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experience program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4초

산림치유 효과 검증 연구의 주요어 분석을 통한 치유 발현과정 해석 (Interpretation of the Forest Therapy Process and Effect Verification through KeyWord Analysis of Literature on Forest Therapy)

  • 박경자;신창섭;김동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1호
    • /
    • pp.82-90
    • /
    • 2021
  • 본 연구는 산림치유인자를 활용한 숲 활동이 면역력증진과 건강증진으로 이어지는 산림치유 효과의 발현과정을 이론적 그리고 정성적으로 분석하고 산림치유 개념을 정밀화하고 체계화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분석자료는 산림치유 관련 기관 웹사이트와 2000년에서 2020년 3월까지 산림치유로 검색되는 33편의 석·박사 학위논문과 33편의 전문학술지 논문의 주요어, 2016년 산림치유 체험수기 공모전 입상작에 나타난 명사와 형용사 빈도수에 근거하여 워드클라우드를 생성하였다. 단어 빈도수를 근거로 한 해석으로 산림치유 요인을 도출하고 치유 효과의 발현과정을 추론하여 산림치유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였다. 산림 치유력의 원천은 산림치유인자와 함께 숲에 대한 긍정적 경험과 자연에 대한 태도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치유효과는 산림치유프로그램을 통해 극대화되고, 신체적 정신적 회복력과 저항력으로 이어지며, 결과적으로 건강증진, 면역력 증진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산림치유란 "대상자들의 숲에 대한 긍정경험 및 태도와 산림의 환경요소를 매개로 대상자들의 심리적, 신체적, 영적 회복력을 위한 건강증진 활동"이라 제안한다.

방과후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자아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fter-school Forest Healing Program Activities on Infant's Pro-social Behavior and Self-efficacy)

  • 장철순;구창덕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95-605
    • /
    • 2017
  • 본 연구는 숲이 가지고 있는 산림치유인자들과 요인들을 활용하여 방과후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자아효능감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대상은 청주시 ${\bigcirc}{\bigcirc}$동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으로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을 실시하는 실험집단과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을 하지 않고 유아교육기관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에만 참여하는 비교집단 만3세~5세 유아 남녀 각각 20명으로 하였다. 실험기간은 2017년 4월 10일부터 2017년 7월10일까지 매주 1회씩 12회로 1시간(60분)씩 실시하였다.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 실시 전후에 유아를 대상으로 친사회적 행동과 자아효능감 검사를 실시하고 그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긍정적인 행동을 수행할 수 있는 친사회적 행동과, 자신감을 나타내는 자아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p<0.05).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을 실시한 유아들은, 자연과 더불어 또래들과 함께 지내며 긍정적인 생각을 하여 자신감이 향상되었다. 또한 생태지식뿐만 아니라 상대에 대한 배려와 협동심이 증가하였다. 친사회성의 하위요인인 개인정서조절능력과 대인관계형성능력, 유아교육기관 적응능력, 자아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신체적 효능감이 크게 향상되어 친사회적행동과 자아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듀테인먼트 공간으로 조성된 국립수목원 어린이정원의 시설 및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Investigation for Satisfaction of Facilities and Program of Children's Garden Constructed as Edutainment Space in Korea National Arboretum)

  • 송정화;맹희주;진혜영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5권1호
    • /
    • pp.35-4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atisfaction of student, adult and forest interpreters about facilities and program of children's garden, which was constructed as edutainment space within Korea National Arboretum on May 2011.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n information about construction of children's garden should be provided actively, because 70.8% student and 68.6% adult of respondent did not know existence of children's garden. Second, it has been analysed that a fundamental conception of GREEN-I be reflected in construction children's garden, especially, reflecting conception of Enjoy and Edutainment was comparatively high. Third, It was found that ecological experiencing activities program of children's garden was positively to develop environmental literacy for student. Fourth, It was found that satisfaction of uncommon planting area was very low among planting area and satisfaction of forest interpreters was very low about place of ecological experience learning using five senses. Finally, for effective operation of children's garden, children's garden should be provided planting for environmental education connected with the school curriculum and ecological experiencing activities program to enjoy time with the family. Therefore, these results will be applied to improve children's garden and could be applied to construct other children's garden in botanical gardens.

  • PDF

난임여성의 정서적 특성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 요구 분석 (Analysis of Forest Therapy Program Needs according to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Subfertile Women)

  • 부서윤;신창섭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2-8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난임 여성을 위한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탐색적 연구로 난임 여성의 정서적 특성과 정서적 특성에 따른 산림치유 요구도가 무엇인지 밝혀내어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 난임 전문병원에 내왕하는 난임 여성 200명을 대상으로 난임 여성의 정서적 특성과 산림치유 프로그램 요구도에 대한 33항목을 설문한 조사연구이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난임여성의 정서적 특성과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사이의 상관관계와 중요도를 파악하고자 빈도분석과 교차분석, 일원분산분석을 진행하였다. 난임 여성들의 정서적 특성은 임신에 대한 압박감, 불안 및 두려움, 우울, 절망감, 무기력, 외로움, 슬픔, 수치심 및 죄책감, 조급함과 답답함, 분노 및 과민함 등으로 나타났다. 난임 여성의 임신에 대한 압박감, 우울, 절망감, 무기력, 외로움, 슬픔과 분노와 과민함, 불안 및 두려움이 높게 나타났다. 난임 여성의 정서적 특성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 요구도 차이를 알 수 있었다. 임신에 대한 압박감과 수치심 및 죄책감에 따라서 난임 부부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운영 형태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과 두려움에 따라서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우울, 절망감, 무기력, 외로움, 슬픔에 따라서는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못하는 이유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급함과 답답함에 따라서는 희망하는 산림치유 프로그램 동반 참여자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노와 과민함에 따라서 산림치유 프로그램 참여경험 및 난임 여성을 위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통한 자조모임의 효과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가 난임 여성의 심신건강 증진을 위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숲 체험 프로그램이 뇌파와 맥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orest Experience Program on Brain Waves & Pulse Waves)

  • 김진국;최경호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85-194
    • /
    • 2019
  • 본 연구는 단기간 숲 체험자들의 뇌파와 맥파의 변화를 측정하여 정신적인 효능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청평에 위치한 자연휴양림에 방문한 484명의 체험자를 대상으로 숲 체험 전·후 뇌파와 맥파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숲 체험자들은 집중도, 두뇌활동정도 및 두뇌스트레스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숲 체험자들은 심장건강도 및 자율신경건강도 모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산림에서 방출되는 여러 가지 물질들이 우리 신체에 호흡기를 통해 들어오게 되면 먼저 심장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이는 곧 정서적인 측면인 두뇌에도 작용하여 다양한 호전을 기대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숲 체험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에 기인한 효능을 바탕으로 많은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건강한 삶을 위한 하나의 지침으로 숲 체험이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아울러 호흡과 심박 그리고 두뇌의 상호작용에 대한 기전 역시 이를 통해 가능할 것으로 보여 향후 숲 체험에 대한 다양한 실험 연구가 중요하다 하겠다.

이동동선에 따른 지역별 산림치유 선호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전주시 건지산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eference Program of Forest Healing by Region According to Moving Line)

  • 소은주;박율진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5-48
    • /
    • 2018
  • 본 연구는 전라북도 전주시 건지산 이용객의 일반적 특성과 건지산 산림치유의 인식, 구간별 선호프로그램 등을 조사하여 양질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에 기초출처로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설문 분석결과, 건지산은 도시숲으로 전주 도시민의 여가와 휴식의 자연공간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용객의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택 시 가장 중요한 요인은 프로그램의 활동 내용, 구성, 시간순이었으며, 주요 목적은 건강증진이 가장 많았다.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운영관리로는 주말을 활용한 주별 프로그램이 선호하였다. 운동프로그램은 자연경관 감상, 체험프로그램은 숲 체험, 치유프로그램은 숲속음악치유, 명상프로그램은 삼림욕, 교육프로그램은 숲속음악 듣기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건지산 이용객의 육체적, 정신적, 심리적 건강의 회복을 도모하는 양질의 건지산 일대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 및 연구를 위한 기초출처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구간별 선호프로그램 대상지로 특정 지역이 중복되어 선호도에 따른 적합한 산림치유 프로그램 구성의 한계점은 향후 건지산에 대한 산림치유프로그램의 지속적, 연속적 통합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나눔숲 걷기 프로그램이 농촌 지역사회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 생활만족감 및 우울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hared Forest Walking Programs on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f Older Individuals Living Alone in Rural Communities)

  • 박인숙;문영실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99-105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hared forest walking program and verify its effects on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living alone in rural communities. Methods: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or a control group, with 20 participants each. Data collected during August 1~3, 2022, before the program, and October 29~31, 2022, after the program. In this study, the shared forest walking program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a total of 24 sessions, with each session lasting one hour.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18.0, x2 tests, and t-tests.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sharing forest walking program showed higher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than the control group, along with a decrease in depression. Additional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steem (t=5.97, p<.001), life satisfaction (t=7.78, p<.001), and depression (t=-7.58, p<.001). Conclusion: The shared forest walking program,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roved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and reduced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living alone in rural communities. We propose the development of a continuous program to assist older adults living alone in underprivileged rural areas to experience retirement with reduced depression, increased self-esteem, and enhanced life satisfaction.

Development and Operational Test of the Free Semester Program Education in Arboreta and Botanical Gardens: Focusing on 'Gardener for a Day' Program in Korea National Arboretum

  • Yun, Do-Lee;Yoon, Mi-Jeong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89-298
    • /
    • 2019
  • As part of the free semester program, the 'Gardener for a day' program in the Korea National Arboretum was newly developed in 2018. The program was developed as a free semester program reflecting the works of a 'gardener' who performs the planning, preparation,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exhibition gardens. This 'Gardener for a day' program was applied to a total of 106 middle school students in October 2018. Educational elements were extracted from Korea National Arboretum exhibition gardens and career exploration of gardeners. The program was designed to provide education on theory and practices, including watching the gardener video, visiting the gardener booth, meeting with actual gardeners at Korea National Arboretum, visiting two exhibition gardens, and participating in three types of practical training as a gardener. A survey about program satisfaction and education was conducted after the program to analyze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contents, management, instructor), free semester program (career planning, occupational attitude, independence), and education (awareness of forest biospecies, preservation will).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following results: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score 4.0), free semester program (score 3.8), and education (score 4.0).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retest-posttest questionnaire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educational effects in career planning, occupational attitude, and awareness of forest biospecies.

국유림 경영제도에 대한 수요자의 인식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mander's Consciousness of the National Forest Management System)

  • 박경석;이성연;최수임;김현식;정세명;안기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3호
    • /
    • pp.380-390
    • /
    • 2010
  • 본 연구는 국유림 경영제도(공동산림사업 및 국민의 숲 제도)에 대한 수요자의 인지정도 및 참여의사, 제도에 대한 중요성 정도, 제도 참여에 대한 원하는 수혜, 국유림 역할에 대한 중요도, 제도의 목적달성도 등 변수 측정을 통해 국유림 경영제도에 대한 수요자의 의식 차이를 규명하고 동시에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하였다. 조사대상은 국유림 경영제도의 수요자인 제도 미참여 환경단체(158, A Type), 제도 참여 환경단체(181, B Type), 사회 공헌활동 관련 환경백서를 발간하는 기업(169, C Type), 지자체(249, D Type)의 4 Type으로 분류하였다. 조사 결과, C Type의 62.7%는 제도에 참여할 의사를 나타냈고, 참여 희망분야는 나무심기와 숲 가꾸기(56.2%) 등 직접 참여를 선호하였다. 참여 의사가 없는 37.3%는 산림을 활용한 사회공헌보다는 타 분야 사회공헌활동의 이점이 더 크기 때문(72.2%)에 국유림 활용을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단, 다양한 국유림 관련 시설(사원 연수 등)이나 산림청 차원에서 적극적인 지원책이 제공된다면 산림을 활용한 사회적 참여를 고려하겠다는 반응을 나타냈다. A Type의 61%는 국유림 경영제도를 사전에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도를 활용하지 않은 주요인으로 참여장소의 확보문제, 현지 참여에 대한 번거로움을 제시하였고, D Type은 국민의 숲 제도(3.69)의 산림휴양 교육 문화시설(4.15), 산림레포츠의 숲(3.90) 참여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특히, 경기/강원권 지자체에서는 체험의 숲을, 전라/충청권 및 경상권 지자체에서는 산림레포츠 숲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수요자 의사를 반영하는 국유림 경영제도의 활성화 방안으로서 참여대상, 범위를 확대하는 법적 요건의 정비, 기업의 사회공헌요구에 의한 자발적 참여 유도를 위한 인센티브 제공 방안, 제도 운영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전담 비정부 전문기관의 설립 등을 제시하였다.

The Effects of Psychomotorik in the Forest on the Sensory and Visual Percept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You, Jin-Hee;Shin, Won-Sop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21-33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sensory and visual percept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y conducting psychomotorik (psychomotor activity) in the forest and indoor treatment rooms. Accordingly, this study divided 18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living in the facilit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located in Seoul into three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psychomotorik in the forest, the comparative group participating in psychomotorik in the treatment room, and the control group without any treatment at all. The program was conducted for 32 weeks, 4 hours a month. The results showed that psychomotorik promoted the sensory and visual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Psychomotorik in the forest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touch and activity level, form constancy and eye-hand coordination. Psychomotorik in the treatment room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figure-ground with reduced motion. This suggests that psychomotorik in the forest as well as indoors is a positive factor for sensory adaptation reaction and visual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