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th Industrial Revolution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8초

다중흐름모형(MSF)을 적용한 스마트팜 확산 정책형성과정 분석 (An Analysis on the Process of Policy Formation of Smart Farms Dissemination applying Multiple Streams Framework)

  • 정윤용;홍승지
    • 농촌계획
    • /
    • 제25권1호
    • /
    • pp.21-38
    • /
    • 2019
  • Korean agricultural industry has weakened as demand for domestic agricultural products has declined due to accelerating market liberalization, aging and shrinking of rural population, and stagnating rural households' incomes. On the other hand, as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unfolds in earnest, tremendous changes are expected, and those changes won't be confined to certain industries but would shaken the world we know of entirely. Smart farm, which is one exampl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increasingly being recognized as a new growth engine for the future as smart farm and the science and technology behind it, not the size of arable land, will determine competitiveness of the agricultural industry and drive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managerial efficiency. In consideration that John W. Kingdon's Multiple Streams Framework has recently been presented as an important theoretical model in the policy field, this study analyzed problem stream, policy stream, and political stream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smart farm policy, and looked into what role the government played as policy entrepreneur in policy window. The smart farm policy was put on policy agenda by the government and was approved when the government announced the Smart Farm Plan together with relevant ministries at the 5th Economy-Related Ministers' Meeting held in April 2018. This suggests that change of the government is the most critical factor in political stream, and explicitly indicates the importance of politics in formation of an agricultural policy. In addition, actual outcome of the policy and how policy alternatives that will enhance people's understanding will support it seem to be the key to success. It also shows that it is important that policy alternatives be determined based on sufficient discussion amongst stakeholders.

4차 산업혁명 대비 보건의료 산업분야종사자를 위한 융합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for workers in Health and Medical Industry in preparation for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 김선정;김연선;김지훈;이정화;장경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43-5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사회변화에 따른 대학의 신수요 창출을 위한 성인학습자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를 통해 관련 교육 분야와 이직분야, 교육요구 관련 문항을 도출, 보건의료산업분야 종사자를 대상으로 2017년 7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설문하였으며, 그 결과 바이오 의료기기, 고령친화산업, 환경 안전, 임상심리사, 외식산업(커피분야)등이 향후 필요한 교육 분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분야별 관련 전문가의 심층인터뷰를 2017년 8월 19일부터 9월 22일까지 실시하였으며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분야별 변화 그리고 필요한 교육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윤리적 이슈와 대학의 생명윤리교육 방향 제고 (Ethical Issues in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Enhancement of Bioethics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 김수경;이경화;김상희
    • 한국의료윤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30-343
    • /
    • 2018
  • 4차 산업혁명시대가 도래했다는 관심이 증가되면서 이에 따른 윤리적 이슈에 대한 탐구 및 대학 교육의 방향에 대한 제고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대표적 기술분야인 인공지능, 빅데이터, 유전체 기술, 가상현실의 윤리적 이슈 및 국내외 정책과 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앞으로 대학의 생명윤리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국내외 정책과 교육현황을 요약하면, 국외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의 잠재적 이득과 사회적 위험에 대한 법적, 윤리적 고려를 바탕으로 관련 가이드 라인 및 규제 권고안이 발표되었고, 과학 기술의 발전에 따른 학생들의 윤리적 가치 확립의 중요성이 정책적으로 강조됨에 따라 4차 산업혁명시대의 기술개발과 관련된 생명윤리교육과정이 개설된 바 있으며, 대학 내 윤리실험실 개설, 공개 토론회를 넘어 온라인 공개 강좌를 통해 생명윤리 교육의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국내의 경우에도 최근 공청회 등을 통해 4차 산업시대의 정책방향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학교육 또한 시대적 흐름에 맞는 생명윤리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 대학의 생명윤리교육은 전통적인 생명윤리 주제에 새로운 과학기술로 야기된 윤리적 이슈를 일부 추가하여 운영되는 교육과정이 대부분이며, 단일 전공 교수자의 강의 운영, 선택 과목, 비정기적인 강의 개설, 그리고 온라인 공개 강좌의 부재 등의 제한점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추후 국내 대학의 생명윤리교육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국내 대학의 생명윤리교육은 다직군 간 교육으로 개발되고, 점진적으로 필수 교육과정으로 지정하여 교육의 기회를 확보하며, 온라인 공개 강좌로 확대 개설할 필요가 있다. 또한, 대학 내 생명윤리 이슈에 관한 공개 토론의 장을 마련하고 과학기술의 발전과 그 변화를 함께할 수 있도록 주기적인 논의를 통해 생명윤리교육의 내용을 지속적으로 개선해야 할 것이다.

미세먼지와 항만, 4차산업시대의 대응전략 (PM and Port, Counter Strategy in the Era of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 이중우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4-166
    • /
    • 2018
  • 최근 전 세계적으로 수송수단과 산업시설에서의 배출로 인한 대기오염의 심각성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항만과 공항에서도 대기오염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고 지역별 대기오염물질 배출 및 대기오염도 현황을 분석하여 각 시설에서의 종합관리방안을 도출하고 있다. 2020년부터 시행되는 국제해사기구(IMO)의 선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즉, 황성분을 포함한 연소배기가스 중 CO2, SOX,NOX, PM2.5의 배출규제에의 대응과 배출규제해역(ECA)제도 도입에 따른 업계와 정부, 학회의 대비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부산항에서도 항내계류선박과 하역장비에서의 오염물질 배출을 억제하기 위한 대체전력공급(AMP, Cold Ironing)에 대해 대응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주민의 건강을 위협하는 미세먼지(PM2.5)의 심각성과 배출가스의 저감을 위한 방안을 소개하고 오히려 이를 해운항만에서의 4차산업 발전의 계기로 대응하도록 하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산업화 과정에서 필연적인 대기오염을 저감시키는 방안이 새로운 해양산업으로 전환하기를 기대한다.

  • PDF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무인 이동체를 둘러싼 법적 문제점 연구 - 자율주행자동차와 드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Legal Problems over Unmanned Vehicl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Focusing on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and Drone -)

  • 계경문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8권7호
    • /
    • pp.519-527
    • /
    • 2017
  • 자율주행자동차의 안전성에 관한 신뢰의 문제는 관련 산업의 수요 창출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신뢰 확보를 위해서는 우선 자율주행자동차의 사고발생시 법적 책임문제의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사고 발생 시의 문제로 가장 시급한 민 형사상의 책임귀속 문제에 있어서 민사상으로는 "제조물책임법" 하에서 자동차 제작자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을 것이나, 형사상으로는 행위자 책임을 근본으로 하는 현행 법체계에서는 사람에게 책임을 묻기가 어려운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자율주행자동차 특별법"의 제정을 제안하는 바이며, 또한 (완전) 자율주행자동차가 운행하는데 필요한 각종 시스템 또는 인프라의 구축과 그 운용에 따른 국가 또는 공적인 "인증" 등 제도의 구축도 필요하다. 드론의 경우, 그 비행의 특성상 영상 촬영장치를 장착하고 비행할 때, 개인의 정보 및 위치 정보까지 수집되는 법적인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기반 한국 벤처기업의 SWOT요인에 대한 중요도 분석 (Analysis of the Weight of SWOT Factors of Korean Venture Companies Based on the Industry 4.0)

  • 이동익;이상석
    • 벤처창업연구
    • /
    • 제16권4호
    • /
    • pp.115-133
    • /
    • 2021
  • 본 연구는 그 동안 혼재되어 왔던 4차 산업 혁명의 개념과 관련 기술 들을 살펴보고 이로 인한 사회 경제적 변화와 영향 및 주요 국가의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사례를 검토 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한국벤처기업이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기 위한 SWOT 요인 도출 및 요인별 중요도 산출을 통해 정부 및 정책 입안자들에게 관련 정책 수립을 위한 방향 제시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나아가 한국벤처기업 들에게는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추진 방향을 제시하고 이후에 진행할 학문적 심층 연구를 위해서도 기초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 4차 산업 관련 분야에서 한국 벤처기업의 내부 역량과 외부 환경 변화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기존 문헌 탐구와 자료 조사를 통해 총 21개의 SWOT 요인을 도출하여 이를 업계, 학계, 정책전문가 그룹으로 구분하여 델파이 조사를 통해 확정하였다. 또한 이를 체계적 의사결정 기법인 AHP 기법으로 항목별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강점(48%)→기회(25%)→위협(16%)→약점(11%) 순으로 중요하게 여기고 있음을 보여 주었으며 세부 항목별 중요도 분석 결과에서는 총 21개 세부항목 중 상위 3개 항목으로는 '신속하고 유연한 사업화 능력, '플랫폼·빅데이터·비대면 서비스 활성화, 'ICT 인프라 구축 및 활용' 순으로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하위 3개 항목으로는 '안정적인 거시 경제 및 SOC 기반', '세계적 보호무역 기조에 따른 해외시장 진출 어려움, '외국인 투자규모 절대 열세' 항목은 우선순위가 낮게 나타났다. 전문가 그룹별 견해 차이를 보기 위한 중요도 순위 검증 결과, 업계와 학계전문가는 상관관계가 높고 업계와 정책전문가는 중간 정도의 상관관계를 보여 큰 견해 차이가 없었으나 학계전문가와 정책전문가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p<0.01) 중요도에 대한 견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이는 정책전문가는 강점 항목인 '신속하고 유연한 사업화'와 기회 항목인 '우수한 교육시스템 및 고급인력 보유', '신시장 창출'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 반면, 학계전문가는 강점 항목인 '정부 정책의 지원 부분'을 훨씬 중요하게 생각하는 차이에서 기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한국벤처기업이 4차 산업혁명 분야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강점과 기회요인의 해당 항목 들을 우선적으로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함을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또한 학계와 정책전문가 사이에 다른 견해를 보이고 있는 강점 요인과 기회 요인의 세부 항목 차이는 적극적으로 검토하여 정책에 반영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사회복지실천의 미래 - 사람과 사람 - (Future of Social Work Practice - Human, human again. -)

  • 김미옥;최혜지;정익중;민소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9권4호
    • /
    • pp.41-65
    • /
    • 2017
  • 이 연구는 4차 산업혁명으로 은유되는 인류사적 전환의 의미를 사회복지실천의 내부로 초대해 성찰하고 사회복지실천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4차 산업혁명을 구심으로 하는 근미래 사회의 변화상을 예측하고 이에 적합한 사회복지실천의 발전전략은 무엇인가를 주제로 4인의 사회복지 연구자가 7회에 거쳐 토론한 내용을 분석하는 공동자문화기술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근미래의 특징은 초연결성, 새로운 공동체의 출현과 확대, 다원화와 개인화, 삶의 질에 대한 새로운 기준의 등장 등으로 집약되었다. 인터넷을 통해 사람과 사물이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 유기적으로 연계되고, 노동에서 해방된 인간은 다양한 공동체를 추구하는 동시에 원자화된 개인 또한 증가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범주와 규범의 해체로 다원화와 개인화가 확대되고, 탈물질주의의 동향으로 생태주의적 세계관 등 새로운 삶의 질서가 부상할 것으로 예견되었다. 한편 현재의 사회복지실천은 거시적 맥락으로부터 분리, 기술 중심 전문가주의로의 편향, 통합성을 상실한 개인 중심 실천 등이 한계로 지적되었다. 현재의 한계를 극복하고 미래의 사회적 변화에 조응적인 사회복지실천을 구현하기 위해 첫째, 사회복지실천의 본질인 사람과 사회에 푯대를 둔 실천 지식, 기술, 가치의 재배열, 둘째, 공유경제 등 개인 삶의 경계를 공동체로 확대한 확장적 실천, 셋째, 사회복지 전문직의 고유성 탐색을 통한 매력의 회복을 풀어야 할 과제로 제안했다.

Do-It-Yourself (DIY) manufacture of a Nano-LC MALDI spotter robot using 3D printing technology

  • Lee, Jae-ung;Oh, Han Bin
    • 분석과학
    • /
    • 제30권4호
    • /
    • pp.167-173
    • /
    • 2017
  • In the era of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open source code and open source hardware have gained much attention. In particular, 3D printing technology is expanding into the realms of classical science, technology and our daily lives. Relatedly, in the present study, we demonstrate the manufacture of a nano-LC MALDI spotter robot using 3D printing technology. The parts of the spotter robot were either made using a 3D printer or purchased as 3D printer parts from the 3D printer online market, so that anyone can make the robot without a deep knowledge of engineering or electronics, i.e., DIY (do-it-yourself) product. In the nano-LC MALDI spotter, the nano-LC eluent and MALDI matrix were mixed in a T-union and discharged from the capillary outlet. The eluent and matrix mixture could be spotted onto the movable MALDI plate. The MALDI plate was designed to translate in a two-dimensional space (xy plane), which was enabled by the movements of two stepper motors. In the paper, all computer-aided design (CAD) files for the parts and operation software are provided to help the reader manufacture their own spotter robot.

정보기술역량과 창업태도 및 창업의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Competence on Entrepreneurial Attitud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 최대수;성창수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7-39
    • /
    • 2017
  • Lately, there is a worldwide boom for start-ups. This trends has led to develop many policies for entrepreneurship in Korea, which focused on college education. Also, as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knows no borders, demands of software early education are expanding in line with strong interests in IT (Information Technology). Information technology is now an essential competency for all professionals who need creative thinking. And entrepreneurs are a representative job that requires creative thinking. This study suggests IT competencies-IT planning competencies (ITPC) and IT development competencies (ITDC)-as a core factor of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s paper i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IT competencie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So we investigated IT compete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university students with a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planning competencies have positive influence on entrepreneurial attitude and intention. But IT development competencies do not influence directly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Second, entrepreneurial attitude have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T planning competencie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So, we need to develop good contents related to the IT planning capabilities when organizing training programs in start-up cours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contents that can have a broad perspective for understanding the trends of technology convergence and creating opportunities.

A Study on the Analysis and Comparison of DC Suite and CLO3D

  • Jang, Heekyung;Chen, Jianhui
    • 패션비즈니스
    • /
    • 제21권6호
    • /
    • pp.87-105
    • /
    • 2017
  • In the fashion industry, 2D apparel CAD technology has already matured and various 3D apparel CADs have been introduced and are available for user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3D apparel technology will be highlighted, and the research of 3D apparel CAD will be much more emphasized upon. Currently, various 3D apparel CAD have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However, in reality, the analysis and discussions about its problems and the improvements for clothing from a user's perspective have not been carried out ye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reference information about 3D apparel CAD for users by studying and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3D apparel CAD. The 3D apparel CAD, DC Suite and CLO3D were selected for technical comparative study. The 3D apparel CAD mainly includes 3D body system, garment pattern system and garment simulation system and so on. It was compared and analyzed; the problem was presented, and the directions of improvement were put for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