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검색결과 17,405건 처리시간 0.043초

아동의 숲에 대한 태도와 공격성의 관계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Toward Forest and Aggression in Young People)

  • 손지원;하시연;김재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1호
    • /
    • pp.74-81
    • /
    • 2013
  • 본 연구는 숲에 대한 태도 척도와 공격성 척도를 활용해 초등학생의 숲에 대한 태도와 인식을 살펴보고 숲에 대한 태도와 공격성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숲에 대한 태도의 구체적인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숲에 대한 흥미', '숲의 보호 및 중요성' 두 개 요인으로 나타났다. 요인의 집단 간 평균비교 결과 학생들은 숲을 흥미로운 장소로 인식하기보다 숲을 보호해야 하는 중요한 공간으로 인식하였다. 숲에 대한 태도와 공격성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숲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공격성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숲에 대한 태도에서는 '숲의 보호 및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성을 보였고 공격성 중에서는 특히 행동공격성이 숲에 대한 태도와 관련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후변화 대비 강원 지역 산림부문 현황 분석 및 취약성 평가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Analysis of Gangwon Provincial Forest Sector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 채희문;이현주;엄기증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8권2호
    • /
    • pp.106-117
    • /
    • 2012
  • In an effort to analyze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Gangwon provincial forest was divided into three sectors; forest ecology, forest disaster, and forest productivity and analysis of their current status from 2000 to 2009 and vulnerability assessment by climate change has been carried in this study. In case of vulnerability assessment, except for the forest ecology, forest disaster (forest fires and forest pests) and forest productivity sectors were analyzed in current status, the year of 2020, and 2050. It turned out that vulnerability of forest fires in the field of disaster would become worse and forest pests also would make more impact even though there is some variation in different areas. In case of the vulnerability of forest productivity there would be not a big difference in the future compared with current vulnerability. Systematic research on the sensitivity index used for vulnerability assessment is necessary since vulnerability assessment result greatly depends on the use of climate exposure index and adaptive capacity index.

Vegetation Type Effects on Nutrient Status and Stoichiometry of the Forest Floor in Southern Korea

  • Choonsig Kim;Nam Jin Noh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40권1호
    • /
    • pp.9-14
    • /
    • 2024
  • Quantitative evaluation of nutrient status and stoichiometry on the forest floor is a good indicator of litter quality in various vegetation typ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vegetation type on the nutrient concentration and stoichiometry of forest floors at a regional scale. Forest floo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four vegetation types of evergreen coniferous forests including Cryptomeria japonica, Chamaecyparis obtusa, evergreen broadleaf, and bamboo spp. forests in southern Korea. The dry weight of the forest floor was higher in the C. japonica and C. obtusa forests than in the evergreen broadleaf and bamboo forests. The mean carbon (C) concentrations of the forest floor were highest in the broadleaf forest, followed by the bamboo forest, C. japonica and C. obtusa forests. Mean nitrogen (N) and phosphorous (P) concentrations in the the coniferous forests were lower than those in the broadleaf and bamboo forests. The mean C:N ratio was the highest in C. obtusa forest (118±25), followed by C. japonica (66±6), evergreen broadleaf (41±1), and bamboo (30±1) forests. However, C:P and N:P ratios were lower in the coniferous forests than in the broadleaf forest indicating that the stoichiometry of the forest floor varies across vegetation types. The C, N, and P stocks on the forest floor were higher in the C. obtusa forest than in the broadleaf or bamboo forests. These results highlight that vegetation type-dependent stoichiometric ratio is an useful indicator for understanding interspecific difference in quality and quantity of the forest floor.

선도산림경영단지의 산주참여 확대 방안 (Measures for Activating Participation of Private Forest Owners in Leading Forest Management Zone)

  • 김영환;배재수;조민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4호
    • /
    • pp.441-449
    • /
    • 2017
  • 사유림 경영 활성화를 위해서는 산주들의 참여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선도산림경영단지 내 산주들의 참여를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도산림경영단지 내 산주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여 참여수준을 파악하고 Arnstein의 주민참여 8단계 이론을 적용하여 산주들의 참여수준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선도산림경영단지 산주들의 참여수준은 형식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의사결정 과정에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도적으로 산주들이 단지 운영을 위한 의사결정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산주협의체를 제도화하고 선도산림경영단지 산림경영 담당자와의 파트너십 체결을 제안하였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단지 운영에 적극적인 일부 소재 산주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함으로써 전체 선도산림경영단지 참여 산주들의 의견을 대표하는 데에는 다소 한계가 있다.

임도 시설에 따른 접근성 개선 및 산림작업비용 절감효과(I) - 조림 및 숲가꾸기 작업을 중심으로 - (Effect of Forest Road Network on Accessibility and Cost Reduction for Forest Operations (I) - Silvicultural Operations -)

  • 황진성;지병윤;정도현;조민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4호
    • /
    • pp.615-621
    • /
    • 2015
  • 본 연구는 산림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 5개 지방청 8개 경영계획구를 대상으로 조림 및 숲가꾸기 작업에서 임도시설 전 후의 접근성과 산림작업비용의 절감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임도 및 공도로부터 500 m 이내의 사업실행 면적이 임도 시설 전 평균 28.5%에서 임도 시설 후 평균 90.3%로 약 3.2배 증가하였으며, 임도 시설에 따른 조림 및 숲가꾸기 작업에서의 산림작업비용 절감효과는 평균 576천원/km/년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도시설이 원활한 산림작업을 위한 접근성 개선 및 작업비용 절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도의 시설효과 분석을 통해 임도 확충 정책의 추진을 위한 기초자료의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GIS를 이용한 산불발생위험지역 구분 (Classification of Forest Fire Occurrence Risk Regions using GIS)

  • 이시영;안상현;원명수;이명보;임태규;신영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37-46
    • /
    • 2004
  • 산불로 인한 재해를 미연에 방지하고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산불발생위험지역을 사전에 파악하여 예방대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불발생인자에 따른 산불발생위험지역을 구분하고자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발생한 산불피해지역에 대하여 임상, 지형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된 요인들 간 독립성 유무를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산불발생과 관련 있는 7개의 주제도를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주제도률 조건부확률과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산불발생확률을 계산하였다. 계산된 산불발생확률을 20개 등급으로 지수화하여 산불발생위험지역을 구분하였다.

  • PDF

산지은행제도의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roduction Plans of Forest Land Bank System)

  • 김종호;김원경;권순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3호
    • /
    • pp.503-511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효율적인 산림경영과 고령산주의 생활안정지원을 위한 산지은행제도의 도입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산지은행제도는 분산된 소규모 산림, 산주의 고령화 및 부재산주 증가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유사제도인 농지은행제도의 사업에 대한 검토 및 비교를 토대로 산지은행제도의 개념 및 기본방향, 산지은행의 주요기능 및 사업종류와 범위 설정, 산지은행제도 도입 우선순위 등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산지은행의 주요 사업으로는 산지를 수탁 받아 산주 등에게 중개 알선하는 산지임대차 및 매도수탁사업, 고령 산주의 안정된 노후생활 보장을 위한 산지연금사업, 소규모로 분산된 사유림을 규모화 집단화하여 사유림 경영을 활성화하고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유도하기 위한 산지규모화사업, 경영위기에 처한 임가의 경영회생을 지원하기 위한 경영회생지원사업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산지은행제도 도입 및 사업운영을 위한 문제점과 시행착오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농지은행제도를 통한 시사점과 산지은행제도 도입 및 운영 시 제기될 수 있는 주요 과제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산지은행제도의 기본방향을 설정하고 정책을 수립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Collective Forest Management System in Japan: a Case Study in Osawa Property Ward Forest

  • De Zoysa, Mangala Premakumara;Inoue, Makoto;Yamashita, Utako;Hironori, Okuda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9권1호
    • /
    • pp.58-70
    • /
    • 2013
  • Iriai an Indigenous forest management system in Japan from the viewpoint of "common pool resources" was a success resilient institution and resulted with sustainable production system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sawa of the Nagano prefecture through group discussions, field observations and an in-depth field survey. Osawa Property Ward Forest is managed under the concept very much similarly to traditional "Iriai". This study firstly examined the changes of collective forest management system in terms of awareness and interest in forest management; forest management activities; role of forest; and collection of forest products. Then it analyzed the current threats for collective forest management have been identified as: land abandonment due to loss of benefits and lack of active community participation; deterioration of forest environment particularly the micro-climate and aesthetic values; conflict with local government authorities restraining the use of money in property ward forest and conflict with outsiders on damping of the garbage. Community cantered forestry management rules; livelihood contribution; protection of environment; local initiatives for protection and economic activities are the prevailing opportunities for collective forest management. The main requirements for revitalization of collective forest management are explained as local reciprocity; imposition of community based forest rules; encouraging local innovations; and building partnerships with stakeholders. Collective forest management system addresses the limitations of conventional forestry models, which had invalidated traditional 'iriai' institutions, and key to restoring sustainable use of forest and environmental resources. Cross-institutional collaborations together with responsibilities of local communities would ensure the revitalization of forest resources.

잣나무 임분밀도에 따른 피톤치드 농도 및 임내환경 특성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Phytoncide Concentration and Micrometeorology Factors by Pinus Koraiensis Stand Density)

  • 조예슬;박수진;정미애;이정희;유리화;김철민;이상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05-216
    • /
    • 2018
  • Objectives: Scientific verification for health effects has been constantly demanded through the forest healing factors. In this study, phytoncide concentration which is one of the forest healing factors,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stand density, season and visiting time, and analyzed correlation with micrometeorology factors. Methods: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TVOCs) and Natur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NVOCs) were collected using a measuring instrument which is connected to an air pump with the Tenax TA tube. The 32NVOCs were selected through the detailed criteria of adequacy assessment for recreational forest. Th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phytoncide concentration and micrometeorology factors. Results: NVOCs concentration linearly increased according to stand density. The high level showed in the summer (p<0.05),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visiting hours of the Healing forest. NVOCs i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olar radiation, PAR and wind direction,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relative humidity and temperature (p<0.01). NVOCs increased following the increase of humidity and temperature ($R^2=0.55$). Conclusions: Phytoncide linearly increased according to stand density, and showed the correlation significantly with microclimate factors. In future, these results will be utilized as a basic material to promote the generation of phytoncide, which positively influences human health promotion and manage the forest welfare space.

임도 시설에 따른 접근성 개선 및 산림작업비용 절감효과(II) - 목재수확작업을 중심으로 - (Effect of Forest Road Network on Accessibility and Cost Reduction for Forest Operations (II) - Harvesting Operations -)

  • 황진성;지병윤;권형근;정도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4호
    • /
    • pp.456-462
    • /
    • 2016
  • 본 연구는 임도의 목재수확작업에서의 활용효과에 대한 실증적 구명을 위해 5개 지방산림청 8개 경영계획구의 실행자료를 토대로 목재수확작업에서의 임도시설 전 후의 접근성 변화와 비용절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임도 및 공도로부터 500 m 이내 목재수확 작업의 사업실행 면적은 임도 시설 전 평균 25.2%에서 시설 후 평균 88.3%로 약 3.5배 증가하였으며, 임도 시설에 따른 목재수확작업 비용 절감효과는 평균 308천원/km/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임도시설이 목재수확작업을 위한 접근성 개선 및 작업비용 절감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도 시설확충을 위한 지속적 정책추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