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disaster

검색결과 399건 처리시간 0.034초

하이드로폰을 이용한 산림유역 소류사 유출량 산정 및 현장 적용성 검토 (Evaluation of Field Application and Estimation of Bedload Discharge in the Forest Watershed using the Hydrophone)

  • 서준표;김기대;우충식;이창우;이헌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807-81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산림유역의 소류사 유출량을 산정하기 위해 음향센서를 이용한 하이드로폰을 사용하였다. 하이드로폰의 수로실험과 현장실험을 통해 반응 특성을 분석하고 정량적 소류사 유출량을 산정하여 실측된 유출량과 비교·분석하였다. 하이드로폰 반응은 유량 변화에 따라 펄스값이 변하였지만 모래에는 반응하지 않았다. 입자 크기와 무게에 따라서 펄스값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크기와 무게에 따라 적합한 반응을 나타내는 특정 채널이 있었다. 또한 무게와 부피 변화에 따른 반응도 적합하게 나타났지만 특히, 무게 추정에 적절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현장에 설치된 하이드로폰에 대해서 자동충격전달 장치를 이용하여 채널별 반응 특성 분석으로 센서의 정상작동 여부 및 채널별 출력값의 적합성을 확인하고 소류사 유출량 산정을 위해 적합한 채널을 선정하였다. 하이드로폰 펄스와 평균유량을 이용하여 소류사 유출량 산정식을 개발하고 개발된 식과 현장에 실측된 유출량과 비교한 결과 전체적으로 실측값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하이드로폰을 산림유역의 소류사 모니터링에 활용한다면 유출되는 소류사량의 무게를 정량적이고 지속적으로 산정하는데 효율적인 것으로 검토되었다. 국내 산림유역에서 음향센서가 내장된 하이드로폰을 이용하여 소류사 등 토사유출 모니터링에 활용성을 검증함으로써 관련 분야의 연구 및 기술개발 증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해안방재림 실태조사에 관한 연구(Ⅰ) - 신규조성대상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Coastal Disaster Prevention Forest(Ⅰ) - on New Plan Site -)

  • 전근우;이진호;김민식;염규진;서재철;강기차부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763-766
    • /
    • 2008
  • 우리나라의 해안사구에 위치하고 있는 해안방재림의 실태를 파악한 결과, 신규 조성대상지는 576개소 250.05ha로 개소당 평균 면적이 약 0.43ha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재의 신규 조성대상지 개소당 기준인 1ha는 조정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연간 조성사업량인 10ha/년에 의하면 사업이 종료되기까지 약 25년이 소요되므로 5년 이내에 사업이 완료될 수 있도록 사업을 확대해야 하며, 이에 필요한 사업비 확보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난대지역 5수종의 연소특성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the 5 Species in Warm Temperate Forest Zone)

  • 김동현;정성철;구교상;이명보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408-412
    • /
    • 2010
  • 내화수림대 조성을 위하여 난대수종 중 내화성 수종을 선발하고자 콘칼로미터를 이용하여 5수종(감탕나무, 구실잣밤나무, 동백나무, 붉가시나무, 후박나무)을 대상으로 수피, 가지, 생엽 등 부위별 연소특성을 분석하였다. 난대수종의 평균 열방출율(HRR)은 감탕나무($167.66kW/m^2$)>구실잣밤나무($142.80kW/m^2$)>동백나무($116.78kW/m^2$)>후박나무($95.48kW/m^2$)>붉가시나무($79.80kW/m^2$)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붉가시나무가 산불 발생시 다른 수종에 비해서 화재강도가 낮은 것으로 사료된다. 수종별 부위(생엽, 가지, 수피)의 착화특성을 분석한 결과, 생엽에서 최초자연발화온도는 동백나무, 감탕나무($697^{\circ}C$)>후박나무($672^{\circ}C$)>구실잣밤나무($663^{\circ}C$)>붉가시나무($658^{\circ}C$) 순으로 나타났으며, 가지에서는 구실잣나무($671^{\circ}C$)>후박나무($669^{\circ}C$)>감탕나무($661^{\circ}C$)>붉가시나무($657^{\circ}C$)>동백나무($591^{\circ}C$) 순으로 나타났으며, 수피에서 동백나무($839^{\circ}C$)>후박나무($804^{\circ}C$)>동백나무($784^{\circ}C$)>붉가시나무($780^{\circ}C$)>감탕나무($749^{\circ}C$) 순으로 나타났다. 수종별 부위에 있어서 최초자연발화온도가 다른 것은 수종에 따라 조직과 세포간극 형태에 따라 수분함량의 차이가 착화특성을 다르게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해안림의 방풍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설치 파라미터 분석 (INSTALLATION PARAMETERS EFFECTING ON THE WIND PROOF OF A COASTAL FOREST)

  • 신종현;장세명;박기형;윤호중
    • 한국전산유체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52-60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lies in the effect of installation parameters influencing on the wind proof performance of the coastal forest for damage prevention. The dissipation ratio of incident wind power is developed as an assessment index to make a lumped parameter study possible. From the real field data of East, West, and South Sea bounded on the Korean peninsula, single and double storied forests were modeled in three-dimensional shape with computer aided design, and so was done the artificial structures such as wind break, sand accumulating fence, and sand dune, etc With a commercial code ANSYS-CFX, the computational result from the comparison of dissipation ratio between single and double storied forest shows the effect of composition, and also the installation effect is investigated for artificial structures with optimal dimension of distance.

Evaluating the Effect of Jellyfish Chips on the Survival and Growth of Pinus thunbergii Seedlings Planted in a Coastal Area of Ehime Prefecture, Japan

  • Kim, Suk-Woo;Ezaki, Tsugio;Lee, Youn-Tae;Teramoto, Yukiyoshi;Chun, Kun-Woo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2호
    • /
    • pp.196-198
    • /
    • 2018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jellyfish chips in promoting the survival and growth of Pinus thunbergii seedlings in a coastal area based on a five-year field investigation from 2012 to 2016. Seedling survival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reatment (96%) than in the control (75%) group in 2012. Furthermore, the height of five-year-old seedlings after plantation in 2012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treatment (3.41 m) than in the control (2.32 m) group (t=10.151; p-value<0.01). These results revealed that jellyfish chips can improve soil condition by enhancing moisture retention during the early growth stages and supplying nutrients to the seedlings over time. Our findings indicated that jellyfish chips could be used effectively as an organic fertilizer for growing coastal disaster prevention forests.

로지스틱 회귀식을 이용한 대형산불판정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Large Fire Judgement Model Using Logistic Regression Equation)

  • 이병두;김경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3호
    • /
    • pp.415-419
    • /
    • 2013
  • 산불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대형산불 가능성이 있는 산불에 대해 초기 단계에서부터 진화자원을 집중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불 발생 초기에 대형화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32건의 산불에 대해 피해 규모를 현장조사하고, 발화지를 중심으로 100 ha 이내의 기상, 지형, 연료인자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 내용을 로지스틱 회귀식을 적용한 결과, 산불은 온도, 풍속, 무강우일수, 경사변이, 산림면적이 높을수록 대형화되었으며, 고도는 낮을수록 그 확률이 높았다. 본 모형을 사용하면 산불 발생 초기에 대형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초기 진화자원의 규모와 지역 주민 대피 결정에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ank Model을 이용한 산지토사재해 경계피난 기준우량 산정법 개발 및 검토 (Development and Verifying of Calculation Method of Standard Rainfall on Warning and Evacuation for Forest Soil Sediment Disaster in Mountainous Area by Using Tank Model)

  • 이창우;윤호중;우충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3호
    • /
    • pp.272-278
    • /
    • 2009
  • 산지토사재해 발생시기 예측정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산지토사재해 기준우량 산정방법에 대해 수문모형인 Tank 모델의 적용수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방법과 저류관수법에 의한 결과의 비교 검토로 향후 적용가능성도 검토하였다. 산사태 발생시기 기록이 있는 36개의 산사태를 대상으로 저류관수법과 개발된 Tank 모델에 의한 방법을 적용하여 재해발생시기와 최대저류량과의 관계를 검토한 결과, 퇴적암 4기의 경우 Tank 모델에 의한 산사태 발생 예측시기는 1.6시간의 차이를 보였으나, 저류관수법에서는 3.2시간 차이를 보였다. 또한, 최대저류량의 편차가 Tank 모델의 경우 7%에 불과하나, 저류관수법의 경우 63%의 큰 편차를 보였다. 산사태 발생강우를 대상으로 최대저류량 값들 중 가장 작은 값을 위험기준우량으로 설정하여 대상지역의 5년간(1993~1997) 실제 강우량을 적용한 결과, Tank 모델에 의한 피난대기시간이 저류관수법보다 약 2배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Tank 모델에 의한 산지토사재해 위험기준우량 산정이 저류관수법보다 정도 및 실용적인 측면에서도 우수하여 향후 충분히 활용 가능한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산불재난 발생시 드론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Drones in Case of a Forest Fire Disaster)

  • 권준범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7-118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서 정의하는 사회재난의 산불발생시 인원과 장비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드론에 부착 가능한 열화상카메라, 소화탄, AI기능 등 활용에 관한 연구이다

  • PDF

Load-cell Sensor를 이용한 산지 토사유출량 계측의 현장 적용성 검토 (Evalu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Sediment Discharge Measurement in Mountain Stream using the Load-cell Sensor)

  • 서준표;이기환;김동엽;우충식;이창우;이헌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644-653
    • /
    • 2018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호우, 태풍 등의 영향으로 산사태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산사태를 예방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은 사방사업이다. 이러한 사방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산지에서 유출되는 토사량에 대한 정량적 측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산지계류에 Load-cell 센서를 설치하고, 분동테스트를 통하여 계류에서의 적용성과 재하 형태에 따른 출력값을 비교하였다. 개별 및 복합 하중시험을 실시한 결과, Site 1에서 평균 0.4kgf, Site 2에서 평균 0.6kgf 차이로 재하 형태의 영향은 낮게 나타났다. 또한 측정값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하중계수를 산정하였다. 하중계수를 Load-cell 측정 값에 적용하여 보정한 결과, 두 사이트에서 출력율이 각각 14.8%p, 24.6%p 상승하여 기준값에 근사하게 산정되었다. Load-cell 센서는 수위, 강우 등과 함께 시계열 분석을 통하여 산지 토사유출량을 정량적으로 산정할 수 있었다. 모니터링이 장기간 이루어진다면 산림유역에 대한 토사유출 매커니즘 구명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Load-cell과 같은 센서를 산지 계곡에 적용함으로써 계측센서 등 관련분야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문헌 및 위성영상에 기초한 북한의 산지토사재해 발생경향 및 복구사례 분석 (Analyzing the Occurrence Trend of Sediment-Related Disasters and Post-Disaster Recovery Cases in Mountain Regions in N orth Korea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Satellite Image Observations)

  • 김기대;강민정;김석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3호
    • /
    • pp.419-430
    • /
    • 2021
  • 이 연구는 1960년부터 2019년까지 북한에서 발생한 산지토사재해의 시공간적 발생경향과 일부 발생 및 복구 사례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북한의 산지토사재해 발생이력은 1995년(김정일 집권시기)부터 대외적으로 보고되기 시작하였고, 여름철 호우가 주된 유발요인으로 나타났다. 산림황폐율은 인구밀도와 밀접한 관련성(R2 = 0.4347, p = 0.02)을 보이며, 산림황폐율이 높은 서해안에서 산지토사재해 발생 보고건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위적 산림훼손이 산림황폐화의 주된 원인이며, 나아가 산지토사재해 발생에도 현저한 영향을 끼쳤음을 시사한다. 위성영상을 통해 표층붕괴, 토석류 및 땅밀림 발생이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산지토사재해는 일반산지뿐만 아니라 다락밭, 채석장, 임도, 산불피해지 등 산림훼손지에서도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피해지역은 복구사업의 시행 없이 존치되었지만, 일부 지역에서 산복 녹화공 등의 산지사방사업 또는 사방댐, 유도둑 등의 야계사방사업을 시행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산림복구 및 사방사업 분야의 남북 교류협력 확대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