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Information Map

검색결과 366건 처리시간 0.041초

Developing application system of forest information using digital photogrammetry and GIS

  • Jo, Myung-Hee;Heo, Young-Jin;Kim, Joon-Bum;Kim, In-H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911-913
    • /
    • 2003
  • Recently in order to process forest official task more effectively and scientifically the previous of that which is focused on document and inventory, should be applied with the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Especially, the forest information remote sensing system has to be developed using digital photogrammetry and GIS. In this study the forest information remote sensing system is implemented to manage forest resource and forest official effectively especially by constructing database of forest environment information and cadastral information, overlaying various thematic maps, and performing spatial analysis using GIS and aerial photograph. For this, the attribute data and spatial data of aerial photograph, digital topography map, forest cadastral map, forest type map, forest use map should be reprocessed and stored in Oracle. Also, the user interface is developed by using Visual Basic 6.0 and MapObjects 2.1 of ESRI based on CBD(Component Based Development).

  • PDF

GIS 기반 산지이용구분도 작성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IS-based Method of Building Digital Forest Land-Use Map)

  • 박영규;권순덕;송철철;권대순;이종학;김형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46-57
    • /
    • 2006
  • 연구에서는 2007년 고시예정인 산지이용구분도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작성하기 위하여 GIS에 기반한 산지이용구분도 작성방법을 수립하였다. 산지이용구분도 작성절차는 임지추출 및 보완, 법정용도지역 구분, 기타 보전 및 준보전산지 구분, 지적기반 수치산지이용구분도 작성, 산지이용구분도(안) 편집 및 출력, 검수 및 보완 등 6단계로 구성하였다. 수립된 작성절차를 적용하여 경기도 화성시 지역을 대상으로 축척 1:25,000 14도엽 및 1:5,000 173도엽의 산지이용구분도와 산지이용구분대장을 작성하였다.

  • PDF

1:25,000 수치임상도 제작체계 표준화 연구 (Study on the Standard for 1:25,000 Scale Digital Forest Type Map Production in Korea)

  • 김경민;김철민;전은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43-151
    • /
    • 2009
  • 임상도는 산림자원이 어디에 어떻게 얼마나 분포하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산림지도로 전국 산림에 대해 임상, 영급, 경급, 소밀도 등 다양한 산림정보를 제공하여 산림정책 수립의 주요한 자료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토지적성평가, 생태자연도 제작 등 다양한 분야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최초의 수치임상도는 1차 NGIS 사업을 통해 제작되었는데 당시 수치임상도제작 표준의 부재로 도엽 간 경계 및 속성 불일치 등 여러 가지 유형의 오류가 발생하였다. 또한 임상도의 제작시기, 항공사진 촬영시기, 속성 설명 등 임상도에 관한 보다 자세한 정보를 알기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수치임상도 DB 설계부터 수치화, 메타데이터 입력, 품질관리 등의 수치임상도 전 제작과정을 3단계 33개 단위 공정으로 구조화하고 이를 최적화하여 표준화한 수치임상도 표준제작체계를 개발하였다. 본 수치임상도 표준제작체계를 토대로 전국 수치임상도를 일관된 품질로 제작하고 수치임상도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표준메타데이터를 통해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 PDF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와 임상도를 이용한 지상부 바이오매스의 공간규모 확장 (Spatial Upscaling of Aboveground Biomass Estimation using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and Forest Type Map)

  • 김은숙;김경민;이정빈;이승호;김종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3호
    • /
    • pp.455-465
    • /
    • 2011
  •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산림의 탄소저장 능력을 정량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연구가 국내외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상부바이오매스의 공간적 분포현황을 제공하기 위해 국가산림자원조사 표본점 단위로 계산된 지상부바이오매스를 임상도를 이용하여 공간규모를 확장(upscaling)하는 기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세/준우세목 수고와 수관 밀도를 설명변수로 하는 지상부바이오매스 회귀모델과 영급을 설명변수로 하는 우세/준우세목 수고 회귀모델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 회귀모델들과 임상도 속성정보(수종, 수관밀도, 영급)을 결합하여 지상부 바이오매스 공간분포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단양군 산림의 지상부바이오매스는 6,606,324 ton으로 추정되었고, 표본점 기반 통계에 의한 추정치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도를 활용하는 본 기법은 손쉽게 대면적에 대한 바이오매스를 추정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 임상도의 주요 속성이 범주형이기 때문에 산림바이오매스 공간 변이의 세밀한 추정에는 한계가 있었다.

RESEARCH AND DEVELOPMENT OF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AND FOREST STRATIFICATION METHOD OF FOREST AREA USING GIS

  • Jo, Myung-Hee;Cho, Kwang-Hyu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7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7
    • /
    • pp.215-218
    • /
    • 2007
  • Recently, information-oriented whole domain and scientific management method for nation-wide territory is widly being used due to the remarkable development such as GIS and RS. In addition to this, request for analyzing forest spatial information has been increasing to manage forest resources efficiently. Although forest information using satellite image and GIS has been built to analyze a large amount of forest information scientifically, there are many difficulties to gather information because normally forest area is large and difficult to access.. This research uses high resolution satellite and digital aerial photograph around Kyungju city area to classify forest area, and stratifies forest area through a spot survey and a comparison of sample area. It will be possible for us to draw a more detailed map of forest area than 1/25000 map of forest area through these works.

  • PDF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와 임상도를 이용한 경기지역 산림의 임분재적 공간분포 추정 (Estimat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Forest Stand Volume in Gyeonggi Province using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and Forest Type Map)

  • 김은숙;김경민;김종찬;이승호;김성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6호
    • /
    • pp.827-835
    • /
    • 2010
  • 기후변화협약 대응을 위한 산림의 임목축적량과 변화량 탐지의 측면에서 국가산림자원조사는 신뢰성있는 산림통계량을 산출하기 위한 기반자료로서의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정보들이 아직 행정구역단위 통계로만 산출되고 있어 산림 통계량의 공간적 분포와 같은 정보를 제공해주지는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해 임상특성별 임분재적 추정모델을 개발하고, 임상도와 통합하여 임분재적의 공간분포를 추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산림의 임분재적 추정모델 개발을 위해 연구대상지에 포함된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표본점별 임분재적과 흉고단면적합을 산출하고, 표본점의 임황정보(수종, 경급, 영급, 소밀도)를 모델개발에 활용했다. 결과적으로 수종, 영급, 소밀도 기준에 따른 임분재적 모델이 구축되었으며, 본 모델을 임상도에 적용해 임분재적 주제도와 불확실성 주제도를 제작했다. 임분재적 주제도에 의한 연구대상지의 평균 임분재적은 85.7 $m^3$/ha이며, 95% 신뢰구간을 고려했을 때 약 79.7~91.8 $m^3$/ha 구간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gent-Based Load Balancing Method for Web GIS Services; Web-Based Forest Fire Management System

  • Jo, Yun-Won;Jo, Myung-Hee;Oh, Jeong-Soo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59-368
    • /
    • 2001
  • The prototype of forest fire management system on Web was studied. In the architecture of this system,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cerns is to handle load upcoming to Web Server so that it provides Web service without any delay or failu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agent is designed on dispatcher in a Web server cluster and implemented to distribute load dynamically by consider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load coming to the Web Server such as the number of connection to the Map Server. The proposed forest fire management system has user-friendly interface with the GIS mapping functionality by selecting Map Objects Internet Map Server (MO IMS) as Map Server and is implemented using Java as programming language.

산사태 발생지 예측을 위한 Topographic Position Index의 적용성 연구 (Study on Application of Topographic Position Index for Prediction of the Landslide Occurrence)

  • 우충식;이창우;정용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9
    • /
    • 2008
  •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10 know the relation of landslide occurrence with using TPI (Topographic Position Index) in the Pyungchang County. Total 659 landslide scars were detected from aerial photographs. To analyze TPI, 100m SN (Small-Neighborhood) TPI map, 500m LN (Large-Neighborhood) TPI map, and slope map were generated from the DEM (Digital Elevation Model) data which are made from 1 : 5,000 digital topographic map. 10 classes clustered by regular condition after overlapping each TPI maps and slope map. Through this process, we could make landform classification map. Because it is only to classify landform, 7 classes were finally regrouped by the slope angle information of landslide occurrence detected from aerial photography analysis. The accuracy of reclassified map is about 46%.

고해상도 정사위성영상을 이용한 임상도 수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on the Forest Map Update Using Orthorecified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ry Data)

  • 성천경;조정호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4년도 GIS/RS 공동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71-577
    • /
    • 2004
  • 다중분광 해상도를 가진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이용으로 인해, 임상도 제작 부분에 있어 기존 전통적인 방법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어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임상도 수정이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1m 공간해상도와 4밴드의 분광해상도를 가진 고해상도 인공위성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작된 임상도에 있어 일부 수정 부분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고해상도 위성영상이 차후 효과적인 임상도 수정에 사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PDF

1:5,000 산림입지토양도의 제작과 활용 및 향후 발전 방향 (The 1:5,000 Forest Soil Map: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 권민영;김가은;정진현;최창은;박관수;김춘식;손요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4호
    • /
    • pp.479-495
    • /
    • 2021
  • 산림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산림입지환경에 대한 종합 데이터베이스의 기반이 되는 산림입지토양도가 필요하다. 국내에서 그동안 1:25,000 산림입지도가 제작되어 사용되어왔으나 높은 정밀도와 개별 목적에 특화된 산림입지정보를 갖춘 대축척 산림입지토양도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2009년부터 2021년까지 1:5,000 축척의 산림입지토양도 제작사업이 진행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 1:5,000 산림입지토양도 제작 과정과 주요 결과, 활용 방안과 향후 발전 방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산림입지토양도 제작은 표준매뉴얼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조사 및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토양형, 토심, 토성별 전국 단위 지도가 작성되었다. 산림입지토양도 자료는 다양한 주제도 제작의 기초가 되며, 산림재해의 방지 및 예측과 환경용량 평가 등에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앞으로 산림경영 선진화와 디지털 사회로의 전환에 맞추어 산림입지토양도의 제작 방법을 발전시키고 그 활용방안도 다각화시킬 필요도 있다. 이를 바탕으로 국가 산림기본계획 목표 달성을 위한 다양한 정보 제공, 산림 빅데이터 확보 및 국가 발전 계획에 상응하는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의 실현 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