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fire severity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8초

Landsat TM 영상자료를 활용한 삼척 대형산불 피해지의 비이산화탄소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Estimation of non-CO2 Greenhouse Gases Emissions from Biomass Burning in the Samcheok Large-Fire Area Using Landsat TM Imagery)

  • 원명수;구교상;이명보;손영모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7-24
    • /
    • 2008
  • 지구온난화 문제는 국지적, 국내적 환경문제가 아닌 범지구적 차원에서 해결하여야 할 문제로 온실가스 규제와 지구환경의 조화를 위한 국제적 노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매스 연소시 배출되는 비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정량적으로 추정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고, 산불피해지 구분은 물론 피해강도에 따라 배출되는 비이산화탄소 온실가스를 정량적으로 추정하기 위해 위성영상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IPCC 기준인 Tier 2 수준으로 비이산화탄소 온실가스 배출량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 4월에 발생한 우리나라 최대 산불인 삼척피해지를 대상으로 산불 전후 동일시기에 관측된 Landsat 위성영상으로부터 정규탄화지수(NBR)를 추출하여 산불피해지역과 피해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위성영상에서 추출된 피해면적과 피해강도별 분석자료는 바이오매스 연소로 인해 직접 배출되는 비이산화탄소 배출량 추정을 위한 활동자료로 활용하였다. 비이산화탄소 배출량 추정을 위해 IPCC의 추정식을 이용하였다. 산불피해강도별 연소효율은 피해강도가 '심'(burn severity: high)인 수관화 지역의 경우 0.43, 피해강도 '중'(burn severity: moderate) 0.40, 그리고 피해강도가 '경'인 지표화지(burn severity: low)의 경우는 0.15를 적용하였다. 바이오매스 연소시 배출되는 비이산화탄소 온실가스별 배출계수는 CO 130, $CH_4$ 9, $NO_x$ 0.7, $N_2O$ 0.11 값을 적용하였다. 삼척 산불피해지의 dNBR에 의한 피해강도 분석 결과, 전체 피해면적은 16,200ha로 나타났으며, 피해강도는 '경(Low: dNBR 152 이하)' 35%, '중(Moderate: dNBR 153-190)' 33%, '심(High: dNBR 191-255)' 32%의 면적분포를 보였다. 임상별 피해면적은 침엽수림 11,506ha(77%), 활엽수림 453ha(3%) 그리고 혼효림에서 2,978ha(20%)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삼척 산불피해지의 바이오매스 연소로 인해 직접 배출된 비이산화탄소 배출량 추정 결과, CO 93%, CH4 6.4%, $NO_x$ 0.5%, $N_2O$ 0.1%의 순으로 배출량이 많았다. 삼척 산불피해지의 강도별 피해면적은 32%$\sim$35%의 분포로 고른 양상을 보이고 있지만 피해강도 '중' 지역에서 배출된 비이산화탄소의 양이 전체의 47%를 차지하여 배출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삼척산불 피해지의 총 비이산화탄소 온실가스 배출량은 CO 44.100Gg, CH4 3.053Gg, $NO_x$ 0.238Gg 그리고 $N_2O$는 0.038Gg이 배출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숲가꾸기 산물의 적재형태에 따른 산불위험도 분석 (Analysis of forest fire danger rating on accumulation types of the leaving of thinning slash)

  • 이시영;이명욱;채희문;김영환;박흥석;권춘근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7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223-230
    • /
    • 2007
  • Nowaday, for the promotion of producing forest trees, production of excellent timbers, and build-up of public forest area, it is on the increase of the thinning-forest for artificial forest, natural forest, eco-friendly forest, and the forest for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forest resources nationwide. Even though the thinning-forest is applied around 180,000ha every year, the quantity of collected/used products is only 18,000ha $(240,000m^3)$ which is 10% of the whole thinning-forest area. Meanwhile, some reports represent that the left products after thinning-forest might increase the severity of forest fire and the waste of resourc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the accumulated products after thinning-forest and forest fire, and providing a preparation plan for the forest fire.

  • PDF

2005년 강원도 양양산불 행동 특성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2005 Yangyang Forest Fire)

  • 이병두;이시영;정주상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6
    • /
    • 2005
  • 산불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산불환경인자와 산불행동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요구된다. 이 논문에서는 2005년 4월 강원도 양양에서 발생한 산불을 대상으로 문헌 및 탐문조사, 현장조사를 통해 산불행동 특성을 산불확산과 산불피해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양양산불의 확산은 두 단계로 구분되었는데 1차 확산단계에서는 강한 편서풍의 영향으로 동쪽으로 확산되었으며 재 발화 이후인 2차 확산단계에서는 풍향이 일정치 않아 서, 남, 북쪽으로 확산되는 불규칙적인 형태를 보였다. 확산속도는 최대 1.21km/hr, 평균 0.6km/hr로 분석되었다. 산불피해도를 십, 중, 경 세 단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전체 면적의 약 $80\%$에 해당되는 1,110ha 지역이 산불피해가 심한 지역으로 분류되었으며 경과 중 지역은 각각 $15\%(211 ha),\;5\%(61 ha)$이었다.

2005년 양양산불 피해 소나무림의 연소량 추정 (Estimation of Biomass of Pinus densiflora Stands Burnt Out by the 2005 Yangyang Forest Fire)

  • 이병두;장광민;정주상;이명보;이시영;김형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67-273
    • /
    • 2006
  • 2005년에 발생한 강원도 양양산불피해지의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산불피해도를 $\ulcorner$$\lrcorner$, $\ulcorner$$\lrcorner$, $\ulcorner$$\lrcorner$ 단계로 구분하여 산불연소량을 분석하였다. 산불 후 바이오매스는 지표층, 관목층, 수관층으로 나누어 조사하였으며, 산불이 발생하기 전의 바이오매스는 산불 인근 지역의 동일한 재적을 갖는 미피해지 임분과 동일하다고 가정하였다. 지표층과 관목층의 바이오매스는 직접 측정에 의해, 수관층의 바이오매스는 흉고직경과 수고를 이용한 건중량 추정식과 엽면적지수를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피해도가 $\ulcorner$$\lrorner$으로 분류된 plot에서는 약 l7,451kg/ha이, 피해도 $\ulcorner$$\lrorner$ plot에서는 8,724kg/ha, 마지막으로 피해가 경미했던 plot에서는 3,693kg/ha이 산불로 인해 연소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IKONOS 화상 기반의 산불피해등급도 작성을 위한 정규산불피해비율(NBR) 평가 (Evaluation of the Normalized Burn Ratio (NBR) for Mapping Burn Severity Base on IKONOS-Images)

  • 김천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95-203
    • /
    • 2008
  • 본 연구는 KOMFSAT-2호 및 3호의 화상활용의 일환으로 고해상도 위성화상을 이용한 산불피해비율(NBR) 기반의 산불피해등급도 작성 개발이다. 무엇보다 중적외선 밴드가 없는 IKONOS 화상에서 NBR 산법개발과 NBR 기초한 삼척과 청양 예산 산불피해지의 산불피해등급도를 기존의 다른 기법과 평가한 결과 우수성이 입증되었다. 향후 고해상도 KOMPSAT 화상을 이용한 NBR 기반의 산불피해등급도는 산불 후 피해복원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Assessment of Drought on the Goseong-Sokcho Forest Fire in 2019 using Multi-year High-Resolution Synthetic Precipitation Data

  • Sim, Jihan;Oh, Jaiho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379-379
    • /
    • 2020
  • The influence of drought has increased due to global warming. In addition, forest fires have occurred more frequently due to droughts and resulted in property losses and casualty.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drought on Goseong-Sokcho Forest Fire in 2019 were analyzed using high-resolution synthetic precipitation data. In order to determine the severity of drought, the average, 20%tile and 80%ile values were calculated using the synthetic precipitation data of the past 30 years and compared with the current climatology. We have investigated the multi-year accumulated precipitation data to determine the persistence of drought. In Goseong-Sokcho forest fire case, the two-year cumulative synthetic precipitation data shows a similar value to the climate, but the three-year cumulative synthetic precipitation data was close to the 20%ile lines of the climate value. It may expose that the shortage of precipitation in 2017 had persisted until 2019, despite abundant precipitation during the summer in 2018. Therefore, Goseong-Sokcho forest fire might be spread more rapidly by drought which has been persisted since 2017.

  • PDF

KBDI 가뭄지수를 이용한 SSP 기후변화 시나리오하의 충청지역 백두대간 산불 잠재력 전망 (Projecting forest fire potential in the Baekdudaegan of the Chungcheong region under the SSP scenario climate change using KBDI Drought Index)

  • 최재용;김수진;정휘철;김성열;문건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1-11
    • /
    • 2022
  • Recently, climate change has been regarded as a major cause of large-scale forest fires worldwide, and there is concern that more frequent and severe forest fires will occur due to the level of greenhouse gas emissions. In this study, the daily Keetch and Byram Drought Index (KBDI) of the Baekdudaegan in Chungcheong region including Sobaeksan, Songnisan, and Woraksan National Parks were calculated to assess effect of climate change on the forest fire potential- severity of annual maximum KBDI and frequency of high KBDI days. The present (2000~2019) and future KBDI(2021~2040, 2041~2060, 2081~2090)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meteorological observation and the ensemble regional climate model of the SSP1-2.6 and SSP5-8.5 scenarios with a spatial resolution of 1-km provided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Under the SSP5-8.5 scenario, 6.5℃ increase and 14% precipitation increase are expected at the end of the 21st century. The severity of maximum daily KBDI increases by 48% (+50mm), and the frequency of high KBDI days (> 100 KBDI) increases more than 100 days, which means the high potential for serious forest fire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Songnisan National Park has the highest potential for forest fire risk and will continue to be high in intensity and frequency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forest vulnerability of the Baekdudaegan in the Chungcheong region will greatly increase and the difficulty in preventing and suppressing forest fires will increase as the abundance of combustible materials increases along with climate changes.

산불 지역 인공·자연복원에 따른 Landsat영상 기반 식생지수 비교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based on Landsat Images Variations between Artificial and Natural Restoration Areas after Forest Fire)

  • 노지선;최재용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3-57
    • /
    • 2022
  • This study aims to classify forest fire-affected areas, identify forest types by the intensity of forest fire damage using multi-time Landsat-satellite images before and after forest fire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artificial restoration sites and natural restoration sites. The difference in the values of the Normalized Burned Ratio(NBR) before and after forest fire damage not only maximized the identification of forest fire affected and unaffected areas, but also quantified the intensity of forest fire damage. The index was also used to confirm that the higher the intensity of forest fire damage in all forest fire-affected areas,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coniferous forests, relatively. Monitoring was conducted after forest fires through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NDVI), an index suitable for the analysis of effects by restoration type and the NDVI values for artificial restoration sites were found to no longer be higher after recovering the average NDVI prior to the forest fire. On the other hand, the natural restoration site witnessed that the average NDVI value gradually became higher than before the forest fires. The study result confirms the natural resilience of forests and these results can serve as a basis for decision-making for future restoration plans for the forest fire affected areas. Further analysis with various conditions is required to improve accuracy and utilization for the policies, in particular, spatial analysis through forest maps as well as review through site checks before and immediately after forest fires. More precise analysis on the effects of restoration will be available based on a long term monitoring.

RapidEye 영상을 활용한 대형산불피해지의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Estimation on Greenhouse Gases(GHGs) Emission of Large Forest Fire Area in 2013)

  • 원명수;김유승;김경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54-67
    • /
    • 2014
  • 본 연구는 RapidEye 영상을 활용하여 2013년 발생한 대형산불 피해지역(울주, 포항, 봉화)을 대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하였다.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은 2006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추정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최대 우도법을 기반으로 한 감독분류를 실시하여, 산불피해지역의 강도등급 및 피해면적을 산출하였으며, 현장정보와 비교하여 정확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산불피해 등급별 정확도 평가 결과는 평균적으로 전체정확도 73.93%과 Kappa 계수 0.67로 나타났다. 2013년 대형산불피해지의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은 울주지역 $CO_2$ 63,260, CO 5.207, $CH_4$ 360, $N_2O$ 28.0, $NO_x$ $4.4g/kg^{-1}{\cdot}ha^{-1}$, 포항지역 $CO_2$ 28,675, CO 2.359, $CH_4$ 163, $N_2O$ 12.7, $NO_x$ $1.9g/kg^{-1}{\cdot}ha^{-1}$ 그리고 봉화지역 $CO_2$ 53,086, CO 1,655, $CH_4$ 114, $N_2O$ 23.5, $NO_x$ $3.6g/kg^{-1}{\cdot}ha^{-1}$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