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healing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8초

A case study on the economic feasibility of different patterns of green care and healing complexes

  • Koo, Seungmo;Kim, Dae Sik;Koo, Hee Dong;Lee, Han Joon;Park, Bum Jin;Kim, Kyoung-Chan
    • 농업과학연구
    • /
    • 제44권3호
    • /
    • pp.451-461
    • /
    • 2017
  • Korean agriculture has recently focused on the 6th dimension of industrialization, which includes the functions of healing and care. The green care and healing business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models, satisfying modern consumers' needs for care or healing in rural agricultural environments. Many studies have shown physical and social benefits from green care and healing, but studies regarding economic performance are rarely found. The present study aimed to analyze the economic feasibility of different green care and healing farm complexes proposed in recent domestic research, with various possible combinations of business scenarios. The results show that most of the scenarios are economically feasible as B/C (benefit-cost ratio) and IRR (internal rate of return) are 1.19 and 8.53%, respectively, under scenario 1. This study also performed a break-even analysis for providing more flexible decision-making information. Overall, scenario 1 from green care and healing site and scenario 4 from green care and healing cluster are found to be superior to the other scenarios in terms of B/C and IRR. The scenarios in this study reflect the domestic farms or complexes which have similar functions of care or healing.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nformation on practical policies and business implications in making decisions on the specific size and operational patterns when adopting green care and healing complexes by central or local governments and private sectors in the future.

치유개념을 적용한 치유단지의 계획특성 연구 - 국내 조성되어 운영되고 있는 주요 단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a Healing Complex applying the Concept of Healing - Focusing on major complexes that have been constructed and operated in Korea -)

  • 박훈;채철균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3호
    • /
    • pp.79-90
    • /
    • 2019
  • There are more and more citizens suffering from severe fatigue, and they wish to escape from it and spend their leisure time for healing. As a result, buildings and complexes are being constructed nationwide with healing as their theme. Particularly, they tend to build facilities with concepts like a spa, beauty, healing, meditation, nature, or forest hea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healing environment and the nationwide tendencies of building facilities with healing as their theme and also investigate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complexes and architecture with three representative complexes as examples. Complexes intended for healing have immersion into nature being freed from one's routine as their concept. When planning the flow of human traffic within the complexes, they try to obtain the autonomy of choice as well as the diversity of space and experiential factors in order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experiencing nature. In the complexes selected for a case study here, they have planned the factors of physical environment that are associated with one another based on architectural education programs using red clay, programs specializing poetry, and healing programs using food. Typically, this is centered around outdoor experiential space, indoor meditation and education space, or fitness space. Also, it is characterized by the planning of physical environment and the complex operation of programs. Particularly, public space is divided into communal space, resting space, and health and treatment space, and health/resting space is mainly intended for health and exercise, for example, fitness, spas, or jjimjilbang (Korean dry saunas). Also, it is characterized by the planning of pitched roofs harmonized with nature and also facade planning that can positively adopt the factors of natural environment.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성인 대상별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 분석 (The Preference Analysis of Adults on the Forest Therapy Program with regard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 김윤희;김은진;김동준;연평식;최병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1호
    • /
    • pp.150-16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성인 대상별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선호도를 분석함으로써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한다. 일반 성인 남 여 516명을 대상으로 산림치유 프로그램 37개에 관한 선호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프로그램의 기술통계분석 및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많은 공변량이 확인되어, 자료를 의미있게 축약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T-검정, 분산분석을 통해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연령, 지역, 직업)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37개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축약하기 위하여 베리멕스 직각회전법을 이용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은 7개의 프로그램군(1: 심리치료중심 프로그램, 2: 강의 상담중심 프로그램, 3: 캠핑 산림욕중심 프로그램, 4군: 식이중심 프로그램, 5: 자연 식물중심 프로그램, 6: 명상중심 프로그램, 7: 호흡 요가중심 프로그램)과 7개의 독립프로그램(1: 숲속 잠자기, 2: 비전 퀘스트, 3: 물속에 손과 발 담그기 4: 신발 신고 숲속 걷기, 5: 숲 경관 보기, 6: 등산, 7: 숲속 운동회)으로 축약되었다. 이를 중심으로 성별, 연령, 지역, 직업에 따라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첫째, 성별에 따라서 심리치료중심 프로그램군, 식이중심 프로그램군, 명상중심 프로그램군, 호흡 요가중심 프로그램군, 등산 프로그램에 대해서 남 여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연령에 따라서 강의 상담중심 프로그램군, 캠핑 산림욕 중심 프로그램군, 자연 식물중심 프로그램군, 명상중심 프로그램군, 호흡 요가중심 프로그램군, 숲속 운동회 프로그램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에 따라서 심리치료 중심 프로그램군, 강의 상담중심 프로그램군, 식이중심 프로그램군, 자연 식물중심 프로그램군, 명상중심 프로그램군, 비전 퀘스트, 등산, 숲속 운동회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업에 따라서 자연 식물중심 프로그램군, 명상중심 프로그램군, 비전 퀘스트, 신발 신고 숲속 걷기, 숲 경관 보기, 등산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선호도에 대한 다양성을 고려하여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가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해양치유자원 DB 구축 및 활용을 위한 웹 GIS 기반 해양치유포털 구축 (Development of a Web GIS-based Marine Healing Portal for Building and Utilizing Marine Healing Resource DB)

  • 박용길;김계현;이재혁;이성재;이기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46-15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해외에서는 각광을 받고 있는 해양치유를 국내에 적용하기 위한 시범연구로서 선정된 4개의 시범지자체를 대상으로 해사와 해수, 소금, 머드, 해조류, 산림, 기상 등 7개의 주요 해양치유 관련 자원을 수집하고 GIS 기반의 관련 DB를 구축하였다. 나아가 구축된 DB의 원활한 활용과 해양치유 관련 다양한 콘텐츠의 제공, 관련 산업의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하여 웹GIS 기반의 해양치유포털을 구축하였다. 포털에는 GIS 기반의 해양치유에 필수인 해양자원의 주제도는 물론, 국내외 연구문헌, 해양치유요법 관련 매뉴얼과 시범 지자체의 해양치유 관련 다양한 프로그램 등을 포함하였다. 구축된 해양치유포털의 시범운영을 통하여 향후 국내 관련 산업의 활성화에 기여가 클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향후 해양치유자원의 확대 구축과 보다 다양한 콘텐츠의 확보를 위한 후속연구의 필요성도 대두되었다.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에 관한 연구 (The Preference Analysis of Forest Therapy Program with regard to MBTI Personality Types)

  • 김윤희;김동준;김은진;연평식;최병진;김재근;김윤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85-498
    • /
    • 2015
  •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효과적인 산림치유를 위해, 참가자의 특성을 파악하여 보다 표적화 되고 차별화된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성격에 기초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성격유형 선호지표, 심리기질유형과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선호도 사이의 관련성을 각각 분석하였다. 일반 성인 남.여 245명을 대상으로 MBTI 성격검사와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관한 선호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산분석(ANOVA)을 통해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의 차이를 살펴본 바, 그 차이가 확인되었다. 외향(E)-내향(I)은 호흡법.호흡체조, 자유롭게 숲속 걷기(신발착용), 숲속 웃음치료, 경관보기, 삼림욕.풍욕.일광욕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감각(S)-직관(N)은 물 흐르는 소리 듣기, 허브차 마시기, 숲속 잠자기에 대해, 사고(T)-감정(F)은 물속에 발과 팔 담그기, 숲속 잠자기에 대해, 판단(J)-인식(P)은 비전세우기, 경관보기에 대해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의 심리기질유형에 따라서, 허브차 마시기, 자연음식 먹기, 숲속 잠자기, 경관보기, 숲 해설 듣기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분석 결과가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댕댕이나무(Lonicera caerulea)의 대장암세포 생육억제 활성 (Inhibitory Activity of Lonicera caerulea Against Cell Proliferation in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 안미연;어현지;손호준;박광훈;정진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63-270
    • /
    • 2020
  • 이상의 연구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댕댕이나무 잎과 가지 추추출물은 대장암 세포주 HCT116과 SW480세포의 생육을 억제하였으나 열매추출물은 억제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잎과 가지 추출물은 cell migration과 wound healing assay를 통해 비정상적인 세포증식 억제를 확인하였으며, β-catenin과 TCF4의 단백질 수준을 감소시켜 비정상적인 Wnt 신호전달을 억제를 통해 대장암세포의 생육을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댕댕이나무 잎과 가지는 항암을 위한 대체보완소재 및 천연 항암제 개발을 위한 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산림치유프로그램이 산불피해지역주민의 스트레스와 신체적 건강증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orest Therapy Program on Stress and Physical Health Promotion of Forest Fire Victims)

  • 김진숙;김명종;민지선;황성욱;유지훈;전영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9권9호
    • /
    • pp.915-924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forest healing program for victims affected by the large forest fires of 2017 in Gangneung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s on the stress and physical health promotion of the victims. From January to March 2019, three forest therapy programs were conducted on 49 residents of four villages that suffered forest fires in the National Center for Forest Therapy, Daegwallyeo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gree of stress of forest fire victims decreased significantly by means of these programs. Furthermore, autonomic nerve activity, stress resistance, stress index, and fatigue decreased significantly and average heart rate and heart stability also improved.

해양친수공간에서 해양치유산업의 정책 과제 (Policy Tasks for bringing the Marine Healing Industry to Waterfront Spaces)

  • 박홍균
    • 해운물류연구
    • /
    • 제34권4호
    • /
    • pp.677-694
    • /
    • 2018
  • 해양은 도시와 연계되어 교류의 공간으로 활용되고 유기적 관계를 형성하며 인간과 친수 공간을 구성한다. 해양치유산업은 의료와 웰빙으로 삶의 질을 개선하는 융합 부분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의료산업과 결합 되어가는 미래 산업이다. 해양치유산업의 정책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양치유산업 운영이 가장 높다. 종합 중요도는 제1순위가 해양친수공간에 해양치유산업 운영의 부분의 전문의료서비스 병원형이다. 해양치유시설 개발과 산림치유 연결성을 강화하는 내용으로 구성하고 의료기술의 고도의 전문화된 전문의료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제2순위는 해양치유산업 특성화에서 가치창조성이다. 해양치유효과에 대한 새로운 가치창조성을 위하여 의 신약학 연구개발 등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정책이 진행되어야 한다. 셋째, 해양치유산업의 정책 개발을 위하여서는 세분화된 시장의 가능성을 탐색 할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는 세부항목에 관한 구체적 정책제안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노인요양시설 공용공간의 자연요소 도입에 관한 연구 - 매개, 교류, 휴식공간의 쾌적성 확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Natural Elements in Public places of Nursing Homes - Focusing on ensuring the amenity of mediation, interaction, and rest places -)

  • 전명숙;최상헌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108-116
    • /
    • 2009
  • As an aging society accelerates its pace for the present, providing a pleasant environment to nursing homes is such an environmental requirement with which elderly people could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and even acquire the effects of healing. As an optimal element of ensuring amenity, nature is a general hospital that heals human beings physically and mentally. In this vein, the investigator drew out the frame of analysis, namely emotional/healing/relating amenity, by means of theoretical examination of such natural elements as water, light, soil/stone, and plant. And on the basis of the drawn amenity, the investigator examined the application of natural elements to study subjects in order to analyze the ensured amenity. Study findings show that the existing nursing homes have ensured healing amenity sufficiently, but they are unsatisfactory in ensuring emotional and relating amenity. Based on interview survey, the investigator suggests that the introduction of natural elements into nursing homes such public space as mediation space, interaction space, and rest places to ensure emotional/healing/relating amenity must be ideally equipped with the formation of outdoor forest in which water, light, soil/stone, and plant get joined together, rather than Introducing a single element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plan of construction of nursing homes must take residing elderly people's emotional/healing/relating amenity into account on the basis of physical amenity.

초등학생 대상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Forest Therapy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송민경;방경숙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3권3호
    • /
    • pp.300-311
    • /
    • 2017
  • Purpose: There are many forest and outdoor programs being offered but systematic reviews of effects are lacking.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content, format, and strategies of forest therapy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Literature search using keywords in English and Korean was performed using 6 electronic databases in December 2016. Search participants w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interventions conducted in the forest. Seventeen forest therapy studies were selected for evaluation. Risk of Bias Assessment tool for non-randomized study was used for quality assessment. Results: All studies were quasi-experimental designs. Forest therapy programs included various activities in forests such as experience of five senses, meditation in the forest, walking in the forest, ecological play, observation of animals and insects. All studies used psychosocial health variables and forest healing programs had positive effects on sociality, depression, anxiety, self-esteem, stress, aggression, anger, and school adjustment. Limitations of these studies were vague reporting of the study, lack of ethical review and rigorous research designs. Conclusion: Forest therapy for elementary school child can be an effective way to improve psychosocial health. Future studies with rigorous study designs are needed to assess long-term effects of forest therapy on physical and psychosocial h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