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Policy

검색결과 577건 처리시간 0.04초

단기소득 임산물의 주산지 집적도에 관한 연구 (Spatial Aggregation on the Main Producing Area of Nontimber Forest Products)

  • 변승연;구자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1호
    • /
    • pp.106-115
    • /
    • 2021
  • 본 연구는 단기소득 임산물 주산지의 공간적 특성을 밝히기 위해 마련되었다. 산림청의 임산물생산조사 결과 중 시군구의 품목별 생산량을 기준으로 Moran's I 방법을 활용하여 주산지의 공간적 집적도와 그 변화를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단기소득 임산물의 45%의 주산지가 공간적으로 유의미하게 군집화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5대 주요 단기소득 임산물의 경우, 지난 10년간 주산지가 확대되었으며, 군집화 정도도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특정 임산물 산지종합유통센터 위치와 규모 확정 등 임산물 지원 정책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베트남 임산물 교역동향과 경쟁력분석 (Analyses of Trade Trends and Competitiveness of Korea and Vietnam in Forest Products)

  • 이상민;장철수;송성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2호
    • /
    • pp.281-291
    • /
    • 2013
  • 이 연구는 한국과 베트남의 임산물 교역동향 및 교역의 특징을 살펴보고 주요품목의 경쟁력을 분석하여 한-베트남 FTA 임산물협상에 있어 한국이 취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한-베트남 임산물 교역규모는 2011년 2억726만 달러에 달한다. 한국은 주로 베트남에 단기소득 임산물을 수출하고 있는 반면, 목재류를 수입하고 있다. 특히 최근 5년 평균 목재류 수입액은 한국의 대베트남 수입액 중 8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베트남 교역에 있어 수출 품목은 다양하지 않고 수출액은 적은 반면, 수입은 저부가가치 목제품을 위주로 대량 수입되고 있다. 한-베트남 임산물의 경쟁력 분석결과 한국의 임산물 중 경쟁력이 있는 품목은 3개 품목이나, 베트남은 11개 품목으로 나타났다. 교역구조 및 경쟁력 분석결과와 현행 관세율을 고려할 때 제재목, 합판 등을 민감품목으로 지정하여 관세인하를 최소화하고 관세인하 기간을 장기로 설정할 수 있는 방향으로 협상하도록 하여야할 것이다.

The Analysis on Forest Fire Occurrence Characteristics by Regional Area in Korea from 1990 to 2014 Year

  • Jeon, Bo Ram;Chae, Hee Mu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2권2호
    • /
    • pp.149-157
    • /
    • 2016
  • Understanding regional characteristics in forest fire occurrence is important to establish effective forest fire prevention policy in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forest fires occurred in 16 administrative districts for recent 25 years (1990~2014) to examine regional characteristics in forest fire occurrence. Forest fire occurrence reflects regional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climatic factors as well as region's society-cultural factors. Results showed that the first cause of forest fire occurrence was carelessness by human activities throughout all administrative districts, however, the second cause depends on regional characteristics. As the results of forest fire occurrence period analyzed for 10 days, the most forest fires occurred in the southern region during January to March, while forest fires in the northern region occurred mostly during March to April. We classified forest fire occurrence patterns into three types (centralized: Gyeonggi-do, dispersal: Busan, horizontally distributed: Gyeongsangnam-do) by multi-temporal analysis for forest fire occurrence period.

Analysis of Electroencephalogram and Electrocardiogram Changes in Adults in National Healing Forests Environment

  • Hong, Jae-Yoon;Lee, Jeong-Hee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575-589
    • /
    • 2018
  •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Electroencephalogram(EEG) and Electrocardiogram(ECG) depending on the healing environment in order to find a way to improve the forest healing program based on the healing environment in response to the demand for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program since the program is a charged service. This study selected eight sites running forest healing programs at four national healing forests (i.e., Saneum, Cheongtaesan, Daegwanryeng, and Jangseong) - two routes per national healing forest - considering forest environments. This study chose NUMBER standard sampling plots ($20{\times}20m$) and measured three atmospheric environment items, seven physical environment items, two soil environment items, and eight vegetation environment items including forest sound and anion at each plot to evaluate physiological changes in it. EEG and ECG, which have been widely used in forest healing evaluation, were utilized as criteria. Seventy three subjects were selected with taking the age, drug, caffeine, smoking, and the time of last meal into consideration. As a result, EEG changes were correlated with three atmospheric environment items, six physical environment items, one soil environment item, and two vegetation environment items. ECG chang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wo atmospheric environment items, six physical environment items, two soil environment items, and two vegetation environment items (p<.05). It is expected that 11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density, and altitude affecting EEG (e.g., alpha balance and gamma balance) and ECG (e.g., HRV mean) could be used as effective tools in developing more differentiated programs for improving healing effects.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산림 휴양 활동의 변화 요인 (Factors Affecting Changes in Forest Recreational Activiti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장주연;박소희;설아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4호
    • /
    • pp.711-723
    • /
    • 2021
  • 코로나19 발생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 등 제재로 인해 일상과 여가생활이 변화되면서 산림 휴양 활동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이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국내 산림 휴양 활동의 참여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파악하고 그 변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 성인 남녀 1,000명을 표본 추출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상호작용항을 포함하는 이항 로짓 모형을 이용하여 코로나19에 따른 산림 휴양 활동 참여의 변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코로나19 이후 산림 휴양 활동으로서 녹지공간 방문, 숲 야외활동, 산촌 여행에의 참여가 모두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세 유형의 산림 휴양 활동에서 20대보다 40~60대의 참여가 더 크게 감소하여 코로나19 이후 산림 휴양 활동 변화에서 연령이 가장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소득이 높을수록 코로나19 이후 숲 야외활동 참여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수도권 거주자들은 비수도권 거주자보다 산촌 여행 참여가 덜 감소하였다. 이것으로 볼 때 코로나19 이후 산림 정책은 2030세대의 새로운 산림 휴양 수요에 대응하고 안전한 야외 활동의 공간으로서의 산림과 산촌의 기능을 확대시키기 위한 정보의 제공과 공간관리가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Changes in Depression and Stress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through Participation in a Forest Therapy Program for Dementia Prevention

  • Hong, Jaeyoon;Park, Sujin;Lee, Jungwon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99-709
    • /
    • 2019
  • Various health and social issues related to the elderly are emerging in line with the rapid aging of the population. In particular, dementia currently has a prevalence of about 10 percent of the elderly population in South Korea, which increases financial and social burdens to not only individual patients but also their caring family. To assess the effects of participating in the forest therapy programs for dementia prevention, this study recruited participants aged 50 and above and tested their depression (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GDS) and stress response (Modified form of Stress Response Inventory; SRI-MF), which are emotional aspects of dementia. As a result, KGD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of 3.2 points from 8.4 to 5.2 points, and SRI-MF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of 7.2 points from 40 to 32.8 points, indicat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both. In addition, participants with minor depression and high level of stress in the pretes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SRI-MF for men, and the KGDS and SRI-MF for women. Furthermor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KGDS for participants in their 60s and in SRI-MF for those in their 70s in terms of age, and in both KGDS and SRI-MF for participants with chronic diseases and in KGDS for participants without chronic diseases.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s of forest therapy on the prevention of the emotional aspects of dementia and laid the groundwork for increasing the applicability of forest therapy by obtaining a place for dementia prevention as a field of forest therapy.

신 산림자원관리 패러다임에 대한 태도변화 연구 - 한국 산림청 공무원을 대상으로 - (Study on the Attitudinal changes of the Korea Forest Service Employees toward New Forest Resource Management Paradigm : 1993-2006)

  • 김용하;김세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3호
    • /
    • pp.237-248
    • /
    • 2008
  • 최근 일반 사회분야에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를 새롭게 설정해야 한다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확산되고 있으며, 산림분야에서도 산림생태계의 건강성에 중점을 둔 새로운 산림관리 패러다임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대두되고 있는 새로운 환경 패러다임과 산림자원관리 패러다임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실제 산림정책 의사결정에 있어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한국 산림청 간부 및 일반직원들이 이들 패러다임에 대해 어떤 태도를 가지고 있고 지난 1993년과 2006년도 사이에 시계열적으로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산림청 간부 및 일반직원의 태도는 새로운 환경 패러다임과 산림자원관리 패러다임을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조사시점에서 두 집단간의 태도의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시계열적으로는 1993년에 비해 2006년도 조사에서 그 지향 강도가 다소 약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새로운 산림자원관리 패러다임에 대한 산림청의 정책입장은 '93년에 비해 새로운 패러다임 방향으로 변화되었으나 아직도 그 반영 수준은 미흡하며 간부 및 일반직원들의 개인적 지향점과는 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산림기본법 시대를 맞아 국제적으로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의 이행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하에서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산림청의 정책지향 방향, 조직원들의 산림자원관리 방식에 대한 기본적 가치, 태도 등을 어떻게 변화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불법목재의 교역 제한 조치가 국내 목재 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Influences on Domestic Wood Market by Prohibiting Illegal Wood Products Trade)

  • 김동현;박현;이호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7권3호
    • /
    • pp.305-315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목재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불법목재의 교역을 제한하는 제도 시행에 앞서 국내 목재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나리오 작성을 위해 부패인식지수를 활용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균형대체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정책실험을 수행하였다. 원목의 균형가격 변화율은 0.066%~0.071% 범위에서 상승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원목가격의 상승은 파생수요의 관계에 있는 제재목의 생산비에 반영되어 제재목의 공급량을 감소시킨다. 상품유형별로 대체효과에 의한 국산재 수요 확대와 국내 가격상승에 의한 공급량 확대를 감안하여 분석한 결과, 국산 제재목 가격 변화율의 범위는 0.885%~4.179%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에 따라 국산 제재목의 공급량은 적어도 5.367% 증가될 것으로 나타났다.

동태적 접근을 통한 임가의 소득과 소득불평등 간의 관계 분석 (Using a Dynamic Approach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Forest Household Income and Income Inequality)

  • 김의경;김대현;김동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1호
    • /
    • pp.99-108
    • /
    • 2020
  • 이 연구는 소득과 불평등 간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임가의 소득과 소득불평등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동태적 접근법을 통해 그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단위근 검정과 공적분 검정을 실시한 후 불안정한 시계열 자료를 안정적인 시계열 자료로 변환시킨 후 VAR 모형을 추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충격반응, 분산분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임가 소득의 영향이 지니계수에 의한 영향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가 소득의 충격이 자체 소득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지니계수를 감소시키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니계수의 충격은 임가 소득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며 소득불평등을 더욱 심화시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임가 소득불평등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소득분배 정책보다는 소득성장 정책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을 것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산림경관관리 방향 설정을 위한 지자체 관리자 의식분석 (Study on the Local Officials' Awareness for Direction of Forest Landscape Management)

  • 김재준;박찬우;강민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4호
    • /
    • pp.603-610
    • /
    • 2010
  • 본 연구는 산림경관에 대한 관심과 중요도가 증가함에 따라 체계적인 보존 형성 관리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찾기 위하여 현장에서 관리주체가 되는 지자체 관리자를 대상으로 산림경관에 대한 인식, 경관관리 현황, 경관관리를 위한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응답한 105명의 지자체 관리자들은 산림경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산림경관계획 수립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었지만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경관관련 각종 정보 및 제도적 장치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요도-성취도 분석을 통해 '지속유지' 속성 4개, '노력 집중화 지향' 속성 4개, '낮은 우선순위' 속성 3개, '과잉노력 지양' 속성 4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경관관리 방향이 설정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