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선미. 2011. 학교 숲을 이용한 체험활동이 초등학생의 환경감수성 및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4(2): 105-124.
- 강의향. 2005. 놀이 중심의 인지-행동수정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격성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경순. 2001. 충북지역 중고등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감수성 및 태도와 환경친화적 행동의 관련성.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인호. 2002. 학교조경활동 참여에 따른 환경태도 변화에 관한 연구 : 초등학생 학교조경 참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지혜. 2004. 숲 체험을 통한 조직캠프 집단상담이 아동의 학교적응과 친구관계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학위논문.
- 김진영. 2006. 학령기 아동의 또래 간 갈등해결 프로그램의 효과. 국민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논문.
- 김찬기, 최성봉. 2010. 통합 환경체험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과학회지 19(12): 1409-1491.
- 김희세. 2002.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산림환경교육 내용 분석.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남조은. 2010. 자연학교의 생태적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과학기술지 28(2): 314-318.
- 박경이, 심우경. 2010. 숲을 활용한 교육이 정신지체학생의 부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38(5.상): 64-79.
- 박성은. 2003. 자연체험활동을 통해 본 유아의 환경태도 변화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순호. 2005. 우리나라 초등학교 환경교육의 목표와 내용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1(2): 247-262.
- 박은희. 2010.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격성 및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박종일, 박찬웅, 서효정, 염유식. 2010.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연구와 국제비교. 한국사회학회지 44(2): 121-154.
- 박혜연. 2010. 배려 증진 집단지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배려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공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배유진. 2009. 아동우울척도의 구성과 타당화. 진주교육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서수균, 권석만. 2002. 한국판 공격성 질문지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21(2): 487-501.
- 신원섭, 류진호. 2004. 학교숲이 학생의 기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 식물.인간.환경학회지 7(2): 74-82.
- 신원섭, 이상익, 류진호, 이은욱. 2000. 산림경험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산림휴양연구 4(12): 25-32.
- 윤정아. 2010. 아동의 자기존중감 및 자기애 성향과 공격성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은아. 2011. 초등학생용 공격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장철규, 정성관, 장정선, 김경태, 오정학. 2009. 초등학생들의 만족 유형을 고려한 학교숲 조성방향. 한국조경학회지 37(4): 42-51.
- 정택상, 신원섭, 연평식, 이정희, 이지현. 2010. 학교숲이 초등학생들의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4(3): 87-98.
- 조영민, 신원섭, 연평식, 이효은. 2011. 숲 체험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성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5(2): 69-75.
- 주성현. 2001. 숲 환경해설 프로그램의 환경태도 개선 효과 측정. 경북대농학지 (19): 9-16.
- 청소년폭력예방재단. 2011. 학교폭력연구 1(1): 57-84.
- 최영순. 2003. 숲 체험학습 활동이 초등학생들의 환경 의식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춘천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상열. 2000. 국립공원 방문객의 자연환경태도 측정. 한국임학회 89(5): 598-608.
- 환경부. 1999.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 pp. 389.
- 한영경. 2008. 중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주는 개인 내적 요인.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황영현. 1996. 산림휴양객을 대상으로 한 '스스로 알아보는 환경해설'의 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Buss, A.H. and Perry, M. 1992. The aggression questionnair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3: 452-459. https://doi.org/10.1037/0022-3514.63.3.452
- Fishbein, M. and Ajzen, L. 1975. Belief, Attitude, Intension, and behaviou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Addison wesley publishing, Reading, MA. pp. 6.
- Hines, J.M., Hungerford, Harold, R. and Tomera A.N. 1987. Analysis and synthesis of research on responsible environmental behaviour : A meta analysis.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18(2): 1-8.
- Hasna, Genç, Hilmi, Demirkaya and Huriye, Denis. 2012. The investigation of eighth grade students' attitudes toward forest. Scholars research library 4(1): 740-747.
- Health Council of the Netherlands and Dutch Advisory Council for Research on Spatial Planning, Nature and the Environment. 2004. Nature and Health : The Influence of Nature on Social, Psychological and Physical Well-Being. Health Council of the Netherlands and RMNO, The Hague.
- Kerig, P.K. and Wenar, C. 2006.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5th ed.) New York: McGraw-Hill.
- Leeming, F.C., Bracken, B.A. and Dwyer, W.O. 1995. Children's environmental attitude and knowledge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6(3): 22-33. https://doi.org/10.1080/00958964.1995.9941442
- Leopold, A. 1990. A sand country almanac. Ballantine Books.
- Marsee, M.A., Kimonis, E.R. and Frick, P.J. 2004. Peer conflict scale Unpublished rating scale. University of New Orleans.
- Metro, LJ., Dwyer, J.F. and Dreschler, E.S. 1981. Forest experiences of fifth-grade Chicago public school students. Research Paper No. NC-216. North cental forest experiment station, Minnesota: USDA Forest Service.
- O'Brien, E. and Murray, R. 2007. Forest school and its impacts on young children: case studies in Britain.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6(4): 249-265. https://doi.org/10.1016/j.ufug.2007.03.006
- Roe, J. and Aspinall, P.A. 2011. The restorative outcomes of forest school and conventional school in young people with good and poor behaviour.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10(3): 205-212. https://doi.org/10.1016/j.ufug.2011.03.003
- Taylor, AF. and Kuo, FE. 2009.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s concentrate better after walk in the park. Journal of Attention Disorders 12: 402-409. https://doi.org/10.1177/1087054708323000
- Wendling, R.C. and Wuench, K.L. 1985. A fifth-grade outdoor education program: Expectations and effects. Journal of Interpretation 10(1): 11-20.
Cited by
- Effect of Forest Education Program on Juvenile Probationers' Mood States, Self-esteem, and Self Control vol.105, pp.2, 2016, https://doi.org/10.14578/jkfs.2016.105.2.253
- A Systematic Review of Forest Therapy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vol.23, pp.3, 2017, https://doi.org/10.4094/chnr.2017.23.3.300
- 대학생의 도시숲 체험과 정서지능, 학습몰입, 진로스트레스의 관계 분석 vol.18, pp.1, 2013, https://doi.org/10.34272/forest.2014.18.1.004
- The Effects of Forest Activities on Attitudes toward Forest, Stress,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 Centers vol.19, pp.3, 2013, https://doi.org/10.34272/forest.2015.19.3.006
- The Effect of Forest Activities on Attitude Toward Forest and Mental Health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vol.19, pp.4, 2013, https://doi.org/10.34272/forest.2015.19.4.004
- 산림체험 프로그램이 스마트폰에 노출된 미취학아동의 정서 변화에 미치는 영향 vol.25, pp.9, 2013, https://doi.org/10.5322/jesi.2016.25.9.1323
- 백두대간에서의 반복적 산행경험이 청소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vol.106, pp.2, 2013, https://doi.org/10.14578/jkfs.2017.106.2.240
- 초등학교 내 학교숲 조성이 아동의 인지·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vol.108, pp.4, 2013, https://doi.org/10.14578/jkfs.2019.108.4.6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