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insect pests

검색결과 210건 처리시간 0.03초

Expression and Synergistic Effect of Bacillus thuringiensis CrylAc in Lepidopteran Toxic Strain to Plutella xylostella

  • Kang, Joong-Nam;Roh, Jong-Yul;Shin, Sang-Chul;Ko, Sang-Hyun;Chung, Yeong-Jin;Kim, Yang-Su;Wang, Yong;Choi, Hee-Kyu;Li, Ming-Shun;Choi, Jae-Young;Je, Yeon-H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4권1호
    • /
    • pp.33-36
    • /
    • 2007
  • To improve insecticidal activity of B. thuringiensis 2385-1 (Bt 2385-1), a recombinant plasmid, pHT1K-1Ac, was introduced into lepidopteran toxic Bt 2385-1 by electroporation. The presence of the recombinant plasmid in Bt 2385-1 after electroporation was confirmed by PCR. Bt 2385-1 transformant was named as Bt pHT1K-1Ac/2385-1 (1K-1Ac/2385-1). The 1K-1Ac/2385-1 transformant produced bipyramidal-shaped parasporal inclusion as like the wild-type strain, Bt 2385-1, and showed an 130 kDa band of Cry1Ac protein. The insecticidal activity of 1K-lAc/2385-1 against S. exigua was similar to that of Bt 2385-1 but the $LC_{50}$ value of transformant against P. xylostella was 1.8 times lower. Through these bioassay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oxicity of Bt 2385-1 transformant showed synergistic effect by introducing Cry1Ac.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multiple expressions of Cry proteins in a promising Bt strain may interact synergistically in insect midgut, resulting in increase of toxicity and expansion of host spectrum.

Comparative Trapping Efficiency of Five Different Blends of the Two Sex Pheromone Components in Dichocrocis punctiferalis (Lepidoptera: Pyralidae) at Chestnut Orchards in Korea

  • Choi, Kwang Sik;Choi, Won Il;Lee, Chong Kyu;Kim, Young Jae;Jeon, Mun Jang;Shin, Sang Chul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5호
    • /
    • pp.555-558
    • /
    • 2008
  • Trapping efficiency of various sex pheromone blends of the peach pyralid moth, Dichocrocis punctiferalis was compared by field study to develop monitoring system with its sex pheromone at chestnut orchards in Korea. Five candidates of the sex pheromone blends used for the field trapping of D. punctiferalis males were 70:30, 75:25, 80:20, 85:15 and 90:10 mixture of (E)-10-hexadecenyl aldehyde (E10-16:Al) and (Z)-10-hexadecenyl aldehyde (Z10-16:Al). All lures were treated with 1 or 2 mg of each blends. During 2 years of field survey, the 75:25 blend was usually the most effective in attracting males among 5 blends tested. For the 2nd generation, the best capturing activity for D. punctiferalis male was observed by lure with 75:25 blend. Both 90:10 and 75:25 blends showed highest efficiency for the 3rd generation. In most cases. lures treated with 1 mg of blend caught more male moths than these treated with 2 mg of blend.

Migrations and Multiplications of Bursaphelenchus xylophilus and B. mucronatus in Pinus thumbergii in Relation to Their Pathogenicity

  • Son, Joung A;Moon, Yil-Su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9권1호
    • /
    • pp.116-122
    • /
    • 2013
  • To evaluate the mechanisms of pathogenicity and nonpathogenicity of Bursaphelenchus xylophilus and B. mucronatus isolated in South Korea, we used 4-year-old P. thunbergii seedlings and 20-cm long one-year-old stem cuttings of 5-year-old Pinus thunbergii, and studied distributions and multiplications of pine wood nematodes after inoculation. The distributions of B. xylophilus in the 20-cm pine stem cutting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B. mucronatus. Conversely, the proliferation rate of B. xylophilus on mycelial mats of Botrytis cinerea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B. mucronatus. The study using 4-year-old P. thunbergii seedlings also showed that B. mucronatus can migrate to distal portions of the pine seedlings the same as B. xylophilus, but the populations of B. xylophilus remaining in the pine seedlings were relatively larger than those of B. mucronatus. Therefore, we concluded that the pathogenicity of B. xylophilus could be strongly influenced by its ability to multiply.

A New Record of Candida kashinagacola (Synonym Ambrosiozyma kashinagacola) from Galleries of Platypus koryoensis, the Oak Wilt Disease Vector, in Korea

  • Suh, Dong Yeon;Kim, Seong Hwan;Son, Seung Yeol;Seo, Sang Tae;Kim, Kyung Hee
    • Mycobiology
    • /
    • 제41권4호
    • /
    • pp.245-247
    • /
    • 2013
  • The ambrosia beetle, Platypus koryoensis, is an economically important pest affecting oak trees in Korea. Candida kashinagacola was isolated from galleries of the beetle in oak wood and identified by analyses of morphology, physiological properties, and nucleotide sequence of the large subunit ribosomal DNA. This is the first report on Candida species associated with oak wilt disease vectored by the ambrosia beetle, Platypus koryoensis, in Korea.

Kordyana commelinae Associated with White Smut-like Disease on Commelina communis and C. minor in Korea

  • Park, Ji-Hyun;Jung, Bok-Nam;Choi, In-Young;Shin, Hyeon-Dong
    • Mycobiology
    • /
    • 제49권3호
    • /
    • pp.275-279
    • /
    • 2021
  • A fungus of the genus Kordyana, found on leaves of Commelina communis and C. minor exhibiting white smut-like symptoms, was identified as Kordyana commelinae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wo rDNA sequence analyses. We report the novel occurrence of the genus Kordyana in Korea and the association of K. commelinae with the host plant species. As well, we provide the necessary mycological information to resolve species delimitation and taxonomic problems of Kordyana.

Macruropyxis fraxini on Fraxinus rhynchophylla: Confirm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after 82 Years and the First Record in South Korea

  • Jung, Bok-Nam;Choi, Young-Joon;Shin, Hyeon-Dong;Park, Ji-Hyun
    • Mycobiology
    • /
    • 제48권6호
    • /
    • pp.518-521
    • /
    • 2020
  • Macruropyxis fraxini has been recorded on several species of Fraxinus in China, Japan, Russia (Far East), and North Korea since its first recorded observation as a rust fungus on F. rhynchophylla in Jilin, China, in 1899. In the Korean Peninsula, the rust fungus was first recorded on F. rhynchophylla in 1935, based on four specimens collected at Mt. Kumgangsan, Gangwondo Province, in the North Korean territory. We confirmed this rust in the Korean Peninsula after 82 years. The rust fungus was identified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This is the first record of M. fraxini in South Korea.

잣나무솔잎벌, Diprion hani (Hymenoptera: Diprionidae), 대발생지 특성과 기생천적인 가시꼬리좀벌에 대한 보고 (Characteristics of the Outbreak Area of Diprion hani (Hymenoptera: Diprionidae) and a Report of its Torymid Parasitoid)

  • 이정수;김일권;최원일;장석준;최광식;신상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59-162
    • /
    • 2010
  • 잣나무솔잎벌(Diprion hani Smith and Cho)은 2007년 최초 발생이 보고되었으며 신종으로 기재되었다. 2007년 9월초 대발생 후 밀도가 극히 낮아져 2008년 야외조사에서 잣나무솔잎벌 개체는 거의 채집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잣나무솔잎벌 대발생 지역 특성 구명을 위해 피해지 위치정보, 우점 수종, 온도, 강우 등 환경 인자들이 조사되었다. 발생지역은 경기도 양평, 강원도 횡성, 충북 제천 3지역 모두 중부내륙지역 반경 25 km에 모여있었다. 피해수종은 잣나무(Pinus koraiensis Sieb. & Zucc.)였으며, 발생지역 모두 인공 조림지였다. 2007년도 3지역의 잣나무조림지의 온도는 지난 30년간 월 평균 평균온도보다 $1.3^{\circ}C$ 높았고 연간강우량은 384 mm 높았다. 또한 솔잎벌과 종들의 고치에 다기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가시꼬리좀벌(Monodontomerus dentipes (Dalman))이 잣나무솔잎벌에 기생함이 밝혀졌다.

국내산 식물체 추출물의 여섯 가지 주요 식물병원권에 대한 살균활성 (Fungicidal Activity of Domestic Plant Extracts against Six Major Phytopathogenic Fungi)

  • 박일권;이상길;박지두;신상철;안용준
    • 농약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3-91
    • /
    • 2003
  • 118 종 국내산 식물체의 에탄올 추출물을 대상으로 기주식물상의 온실실험조건에서 6 종의 주요 식물병원균에 대해 방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살균효과는 식물의 종류 및 채집부위에 따라 커다란 차이를 보였다. 118 종 207 샘플을 2,000ppm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두 종 이상의 병원균에 90% 이상의 방제효과를 나타 낸 식물체는 측백나무 잎, 육계나무 잎, 비목나무 수피 및 잎, 잣나무 목부, 헛개나무 목부, 모감주나무 수피, 때죽나무 목부, 동백나무 잎, 그리고 빗죽이나무 잎이었다. 특히 헛개나무 목부 추출물은 여러 식물병원 균에 대하여 강함 살균효과를 나타내어 방제에 크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약용식물 전시포에 발생하는 곤충의 종류와 발생시기 (Kinds and Occurring Time of Insect Pests in Medicinal Plant Garden)

  • 이동운;한건영;박정찬;유황빈;김동수;이상명;김철수;박정규;추호렬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371-390
    • /
    • 2007
  • 2005년 10월부터 2006년 11월까지 경남 산청군의 농업기술센터 약초전시포에서 32목 50과 121속 132종의 약용식물을 가해하는 절지동물들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9목 44과 86속 98종의 해충류가 채집되었는데, 대부분의 약용식물에서 5종 이하의 해충이 채집되었다. 그러나 부용 (Hibiscus mutabilis), 갯기름나물 (Peucedanum japonicum), 독활 (Aralia cordata), 물푸레나무 (Fraxinus rhynchophylla), 바디나물 (Angelica decursiva), 뻐꾹채 (Rhaponticum uniflorum), 인동덩굴 (Lonicera japonica),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짚신나물(Agrimonia pilosa)등에서는 5종 이상의 해충이 채집되었다. 채집된 절지동물 중 98.5%가 약용식물의 잎을 가해하고 있었다. 시기별로는 5월이 6목 20과 32속 36종으로 가장 많았다. 해충들은 대부분 5종 이하의 약용식물에서 채집되었지만 섬서구메뚜기 (Atractomorpha lata) 와 알락수염노린재(Dolycoris baccarum), 복숭아혹진딧물 (Myzus persicae), 애긴노린재(Nysius plebejus)는 각각 42종, 22종, 20종, 15종의 약용식물에서 채집되었다. 그리고 섬서구메뚜기와 복숭아혹진딧물의 기주범위가 넓었으며 발생량도 많아 가장 문제되는 해충들이었다. 5월에는 목화진딧물 (Aphis gossypii)이 우점 해충이었으며 6월에는 알락수염노린재, 8월과 9월은 섬서구메뚜기, 10월에는 복숭아혹진딧물이 우점 해충이었다.

북방수염하늘소(딱정벌레목: 하늘소과)의 성적 성숙에 따른 포획 효율의 변화 (Changes in Catch Rate of Monochamus saltuarius (Coleoptera: Cerambycidae) Relation to Sexual Maturation)

  • 정종국;권혁준;김황;김준헌;남영우;김동수;정찬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295-301
    • /
    • 2020
  • 본 연구는 북방수염하늘소 성충이 집합-성 페로몬 트랩에 유인되는 시기를 명확하게 규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또한 집합-성 페로몬에 유인된 개체의 난황 성숙도를 조사하여 집합-성 페로몬 트랩에 유인되지 않은 개체와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홍릉시험림 내 망실 안에 유인제인 집합-성 페로몬을 매단 다중깔때기트랩과 집합-성 페로몬을 매달지 않은 다중깔때기 트랩을 각각 1개씩 배치하고, 우화망실에서 채집한 북방수염하늘소 성충을 우화시기별(우화 직후, 후식 1일차, 후식 7일차, 후식 10일 경과 후 교미)로 그룹화한 후 트랩이 배치된 망실 안에 방사하여 트랩에 포획 여부를 조사하였다. 각각의 시기별로 80개체(20개체씩 4반복)를 대상으로 실험하여 총 320개체를 망실 내에 방사하였다. 조사 결과, 우화 후 7일 동안 섭식한 개체들의 유인 포획률이 가장 높았으며, 교미 후에는 유인 포획률이 급격히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또한 집합-성 페로몬이 있는 경우에만 후식 7일차 그룹의 유인 포획률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에 따른 유인 포획률의 경우, 암컷이 수컷에 비해 많이 포획되긴 하였으나, 암컷과 수컷 간의 유인 포획률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화 직후와 후식 1일차에는 모든 개체에서 난황이 미성숙한 상태였으나, 후식 7일차와 교미 후에는 모든 개체에서 성숙한 난황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페로몬트랩은 우화 후 초기에 후식을 통한 소나무재선충 전파가 가능하므로 소나무재선충병의 확산 억제를 막기에는 제한적일 가능성이 있다. 반면, 성적으로 성숙한 성충을 포획하고, 야외 발생을 조사하는 등으로는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