 2022
  • Background: Fragrance substances in consumer products can cause adverse health effects such as contact allergy. In South Korea, consumer chemical products must list 26 known fragrance allergens on product labels when they contain more than 0.01%. Fragrance substances are mostly used in combination, so co-exposure can occur via use of a consumer chemical product. Co-exposure to fragrance allergens may show a synergistic effect on the human body. Objectives: The aims of the study wer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fragrance allergens in consumer chemical products available on public websites and to identify the co-occurrence patterns of fragrance allergens. Methods: The chemicals in 1,443 ingredient disclosures for consumer chemical products were collected through the Ecolife database. The 26 labelled fragrance allergens were identified by category of consumer chemical product. The co-occurrence patterns of the 26 labelled fragrance allergens were analyzed by frequent pattern mining. The unlabelled fragrance allergens presented by European Union Scientific Committee on Consumer Safety were also identified. Results: Consumer chemical products contained an average of 5.3±4.2 substances among the 26 labelled fragrance allergens. More than 85% of air fresheners, deodorizing agents, and fabric softeners contained at least one of the 26 labelled fragrance allergens. The most frequently contained fragrance allergens were limonene (50.5%), linalool (49.9%), hexyl cinnamal (34.0%), and citronellol (28.3%). 16.7% of consumer chemical products showed a co-occurrence of limonene, linalool, hexyl cinnamal, and citronellol. Thirty-eight unlabelled fragrance allergens were found in the consumer chemical products, with hexamethylindanopyran (25.2%) being the most frequently contained substance. Conclusions: The characteristics and co-occurrence patterns of 26 labelled fragrance allergens would be useful information for the management of co-exposure to fragrance allergens in consumer chemical products. It is necessary for attention to be paid to unlabelled fragrance allergens.

유향성 황색계 호접란 육성 및 전자코를 이용한 향기패턴 분석 (Breeding of Fragrant Yellow Phalaenopsis and Scent Pattern Analysis by GC/SAW Electronic Nose System)

  • 빈철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4호
    • /
    • pp.656-663
    • /
    • 2010
  • 노란색 유향성 호접란을 육성하기 위해 황화계 육종모본들을 이용하여 5종류의 교배조합이 작성되었으나 $Phal.$ Brother lawrence를 종자친으로 $Phal.$ Brother saragold를 화분친으로 한 교잡에서만 정상적인 교배와 꼬투리 형성 및 종자발아가 이루어졌다. 잡종후대로 약 500개체가 실생 조직배양을 통해 육성되어 온실에 심어졌으며 개화기에 화색과 화형 위주로 60여 우수개체가 1차 선발 되었고 다시 생육속도, 병충해저항성 등을 검정한 2차 선발에서 15계통이 육성되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향기가 비교적 강하고 꽃 수명이 길어 시장에서 기호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6계통을 최종 선발하였다. 최종 선발된 이들 유향종들과 이들 교잡종들의 양친을 대상으로 전자코를 이용한 향기패턴분석이 이루어졌다. 전자코로 꽃 향기를 분석한 후 GC chromatogram peak와 이 피크를 이용한 Polar derivative diagram을 작성 비교한 결과 양친에서는 retention time 7s와 9s 사이, retention time 20s와 25s 사이에서 강한 peak가 나타났다. 양친과 비교하여 잡종후대의 선발계통에서는 retention time 7s와 9s 사이 즉 8s 근처에서 하나의 강한 피크가 공통적으로 나타났으며 양친에서 나타났던 retention time 20s와 25s 사이에서 강한 2개의 피크는 교잡후대 중 4개의 계통에서 이 피크가 강하게 발현되었으나 2개의 계통에서는 오히려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VaporPrint^{TM}$ 이미지 분석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향기패턴을 시각적으로 이미지화 한 결과 더욱 명확하게 향기패턴을 비교 분석할 수 있었는데 마찬가지로 교잡양친과 교잡후대계통 모두에서 retention time 8s 근처에서 강한 peak가 공통적으로 나타났으며 이 피크의 성분은 노란색 유향종에서 주로 강하게 발현되는 향기성분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피크는 향후 노란색 유향성 개체의 교잡선발 육종에 유용한 마커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화기 부위에 따른 심비디움의 향기 패턴 및 성분 분석 (Fragrance Pattern and Volatile Components According to Floral Organs in Cymbidium)

  • 김예진;안명숙;이수영;박필만;안혜련;박부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62-371
    • /
    • 2022
  • 본 연구는 화기 부위에 따른 국산 심비디움 '샐빛'과 '미단'의 향기 특성을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 재료로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화훼과 시험포장에서 재배한 만개한 꽃을 꽃잎, 꽃받침, 순판, 컬럼으로 나누어 GC 기반 전자코를 통해 향기 패턴과 주요 향기 성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품종 모두 화기 부위에 따라 PCA와 DFA plot에서 뚜렷한 향기 패턴 차이를 보였고, 각 화기 부위별 무취공기 대조구 간의 기하학적 거리는 꽃받침이 가장 멀었으며, 향기패턴 식별지수(PDI) 또한 대조구와 꽃받침 사이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주요 향기 성분 중 nootkatone 등의 성분은 '샐빛'과 '미단' 두 품종 모두네 개의 화기조직에서 공통적으로 검출된 반면, '미단'에서만 검출되는 decane과 같이 일부 성분은 특정 품종이나 화기 부위에서만 특이적으로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품종과 화기 부위에 따른 향기패턴과 주요 향기 성분을 확인함으로써 향기 산업에 필요한 효율적인 원료 선택과 국산 품종의 이용 확대를 위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최근 인공 가향제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천연 향기 원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점을 감안했을 때, 앞으로도 지속적인 유향성 난 품종 육성과 이를 산업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향기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Improvement of Three Mixture Fragrance Recognition using Fuzzy Similarity based Self-Organized Network Inspired by Immune Algorithm

  • Widyanto, M.R.;Kusumoputro, B.;Nobuhara, H.;Kawamoto, K.;Yoshida, S.;Hirota, K.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3년도 ISIS 2003
    • /
    • pp.419-422
    • /
    • 2003
  • To improve the recognition accuracy of a developed artificial odor discrimination system for three mixture fragrance recognition, Fuzzy Similarity based Self-Organized Network inspired by Immune Algorithm (F-SONIA) is proposed. Minimum, average, and maximum values of fragrance data acquisitions are used to form triangular fuzzy numbers. Then the fuzzy similarity treasure is used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ragrance inputs and connection strengths of hidden units. The fuzzy similarity is defined as the maximum value of the intersection region between triangular fuzzy set of input vectors and the connection strengths of hidden units. In experiments, performances of the proposed method i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elf-Organized Network inspired by Immune Algorithm (SONIA), and the Fuzzy Learning Vector Quantization (FLVQ). Experiments show that F-SONIA improves recognition accuracy of SONIA by 3-9%. Comparing to the previously developed artificial odor discrimination system that used FLVQ as pattern classifier, the recognition accuracy is increased by 14-25%.

  • PDF

Oxidative hemolytic crises in a dog due to fragrance products: clinical insights and treatment approaches

  • Sully Lee;Kyoung-Won Seo;Urs Giger;Min-Ok Ryu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5권5호
    • /
    • pp.64.1-64.7
    • /
    • 2024
  • Importance: This is the first reported case of fragrance products-induced recurrent oxidative hemolytic anemia in a dog, detailing the successful therapeutic approach employed. Case Presentation: A 4-year-old intact female Pomeranian dog presented with brown tongue, pigmenturia, peripheral edema, and vomiting. Blood smears revealed a high count of eccentrocytes and Heinz bodies, along with a precipitous decline in packed cell volume and an increase in blood methemoglobin levels, suggesting an oxidative hemolytic crisis. This clinicopathological pattern recurred several times after the patient returned home. Antioxidants, methylene blue, hyperbaric oxygen (HBO) therapy, and blood transfusion were successfully employed to address recurrent hemolytic anemia; however, oxidative hemolytic crises recurred. After the owner removed exposure to various home remedies and fragrances, the clinical signs and hemolytic crises did not recur. Conclusions and Relevance: Recurring oxidative hemolytic crises should raise suspicions of environmental toxicity, which, although harmless in small quantities to humans, can be devastating to small-breed dogs. In addition to removing the causative agents, methylene blue and other antioxidants, along with HBO, may be beneficial in the acute management of oxidative hemolytic anemia.

염화나트륨 농도가 느타리 자실체의 아미노산과 향기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dium chloride on the growth, amino acid content, and fragrance patterns of Pleurotus ostreatus)

  • 이상철;편하영;박윤진;오태석;장명준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10-315
    • /
    • 2021
  • 본 연구는 염화나트륨에 의한 비생물적 스트레스가 생육과정 중의 느타리에게 미치는 영향을 자실체의 생육특성, 그리고 구성아미노산함량과 향기패턴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농도별로 염화나트륨을 처리한 톱밥배지에서 수확한 느타리 자실체의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 처리구별 수량은 무처리구 대비 염화나트륨 0.5%처리구에서의 값은 비슷했으며, 염화나트륨 처리 농도가 1.0%에서 2.0%으로 증가하면서 수량이 확연히 감소하였다. 자실체의 구성아미노산함량 분석결과, 무처리구 대비 모든 염화나트륨 처리구에서 glutamic acid과 proline을 제외한 aspartate, threonine, serine, glycine, alanine, methionine, valine, isoleucine, leucine, phenylalanine, tyrosine, lysine, histidine, arginine의 14종 구성아미노산의 함량이 낮음을 확인하였다. 자실체의 향기패턴 분석결과, 염화나트륨 처리구에서 버섯고유의 향을 나타내는 octane compound로 추정되는 물질의 intensity가 감소하였음을 chromatography상에서 확인하였다.

자생 방향성 식물 꽃향유의 정유성분 분석 (Analysis of Essential Oil Components using Elsholtzia splendense Nakai, a Fragrant Plant Distributed in Korea)

  • 정재한;박노복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3권1호
    • /
    • pp.5-12
    • /
    • 2021
  • 꽃향유에 함유된 정유를 추출하기 위해 개화한 개체를 채집한 후 생체를 실험에 이용하였다. 재료는 꽃 0.7kg, 잎 + 줄기 1.5kg으로 나누어 부위별로 추출 후 향기패턴 분석에 사용하였고, 정유성분 분석을 위해 전초 5kg을 넣은 후 추출하였다. 정유추출은 Schultz등(1977)이 개량한 SDE 법으로 정유를 추출하였으며, 추출시간은 시료가 끓기 시작한 후부터 1시간으로 하였다. 이렇게 추출한 정유성분을 전자코를 이용하여 향기패턴 분석과 GC-MS로 정유성분의 물질을 분석하였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향기패턴 분석은 꽃에서 추출한 정유성분의 경우 10~20분에 나오는 향의 질이 가장 좋았고 줄기와 잎에서 추출한 향은 다소 향의 질은 좋지 못했지만 10~40분에 나오는 향이 좋았다. 향의 세기는 꽃만으로 추출한 것은 10~20분에서 가장 강한 향이 나왔고, 30~40분에서도 향의 세기는 높게 나타났다. 줄기와 잎에서 추출한 향은 대체로 향의 세기가 강하지 못하였지만 10~20분에서 높게 나타났다. 2. 꽃향유에 함유된 정유의 종류는 40종을 얻었다. 이중 Mequinol, Benzene, 1,2,3,4-tetramethyl, Elsholtziaketone, Dehydroelsholtziaketone을 확인하였다.

GC-MS와 전자코를 이용한 팔레놉시스 향기 분석 (Fragrance Analysis Using GC-MS and Electronic Nose in Phalaenopsis)

  • 박부희;예병우;김미선;이영란;박필만;이동수
    • 화훼연구
    • /
    • 제19권4호
    • /
    • pp.219-224
    • /
    • 2011
  • 팔레놉시스는 다양한 종을 가지고 있고, 강한 향기를 보유하고 있는 종들이 존재한다. 팔레놉시스 원종 중 P. bellina, P. violacea, P. schilleriana 등 소수 계통들은 향을 보유하고 있어 방향성 육종을 위한 재료로 이용된다. 본 연구는 팔레놉시스 방향성 육종을 위한 효율적인 향기 분석 시스템을 확립하고자 팔레놉시스 유전자원 8종류에 대하여 GC-MS와 전자코를 이용하여 향기 분석을 수행하였다. 팔레놉시스 '3010'에 대해서는 화기 조직별 즉 꽃받침, 꽃잎, 주두, 설판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주된 성분비가 꽃잎과 설판 조직에서 높게 나타났다. P. bellina 계통의 주된 성분은 linalool(21.21%)이었다. 전자코를 이용하여 각 계통간 향기성분의 패턴 분석이 가능하였다. 통계 프로그램에서는 PCA 보다는 DFA 분석이 더 유용하였다. 방향성 육종 시 보유하는 육종 재료들의 주된 향기 구성성분을 알고자 GC-MS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난의 방향성 육종을 위한 향기 분석시스템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감마선 조사량에 따른 Aurcularia auricula-judae의 생육특성 비교 (Comparison of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Aurcularia auricula-judae according to gamma ray irradiation dose)

  • 김정헌;이진우;박태민;권순재;진창현;박윤진;장명준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47-253
    • /
    • 2023
  • 본 연구는 감마선을 조사한 목이의 변이 양상을 균사 생장 조사, 자실체 수량 및 생육특성 조사, 자실체의 맛, 향 그리고 구성물질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감마선 세기에 따른 균사 생장을 조사한 결과 200 Gy처리구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자실체의 수량 또한 200 Gy에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800 Gy와 control이 대등하게 나타났다. 이를 기반으로 200 Gy와 800 Gy를 우수한 특성을 가진 처리구로 선발하였고, 이들을 대상으로 물질분석을 진행하였다. 자실체의 맛 패턴을 비교했을 때, control과 200 Gy, 그리고 800 Gy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향기 패턴을 비교한 결과 200 Gy가 control 및 처리구와 다른 양상을 보였다. 선발된 처리구들과 control간의 총 식이섬유 함량을 비교했을 때 큰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칼슘과 아연의 함량을 확인했을 때 칼슘 함량은 800Gy, 아연은 200Gy처리에서 높아, 감마선 처리에 따라 함량이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감마선 조사는 목이 수확량을 늘리고 칼슘과 아연의 함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스센서 어레이와 패턴인식을 활용한 아로마 오일의 특성 분류 (Characteristic Classification of Aroma Oil with Gas Sensors Array and Pattern Recognition)

  • 최일환;홍성주;김선태
    • 센서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8-125
    • /
    • 2018
  • An evaluation system for an electronic-nose concept using three types of metal oxide gas sensors that react similarly to the human olfactory cells was constructed for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of aroma fragrances. Four types of aroma fragrances (lavender, orange, jasmine, and Roman chamomile), which are commonly used in aromatherapy, were evaluated. All the gas sensors reacted remarkably to the aroma fragrances and the good correlation of r=0.58-0.88 with the aromatic odor intensities by olfaction was confirmed.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an electronic-nose concept for class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aroma oil fragrances, aroma oils could be classified using the fragrance characteristics and oil extraction methods with the cumulative variability contribution rate of 95.65% (F1: 69.65%, F2: 26.03%)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n the pattern recognition based on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the four aroma fragrances were 100% recognized through the training data of 56 cases (70%) out of 80 cases, and the pattern recognition rate was 57.1%-71.4% through the validation and testing data of 24 cases (30%). The pattern recognition success rate through all confusion matrices was 82.1%, indicating that the classification of aroma oil fragrances using the three types of gas sensors was successf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