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ign Tourists Demand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8초

A Study on the Scope for Special Interest Tourism based Services in India

  • Selvakumar, J. Joshua
    • 동아시아경상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29-41
    • /
    • 2013
  • Purpose: Today, travelers are provided large amount information which includes Web sites and tourist magazines about introduction of tourist spot. Many approaches have been proposed to analyze the large amount of available information with the aim of discovering the most popular Points of Tourist Interest and routes. However, it is not easy for users to process the information in a short time. Therefore travelers prefer to receive pertinent information easier and have that information presented in a clear and concise manner.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Whether you are looking for banks by company, foreign exchange services, free wireless hotspots, touristic attractions, campsites, supermarkets, restaurants, cinemas, The aim of POI Tourism Services is to enable tourists to find spots that only the locals know, giving the tourists opportunity to the tourists to explore new areas of the place like never before. This paper proposes find the scope for a personalized service for tourist "Special Interest Tourism" recommendation for tourists who travel within India & for the benefit of Foreign Nationals who visit the country. Results: The major focus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demand for such a service being integrated into the conventional tour package. The major findings made during the course of the show that the market for "Special Interest Tourism" based services stands at approximately 63%. Travel today is mainly for the people from the middle income group having a fixed budget while traveling and would like economic travel solutions that fit their budget. Conclusion: This accounts for a major part of the market for the service. Most tourist prefer to go on week end getaways or trips that last more than a week, this means that a specialized trip plan based on the travelers interests is feasible with these type of travelers. Maximum demand for "Special Interest Tourism" based services would be during the festive seasons.

경주지역 외국인 관광수요 예측 (Forecasting of Foreign Tourism demand in Kyeongju)

  • 손은호;박덕병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0권2호
    • /
    • pp.511-533
    • /
    • 2013
  • 이 연구는 단변량 시계열 중에서 계절 아리마 모형을 이용하여 경주지역 외국인 관광객을 예측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위한 시계열 월별 자료는 1995년부터 2010년까지 수집하였다. 총 192개의 관측치를 분석에 사용하였는데, 성수기와 비수기의 관광객 차이가 아주 큰 것을 보여주고 있다. 예측분석결과, 경주지역의 외국인 관광객에 대한 최종 예측모형은 승법계절 ARIMA(1,1,0) $(4,0,0)_{12}$ 모형으로 선정되었다. 이 모형에 적용하여 미래의 경주지역의 외국인 관광객은 2011년 694천명, 2012년 715천명, 2013년 725천명, 2014년 738천명, 2015년 751천명이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경주지역 외국인 관광객에게 효율적으로 관광시설을 공급함과 동시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관광정책을 수립하는 측면에서 관광관련 이해당사자들에게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Factors Impacting Tourism Demand: An Analysis of 10 ASEAN Countries

  • NGUYEN, Lien Phuong;NGUYEN, Ha Thu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1호
    • /
    • pp.385-393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infrastructure, economic sectors and its status,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private investment, as well as the role of political stability in enhancing the tourism demand in the ASEAN region. The research collected the secondary data from the World Bank database and the UNWTO website of 10 ASEAN countries over 17 years from 2000 to 2016. Applying the generalized method of moments, this research found that, "private investment", "economic sectors", "exchange rate and infrastructure measured by "using of the internet" can increase the tourism demand of a country in the ASEAN region. This research provided evidence indicating that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inflation" are two detrimental factors for tourist attraction. The major finding confirmed the positive role of "political stability" in increasing tourist arrivals. First, attracting tourists to a country always poses many challenges to its government. It has been observed in the past decades that though there were many documents, which confirmed that industry can help in promoting tourism, very few studies investigated the role of both agriculture and manufacturing sectors in tourism promotion. Secondly,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which verifies the stability of the political system to the tourism demand in the ASEAN region and that this variable (political stability) has the strongest impact.

도심권 공항 터미널 환경 개선을 위한 빅 데이터 기반의 항공수요예측 (Big Data-Based Air Demand Prediction for the Improvement of Airport Terminal Environment in Urban Area)

  • 조힘찬;곽동기;배정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165-170
    • /
    • 2019
  • 2018년 국토교통부의 통계에 따르면, 연평균 항공교통이용자만 국내선 5.07%, 국제선 8.84%가 증가하였다. 한류의 열풍으로 인해 지속적인 외국인 관광객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동시에 개인의 삶의 질을 중요시하는 새로운 생활 문화가 자리잡아가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저가 항공사의 출현으로 인해 내국인의 해외 관광 또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효율적이고 정확한 항공 수요예측을 진행하여 체계적인 공항 인프라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빅 데이터(big data)를 기반으로 하여 도심권 공항의 국내선 및 국제선 장기 수요예측을 진행하였다. 국내선의 경우 2028년 이후 인구 감소에 따라 공항이용객이 다소 감소할 것이며, 국제선은 GDP증가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따라서 미래의 항공수요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국내 공항의 여객터미널 개선 및 확충이 절실하다.

관광특구지역 안내표지판 및 사인의 색채특성 분석 -부산 해운대 관광특구지역을 중심으로- (Analysis of Color Characteristics of Signs and Signs in Special Tourist Zones: Focusing on Busan Haeun-dae Tourist Zone)

  • 조정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67-78
    • /
    • 2020
  • 본 연구는 관광특구지역으로 선정된 부산 해운대구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에게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방문 만족도, 심리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안내판을 분석하여 방문만족도의 질을 높이고, 고품격 서비스디자인 제공에 목적을 둔다. 연구과정에서는 시인성과 주목성이 잘못 표기가 된 관광안내판을 중심으로 디자인 및 다국어를 적용하여 개선을 하고자 현장방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관광특구에 부적합한 관광안내판 환경과 색채계획의 부족에 따른 지역 특성의 실종 및 인지성, 색채계획의 개선에 대한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로는 해운대지역의 질적인 관광 활성화 방향을 제시하고 해양수도 부산을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에 대한 서비스디자인의 필요성과 공공서비스의 질적 향상에 대한 요구가 충족하고 부산 해운대구 지역의 외국인 관광객에 대한 안내사인 디자인 및 다국어 표기디자인 제안을 고찰하고자 한다.

의료관광 분쟁시 책임주체에 대한 검토 (Review of Responsibility in Case of Medical Tour Disputes)

  • 문상혁
    • 의료법학
    • /
    • 제17권1호
    • /
    • pp.107-135
    • /
    • 2016
  • 의료관광은 21세기 새로운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각 국가마다 다양하고 차별화된 의료관광 상품개발로 의료관광산업은 더욱더 활성화 될 것이다. 이러한 의료관광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의료관광상품을 개발하고 홍보하기 위해서는 관광객의 수요와 관심분야를 정확하게 분석하고 제공할 의료관광 상품을 준비해야 한다. 정부는 의료관광산업을 고부가가치 창출을 통한 국가경제발전과 Global Healthcare산업 전문가 육성 등을 통한 고용창출에 대한 기대효과가 큰 산업으로 보고, 의료관광 분야의 지원정책을 확대하여 의료관광 출입국 제도 개선, 의료관광객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제도, 의료관광인력 양성제도 등을 도입하였다. 하지만 외국인 환자와 의료관광 유치업자와의 분쟁이 발생하고 있으며, 외국인 환자와 의료인의 의료사고분쟁, 외국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여행업 종사자들과의 분쟁 등이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의료관광과 관련하여 유치업자를 중심으로 발생하는 분쟁에 대한 유형을 검토하고 그에 대한 해결방안을 검토를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의료관광 유치업자는 중개된 급부를 알선할 의무와 동시에 상당한 주의를 가지고 그 사무를 처리하여야 할 책임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중개계약 성립 후에 적극적으로 중개결과에 이르기까지 소극적으로 대처하여 분쟁이 발생할 경우에는 그에 대한 책임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또한 의료관광 중개계약에서 유치업자는 외국인환자에게 급부의 내용에 설명의무와 조언의무를 부담하는 것을 알아야 한다. 외국인환자와 보건산업진흥원 "외국인환자 의료분쟁 해결을 위한 중재제도 안내"를 보면, 외국인환자가 진료계약서 작성할 때 외국인환자에게 의료사고로 인한 분쟁이 발생할 경우 우선적으로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분쟁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이 외국인환자를 보호하는데 충분한 것인지에 대한 논의는 좀 더 다양한 관점에서의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의료관광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상품을 개발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지만, 그와 관련한 분쟁이 발생할 경우 그에 대한 대처 방안도 사전에 마련해 두어야 할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수한 의료기술뿐만 아니라 외국인 의료관광객에게 신뢰를 바탕으로 더 커다란 발전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PDF

웹검색 트래픽 정보를 활용한 유커 인바운드 여행 수요 예측 모형 및 유커마이닝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Yóukè Mining System with Yóukè's Travel Demand and Insight Based on Web Search Traffic Information)

  • 최유지;박도형
    • 지능정보연구
    • /
    • 제23권3호
    • /
    • pp.155-175
    • /
    • 2017
  • 최근 독감 예측이나 당선인 예측, 구매 패턴, 투자 등 다방면에서 웹검색 트래픽 정보. 소셜 네트워크 내용 등 거대한 데이터를 통해 사회적 현상, 소비 패턴을 분석하는 시도가 이전보다 늘어났다. 구글, 네이버, 바이두 등 인터넷 포털 업체들의 웹검색 트래픽 정보 공개 서비스와 함께 웹검색 트래픽 정보를 활용하여 소비자나 사용자와 관련된 연구가 실시되기 시작했다. 웹검색 트래픽 정보를 활용한 사회 현상, 소비 패턴 분석을 연구는 많이 수행되었으나, 그에 비해서 도출된 여행 수요 모델을 토대로 의사결정을 위한 실질적 대책 수립으로 이어지는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않은 실정이다. 관광산업은 상대적으로 많은 고용을 가능하게 하고 외자를 유치하는 등 고부가가치를 창출하여 경제 전체에 선순환 효과를 일으키는 중요한 산업이다. 그 중에서도 국내 입국외래객중 수년간 2위와의 큰 차이로 1위를 차지해왔던 중국 국적의 관광객 '유커' 및 그들이 지출하는 1인당 평균 관광 수지는 한국 경제에 매우 중요한 한 부분이다. 관광 수요의 예측은 효율적인 자원 배분과 합리적인 의사 결정에 있어서 공공부문 및 민간부문 모두 중요하다. 적절한 관광 수요 예측을 통해서 한정된 자원을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더욱 많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중국인 인바운드를 예측하는 방법에 있어, 이전보다 더 최신의 트렌드를 즉각적으로 반영하고 개인들의 집합의 관심도가 포함되어 예측 성능이 개선된 방법을 제안한다. 해외여행은 고관여 소비이기 때문에 잠재적 여행객들이 입국하기 전 웹검색을 통해 적극적으로 자신의 여정과 관련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활동을 한다. 따라서 웹검색 트래픽 수치가 중국인 여행객의 관심정도를 대표할 수 있다고 보았다. 중국인 여행객들이 한국 여행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검색할만한 키워드를 선정해 실제 중국인 입국자 수와 상관관계가 있음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중국 웹검색 엔진 시장에서 80%의 점유율을 가지는 중국 최대 웹검색 엔진 '바이두'에서 공개한 웹검색 데이터를 활용하여 그 관심 정도를 대표할 수 있을 것이라 추정했다. 수집에 필요한 키워드의 선정 단계에서는 잠재적 여행객이 여정을 계획하고 구체화하는 단계에서 일반적으로 검색하게 되는 키워드 후보군을 선정하였다. 키워드의 선정에는 중국 국적의 잠재적 여행객 표본과의 인터뷰를 거쳤다. 트래픽 대소 관계 확인 결과에 따라서 최종 선정된 키워드들을 한국여행이라는 주제와 직접적인 연관을 가지는 키워드부터, 간접적인 연관을 가지는 키워드까지 총 세 가지 레벨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카테고리 내의 키워드들은 바이두'가 제공하는 웹검색 트래픽 데이터 제공 서비스 '바이두 인덱스'를 통해 웹검색 트래픽 데이터를 수집했다. 공개된 데이터 페이지 특성을 고려한 웹 크롤러를 직접 설계하여 웹검색 트래픽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분리되어 수집된 변수에는 필요한 변수 변환 과정을 수행했다. 자동화 수집된 웹검색 트래픽 정보들을 투입하여 중국 여행 인바운드에 대한 유의한 영향 관계를 확인하여 중국인 여행객의 한국 인바운드 여행 수요를 예측하는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정책 의사결정 및 관광 경영 의사결정 같은 실무적 활용을 고려하여 각 변수의 영향력을 정량적으로 설명할 수 있고 설득이 명료한 방법인 다중회귀분석방법을 적용해 선형 식을 도출하였다. 수집된 웹검색 트래픽 데이터를 기존 검증된 모형 독립변인들에 추가적으로 투입함으로써 전통적인 독립변인으로만 구성된 연구 모형과 비교하여 가장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모형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증하려는, 웹검색 트래픽으로 대표되는 독립변인을 투입한 최종 도출된 모형을 통해 중국인 관광 수요를 예측할 때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웹검색 트래픽 변수를 확인할 수 있다. 최적 모형 설명력을 가지는 모형을 기반으로 최종 회귀 식을 만들었고 이를 '유커마이닝' 시스템 내부에 도입하였다. 데이터 분석에서 더 나아가 도출된 모형을 직관적으로 시각화하고, 웹검색 트래픽 정보를 활용하여 도출할 수 있는 인사이트를 함께 보여주는 데이터 분석 기반의 '유커마이닝' 솔루션의 시스템 알고리즘과 UX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제안하는 모형과 시스템은 관광수요 예측모형 분야에서 웹검색 트래픽 데이터라는 정보 탐색을 하는 과정에 놓인 개인들의 인터랙티브하고 즉각적인 변수를 활용한 새로운 시도이다. 실무적으로 관련 정책결정자나 관광사, 항공사 등이 활용 가능한 실제적인 가치를 가지고, 정책적으로도 효과적인 관광 정책 수립에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