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Basic Statistics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34초

An Impact Analysis and Prediction of Disaster on Forest Fire

  • Kim, Youn Su;Lee, Yeong Ju;Chang, In Hong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34-40
    • /
    • 2020
  • This study aims to create a model for predicting the number of extinguishment manpower to put out forest fires by taking into account the climate, the situation, and the extent of the damage at the time of the forest fires. Past research has been approached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 forest fire or to predict the occurrence of a forest fire. How to deal with forest fires is also a very important part of how to deal with them, so predicting the number of extinguishment manpower is important. Therefore predicting the number of extinguishment manpower that have been put into the forest fire is something that can be presented as a new perspective. This study presents a model for predicting the number of extinguishment manpower inputs considering the scale of the damage with forest fire on a scale bigger than 0.1 ha as data based on the forest fire annual report(Korea Forest Service; KFS) from 2015 to 2018 using the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weather factors and extinguished time considering the damage show that affect forest fire extinguishment manpower.

GIS 및 산림기본통계를 이용한 산림정보지도 제작 (Forest Information Mapping using GIS and Forest Basic Statistics)

  • 박준규;이종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370-377
    • /
    • 2018
  • 현재 우리나라는 산림선진국(독일, 일본, 오스트리아 등)과 비교해도 부족하지 않을 만큼 산림경영, 산림조사 및 산림관리 등 산림분야에서 앞서 나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체계적이며, 고도화된 산림관리 방안 수립 및 관련 연구는 부족하고, 실질적이면서 복합적인 분석을 위한 GIS로의 구축도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림분석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GIS를 기반으로 산림기본통계자료(2010년, 2015년)를 지도화하여 산림정보지도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세부 행정구역별 산림면적, 임목축적, 평균임목축적, 산림률을 시각적 효과가 극대화된 지도로 제작할 수 있었으며, 시계열적인 변화 또한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산림면적은 고성군, 세종특별시, 철원군, 연천군, 대전광역시 동구, 서울특별시 구로구에서만 증가하고, 그 이외 지역에서는 모두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임목축적은 대부분 지역에서 증가한 반면, 2011년 산불피해를 입은 울진군을 비롯하여 울릉군, 서울특별시 노원구, 서울특별시 강동구, 서울특별시 중구에서만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평균임목축적은 4개 행정구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산림률의 경우 고성군, 연천군, 공주시, 부산광역시 동구, 대구광역시 서구 등 10개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보다 소규모의 행정구역과 더 많은 시기를 대상으로 산림정보지도를 제작하고 분석을 진행할 예정이다.

부트스트랩을 이용한 소나무의 목재기본밀도 추정 및 평가 (Use of a Bootstrap Method for Estimating Basic Wood Density for Pinus densiflora in Korea)

  • 표정기;손영모;김영환;김래현;이경학;이영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3호
    • /
    • pp.392-396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부트스트랩 시뮬레이션(Bootstrap simulation)을 이용하여 소나무의 목재기본밀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소나무의 목재기본밀도는 생태형에 따라 강원지방소나무와 중부지방소나무의 자료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비모수통계 방법의 하나인 부트스트랩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하여 추정된 목재기본밀도는 강원지방소나무에서 0.418($g/cm^3$), 중부지방소나무에서 0.464($g/cm^3$)으로 나타났다. 부트스트랩 시뮬레이션에서 100, 500, 1,000, 5,000번 반복 시행한 결과에 의하면, 모수 추정치의 95%신뢰구간은 일정한 수치로 나타난 반면에, 표본오차는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로 제시된 목재기본밀도 추정치는 기존의 계수에 대한 단점을 보완하고, 신뢰성 높은 목재기본밀도 추정치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Brief history of Korean national forest inventory and academic usage

  • Park, Byung Bae;Han, Si Ho;Rahman, Afroja;Choi, Byeong Am;Im, Young Suk;Bang, Hong Seok;So, Soon Jin;Koo, Kyung Mo;Park, Dae Yeon;Kim, Se Bin;Shin, Man Yong
    • 농업과학연구
    • /
    • 제43권3호
    • /
    • pp.299-319
    • /
    • 2016
  • The National Forest Inventory (NFI) is important for providing fundamental data for basic forest planning and the establishment of forest policies for the purpose of implementing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evelopment of Korea's NFI including legal basis, sampling design, and measured variables and to review the usage of NFI data. The survey methods and forestry statistics among the Unites States, Canada, Japan, China, and European countries were briefly compared. Total 140 publications utilizing NFI data between 2008 and 2015 were categorized with 15 subjects. Korea has conducted the NFI 6 times since 1971, but only the $6^{th}$ NFI is comparable with the fifth, the previous NFI, because the permanent sampling plots have been shared between the periods. The Korean Forestry Statistics contains only half as many variables as that of advanced countries in Forestry. More researches were needed to improve consistent measurement of diverse variables through implementation of advanced technologies. Additional data for Forest Health Monitoring since the NFI $6^{th}$ must be under quality control which will be an essential part of the inventories for providing the chronological change of forest health.

Households' Characteristics, Forest Resources Dependency and Forest Availability in Central Terai of Nepal

  • Panta, Menaka;Kim, Kyehyun;Lee, Cholyoung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5호
    • /
    • pp.548-557
    • /
    • 2009
  • For centuries, forests have been a key component of rural livelihood. They are important both socially and economically in Nepal. Firewood and fodder are the basic forest products that are extracted daily or weekly basis in most of the rural areas in Nepal. In this study, a field survey of 100 household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egree of forest dependency and forest resource availability, households' livelihood strategy and their relationship with forest dependency in Chitwan, Nepal. A household' response indexes were constructed, Gini coefficient, Head Count Poverty Index (HCI) and Poverty Gap Index (PGI) were calculated and one way ANOVA test was also performed for data analysis. Data revealed that 82/81% of all households were constantly used forest for firewood and fodder collection respectively while 42% of households were used forest or forest fringe for grazing. The Forest Product Availability Indexes (FPAI) showed a sharp decline of forest resources from 0.781 to 0.308 for a 20-yr time horizon while timber wood was noticeably lowered than the other products. Yet, about 33% of households were below the poverty threshold line with 0.0945 PGI. Income distribution among the household showed a lower Gini coefficient 0.25 than 0.37 of landholdings size. However, mean income was significantly varies with F-statistics=246.348 at P=0.05 between income groups (rich, medium and poor). The extraction of firewood, fodder and other forest produc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income group with F-statistics=16.480, 19.930, 29.956 at P=0.05 respectively. Similarly, landholdings size and education we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income groups with F-statistics=4.333, 5.981 at P=0.05 respectively.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income status of households was the major indicator of forest dependency while poor and medium groups were highly dependent on the forests for firewood, fodder and other products. Forest dependency still remains high and the availability of forest products that can be extracted from the remaining forestlands is decreasing. The high dependency of households on forest coupled with other socioeconomic attributes like education, poverty, small landholders and so on were possibly caused the forest degradation in Chitwan.Therefore, policy must be directed towards the poor livelihood supporting agenda that may enhance the financial conditions of rural households while it could reduce the degree of forest dependency inspired with other income generating activities in due course.

에어비앤비(Airbnb) 웹 로그 데이터를 이용한 고객 행동 예측 (Consumer behavior prediction using Airbnb web log data)

  • 안효인;최유리;오래은;송종우
    • 응용통계연구
    • /
    • 제32권3호
    • /
    • pp.391-404
    • /
    • 2019
  • 그동안의 고객 행동에 대한 예측은 주로 고객이 가지는 고정적인 특성을 이용해왔다. 최근에는 점차 고객들의 활동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이동하면서 각 고객의 웹 로그를 추적하는 일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방대한 양의 웹 로그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게 된 반면, 이에 대한 연구는 로그 데이터를 정리하거나 기술적인 특성만을 설명하는 것에 그쳤다. 본 연구에서는 웹사이트 Kaggle에서 제공하는 Airbnb 고객들의 성별, 연령 등의 기본 정보 및 웹 로그가 포함된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첫 숙소 예약까지 걸리는 개인의 의사 결정 시간을 예측하였다. Lasso, SVM, Random Forest, XGBoost 등 다양한 방법론을 활용하여 최적의 모형을 찾고, 웹 로그 데이터의 유무에 따른 예측 오차를 비교하여 웹 로그의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오분류율이 약 20%로 낮은 랜덤 포레스트 분류모형을 최적모형으로 선택하였다. 또한, 웹 로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고객 개개인의 행동을 예측한 결과 사용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해 예측의 정확도가 최대 두 배 더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협업체(協業體) 운영(運營)에 대한 참여산주(參與山主)들의 인식(認識)과 정책적(政策的) 추진실태(推進實態)에 관한 분석(分析) (An Analysis on The National Project to Promote Management of Private Forest Management Cooperatives : Actual State of Its Management and Cognition of Its Members)

  • 정주상;박은식;김규헌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3호
    • /
    • pp.487-495
    • /
    • 1996
  • 이 연구는 사유림의 영세성 극복과 경영활성화를 위해 국가정책사업(國家政策事業)으로 추진되고 있는 협업경영사업의 실태를 조사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협업체 관련 통계자료, 법규 및 문헌 자료들을 검토 및 분석하고, 협업체 관련 공무원과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면담조사(面談調査)를 실시하였다. 또한 우편설문조사를 통해 협업체에 가입한 산주들의 협업체 운영실태에 대한 인식(認識) 현황(現況)을 조사하였다. 설문의 내용은 참여 산주들의 산림경영현황과 협업경영에 대한 일반적 태도를 중심으로 작성하였다. 조사결과 50% 이상의 응답자들이 임업경영에 대해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으며, 대다수 응답자들이 협업체의 협업경영 활동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지니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존 협업체 관련 통계자료들을 통해 전국의 협업체 수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협업체의 수적(數的) 증가(增加)는 개별 협업체에 대한 정부지원액의 감소를 야기(惹起)하여 오히려 경영여건을 악화시키고 있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 외에도 기존의 협업경영 관련 법규들중 몇 가지 점들은 개별 협업체들의 발전에 부적합(不適合)한 것으로 지적되었다.

  • PDF

확률밀도함수를 이용한 목재수확조절법 연구 (Study on Timber Yield Regulation Method using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 박정묵;이정수;이호상;박진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4호
    • /
    • pp.504-511
    • /
    • 2020
  • 본 연구는 확률밀도함수를 이용한 목재수확예측기법으로 면적가중치법(AW), 면적비율가중치법(ARW), 표본면적변화율가중치법(SCRW)를 적용하여 전국 국유림의 산림경영계획 목표량 설정을 위한 벌채계획량을 추정하였다. 벌채계획량 추정을 위한 산림면적은 산림기본통계의 2010년, 2015년의 영급별 국유림면적을 이용하였으며, 5년간의 산림면적변화량을 벌채면적으로 가정하여 산출하였다. AW, ARW, SCRW를 이용한 벌기령의 평균은 각각 5.41, 5.56, 5.37로 V~VI영급수준으로 산출되었다. 벌채면적은 각각 594,462 ha, 586,704 ha, 580,852 ha로 SCRW가 실제 면적변화량과 가장 유사하였으며, Chi-square 검정도 SCRW이 가장 안정적으로 분석되었다. 산림경영계획의 목재수확예측을 위한 방법으로 SCRW가 AW와 ARW보다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예측적 공간 데이터 마이닝을 이용한 산불위험지역 예측 (Prediction of Forest Fire Hazardous Area Using Predictive Spatial Data Mining)

  • Han, Jong-Gyu;Yeon, Yeon-Kwang;Chi, Kwang-Hoon;Ryu, Keun-Ho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9D권6호
    • /
    • pp.1119-1126
    • /
    • 2002
  • 이 논문에서는 공간적 통계기법에 근거한 예측적 공간 데이터 마이닝 방법을 제안하고, 산불위험지역을 예측하는데 적용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조건부 확률과 우도비를 이용한 방법으로 과거 산불발생지역에 대해 산불과 관련된 공간데이터 집합들 사이의 정량적 관계에 의존적인 예측 모델이다.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산불위험지역 예측도를 만들고, 각 모델의 예측력을 평가하기 위해 산불위험율(FHR : Forest Fire Hazard Rate)과 예측률곡선(PRC : Prediction Rate Curve)을 이용하였다. 제안된 두 가지 예측모델의 예측력 비교분석 결과, 우도비 방법이 조건부 확률 방법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논문에서 제안된 산불위험지역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작성된 산불위험지역 예측도는 산불예방과 산불감시장비 및 인력의 효율적인, 배치 등 산불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위성영상과 임상통계를 이용한 충남해안지역의 기후변화에 따른 임상 변화 (Changes of the Forest Types by Climate Changes using Satellite imagery and Forest Statistical Data: A case in the Chungnam Coastal Ares, Korea)

  • 김찬수;박지훈;장동호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4호
    • /
    • pp.523-538
    • /
    • 2011
  •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s in the surface area of each forest cover, based on temperature data analysis and satellite imagery as the basic methods for the impact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on regional units. Furthermore, future changes in the forest cover are predicted using the double exponential smoothing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shown an overall increase in annual mean temperature in the studied region since 1990, and an especially increased rate in winter and autumn compared to other seasons. The multi-temporal analysis of the changes in the forest cover using satellite images showed a large decrease of coniferous forests, and a continual increase in deciduous forests and mixed forests. Such changes are attributed to the increase in annual mean temperature of the studied regions. The analysis of changes in the surface area of each forest cover using the statistical data displayed similar tendencies as that of the forest cover categorizing results from the satellite images. Accordingly, rapid changes in forest cover following the increase of temperature in the studied regions could be expe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of the forest cover surface using the double exponential smoothing method predict a continual decrease in coniferous forests until 2050. On the contrary, deciduous forests and mixed forests are predicted to show continually increasing tendencies. Deciduous forests have been predicted to increase the most in the future. With these results, the data on forest cover can be usefully applied as the main index for climate change. Further qualitative results are expected to be deduced from these data in the future, compared to the analys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ree species of forest and climate f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