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insect pests

검색결과 210건 처리시간 0.031초

Cryopreservation of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 Park, Ju-Yong;Shin, Keum-Chul;Kim, Kyung-Hee;Lee, Seung Kyu;Lee, Jong Kyu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5호통권162호
    • /
    • pp.334-337
    • /
    • 2005
  • Pine wood nematode isolates from Haman, Gyoungsangnam-do were cryopreserved with three different cryoprotectants (glycerol, ethylene glycol and dimethylsulfoxide), Nematode Growth medium (NGM) and M 9 buffer solution, respectively, and then survival rate, reproduction ability, and pathogenicity of stored nematodes were compared. Survival rates of juvenile was excellent in 15% glycerol solution as $72{\pm}5.3%$. The survival ability of nematodes at juvenile stage was more efficient than that of nematodes at adult stage. Pre-incubation treatment at $4^{\circ}C$ before storing in liquid nitrogen didn't affect the survival ability of pine wood nematode. When the reproduction ability of nematodes was confirmed on Botrytis cinerea agar plates at $28^{\circ}C$ incubato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cryopreserved and non-cryopreserved. Pathogenic ability of cryopreserved nematodes was also evaluated and confirmed by artificially inoculating them on 2-year old red pine seedlings.

고로쇠 수액의 저장 중 세균군집 분석 (Analysis of the Bacterial Community during the Storage of Gorosoe(Acer mono Max.) Sap)

  • 오정환;서상태;오혜영;홍진성;강하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92-496
    • /
    • 2009
  • The composition of the bacterial populations in Gorosoe(Acer mono Max.) sap was characterized during storage with different heat treatments($63^{\circ}C$ for 30 min and $73^{\circ}C$ for 15 sec). The saps were aseptically collected at 0, 15 and 30 days of storage and analyzed by dilution plating and 16S rDNA PCR-DGGE analysi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tal number of colony forming units(CFUs) of bacteria between heated and nonheated saps. Bacteria of nonheated sap were present at a level of $3.4{\times}10^7CFU/m{\ell}^{-1}$, whereas living bacteria were not detected in the heated sap. According to the 16S rDNA sequence and DGGE analysis, Pseudomonas sp. was the most abundant bacterial strain in the samlpes, and the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s become more simplified with time and were composed of the Chryseobacterium sp. with time. These results allowed us to characterize the dominant bacteria involved in Gorosoe sap and to better understand their dynamics throughout storage.

잣나무림에서 천공성 딱정벌레 군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munity of Xylophagous Beetles in Korean White Pine, Pinus koraiensis, Forests)

  • 최원일;김경민;고상현;남영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41-49
    • /
    • 2017
  • 2007년에 잣나무림에서 하늘소과, 바구미과, 나무좀아과에 속하는 천공성 딱정벌레 군집을 말레이즈 트랩을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하늘소류 15종 184 개체, 바구미류 17종 185개체, 6종 1,246개체의 총 1,615개체 천공성 딱정벌레가 채집되었고 우점종은 왕녹나무좀이었다. 개체수에 따라 순위를 매겼을 때, 잣나무림에서 천공성 해충과 나무좀류 군집은 나무좀아과의 한 종에 의해 우점되어 생물다양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잣나무림에서 간벌은 나무좀과 암브로시아좀류의 풍부도에 영향을 미쳐 특정 임분에서의 개체군들은 간벌 1년 후 밀도가 증가했으나 그 후 감소하였다.

경북지역에서의 솔잎혹파리(Thecodiplosis japonensis)와 솔잎혹파리기생봉의 개체군 변동 (Annual Fluctuations in Population of the Pine Needl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and its Parasitoids in Kyeongbuk Province, Korea)

  • 전문장;신상철;정영진;김철수;최광식;박일권;장정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3호
    • /
    • pp.256-260
    • /
    • 2006
  • 본 연구는 기생봉이 솔잎혹파리 밀도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남성동에 위치한 소나무림에서 우화트랩을 이용하여 1986년에서 2005년까지 20년간 솔잎혹파리와 각 종의 솔잎혹파리 기생봉 성충 밀도를 조사하였다. 1987년 이후 기주인 솔잎혹파리와 기생봉 개체군 동태는 유사한 양상을 보였으며 기생봉 밀도는 기주 의존적이었다. 솔잎혹파리 개체군의 성비는 전체적으로는 암컷의 비율이 높았으나 연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솔잎혹파리 기생봉 개체군에서도 유사하였으나 솔잎혹파리먹좀벌(Inostemma seoulis) 개체군의 성비가 혹파리반뿔먹좀벌(Inostemma matsutama) 개체군 성비보다 암컷편기가 심하였다. 기주인 솔잎혹파리는 매년 5월16일~7월27일(우화최성기 : 5월27일-6월5일)에 우화하였고, 그 기생봉인 혹파리반뿔먹좀벌과 솔잎혹파리먹좀벌은 5월16일~6월11일(우화최성기 : 5월27-6월2일) 및 6월9일~7월27일(우화최성기 : 6월23일~6월28일) 이었다.

호남권 내 6개 지역에서의 도심 및 교외 수목 해충 발생 양상 (Occurrence of Insect Pests from Street Trees in Six Urban and Suburban Parks of Honam Region, South Korea)

  • 임종옥;유하늘;원정운;강석무;신수연;박용환;정찬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4호
    • /
    • pp.371-384
    • /
    • 2023
  • 도심과 교외에 식재 또는 자생하고 있는 수목의 해충 발생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2022년 5월부터 9월까지 전남 및 전북 내 총 6개소(전북 익산 2개소, 김제 1개소, 광주 3개소)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 6개소는 조사지역(공원)이 위치한 지역 특성에 따라 산림인접지역, 수변지역, 도심지역 세 개의 지역으로 구분하여 각 특성 지역에 따라 확인되는 해충의 다양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6개소의 조사지역에서 총 5목 27과 49속 51종의 해충 분류군이 총 13과 21종의 주요 가로수종으로부터 확인되었다. 해충 분류군 중에서 노린재목이 12과 20속 22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가로수 수종에서는 왕벚나무가 25종의 가장 다양한 해충의 피해를 입는 것을 확인하였다. 조사지역 특성별 비교를 하였을 때, 수변지역 공원에 식재 또는 자생하는 수종은 상대적으로 적었지만 산림인접지역과 도심지역 공원에 비해서 가장 많은 해충 종 수를 확인하였다. 해충이 가해하는 부위로는 잎을 가해하는 해충이 총 22종으로 가장 많았다. 본 조사를 통해 확보한 각 가로수 수종에 발생하는 해충의 분류군 목록을 작성하였으며, 이 중에서 피해가 심한 6종을 선정하였다. 도심 뿐만 아니라 교외지역에서의 다양한 가로수 분포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수목 해충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해충 발생 양상 조사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한다.

Migration and Attacking Ability of Bursaphelenchus mucronatus in Pinus thunbergii Stem Cuttings

  • Son, Joung A;Jung, Chan Sik;Han, Hye Rim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2권4호
    • /
    • pp.340-346
    • /
    • 2016
  • To understand how Bursaphelenchus xylophilus kills pine tre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ffects of B. xylophilus and B. mucronatus on pine trees are usually compared. In this study, the migration and attacking ability of a non-pathogenic B. mucronatus in Pinus thunbergii wer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B. mucronatus and the number of dead epithelial cells resulting from inoculation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pathogenic B. xylophilus. Although B. mucronatus is non-pathogenic in pines, its distribution pattern in P. thunbergii was the same as that of B. xylophilus. We therefore concluded that the non-pathogenicity of B. mucronatus could not be attributed to its migration ability. The sparse and sporadic attacking pattern of B. mucronatus was also the same as that of B. xylophilus. However, the number and area of the dead epithelial cells in pine cuttings inoculated with B. mucronatus were smaller than in those cuttings inoculated with B. xylophilus, meaning that the attacking ability of B. mucronatus is weaker than that of B. xylophilus. Therefore, we concluded that the weaker attacking ability of B. mucronatus might be the factor responsible for the non-pathogenicity.

Morphometric Variation in Pine Wood Nematodes, Bursaphelenchus xylophilus and B. mucronatus, Isolated from Multiple Locations in South Korea

  • Moon, Yil-Sung;Son, Joung A;Jung, Chan Si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9권3호
    • /
    • pp.344-349
    • /
    • 2013
  • Intraspecific variation in morphometry of pine wood nematodes Bursaphelenchus xylophilus and B. mucronatus in relation to geographical locations in South Korea was investigated using morphometric characters (body length, a, b and c ratio, stylet length, and spicule length for a male nematode and V (%) value for a female nematode). B. xylophilus was isolated from Pinus thunbergii in Jinju (1998), Ulsan (2000), Yangsan (2000), Mokpo (2001) and Jeju (2004), and from P. densiflora in Gumi (2001). B. mucronatus was isolated from P. thunbergii in Jinju (1991) and from P. densiflora in Milyang (2001). The body length of male and female B. xylophilus had the highest coefficient of variability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eographical locations. The V (%) value for female B. xylophilus showed the lowest coefficient of variability, changing little with geographical area and host plant. All morphometric characters in B. mucronatus except for stylet length and female body length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locations or hosts, suggesting they may not be affected by geographical area or host plant.

한국산 바구미과(科)(딱정벌레목(目)) 9미기록종(種)에 대한 보고 (Newly Recorded Species of the Family Curculionidae in Korea (Coleoptera; Curculrionidae))

  • 박상욱;홍기정;신상철;최광식;최원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17-126
    • /
    • 2008
  • 본 연구를 통해 바구미과의 Pimelocerus elongates (Roelofs, 1873), Phylaitis maculiventris Voss, 1958, Egiona picta (Roelofs, 1875), Cryptorhynchus electus (Roelofs, 1875), Rhadinopus confinis Voss, 1958, R. sulcatostriatus (Roelofs, 1875), Deiradocranus setosus (Morimoto, 1962), Rhadinomerus annulipes (Roelofs, 1875), R. maebarai Chujo et Voss, 1960 등 9종을 한국에서 처음 보고하며, 분포가 불분명했던 Shirahoshizo hiurai Morimoto는 한국에 분포함을 확인하였다. 이들의 특징에 대한 기술과 형태 사진을 제시하였다.

황다리독나방(나비목: 독나방과)의 생활사 (Life History of lvela auripes (Lepidoptera: Lymantriidae))

  • 최광식;최원일;김철수;박일권;정영진;장석준;심상준;신상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71-373
    • /
    • 2006
  • 층층나무를 가해하는 단식성 해충인 황다리독나방(Ivela auripes)의 생활사를 실내 항온조건과 야외에서 조사하였다. 실험실 $24{\pm}1^{\circ}C$ 항온조건에서 1령 유충부터 번데기까지의 총 발육기간은$26.3{\pm}0.3$일이었고 성충의 수명은 $4.4{\pm}0.2$일이었다. 야외에서 채집된 번데기와 실험실 항온 조건에서 사육된 번데기의 발육 일수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실험실에서 사육된 암컷 한마리당 산란수는 야외에서 채집된 개체들의 산란수에 비해 낮았다. 포충망을 이용한 모니터닝이 유아등 모니터닝에 비해 효율적이었다. 황다리독나방의 성충우화시기는 6월 초순부터 하순이었으며 50% 누적 우화시기는 6월 17일이었다.

북한산국립공원 산림해충의 분포 (Distribution of Forest Insect Pests in Bukhansan National Park, Korea)

  • 이총규;조현서;류동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75-82
    • /
    • 2008
  • 북한산 국립공원의 도봉산지역에서 채집된 산림해충은 5목 29과 76종이었다. 이들 중에 나비목은 9과 24종, 딱정벌레목 9과 23종, 매미목 4과 20종, 노린재목 5과 6종, 벌목은 2과 3종으로 확인되었다. 송추 골이 5목 28과 66종, 회룡 골이 5목 19과 41종이었다. 중점관리해충으로 광릉긴나무좀(Platypus koryoensis), 암청색줄무니밤나방(Arcte coerulea), 참나무겨울가지나방(Erannis golda)이 확인되었고, 왕침노린재(Isyndus obscurus)이 포식성 천적으로 분류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