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age P

검색결과 1,225건 처리시간 0.027초

중북부지역에서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생산성과 기후요인과의 상관분석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Productivity of Forage Sorghum × Sudangrass Hybrids [Sorghum bicolor (L.) Moench] and Climatic Factors in Central Northern Region of South Korea)

  • 이배훈;박형수;정종성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41-46
    • /
    • 2021
  • 본 연구는 중북부지역에서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생산량과 기후요인간에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년간 실시하였다. 시험장소는 강원도(평창)와 경기도(안성, 화성)로 SX-17(출수형)과 Revolution(BMR) 품종을 이용하였다. 파종시기는 5월 상순에서 중순이며, 수확시기는 출수기로 8월이었다.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평균 초장은 강원도가 경기도보다 유의적으로 작았으며(p<0.05), 평균 건물생산량은 경기도가 강원도보다 유의적으로 많았다(p<0.05).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특성상 파종부터 수확까지 기간 동안 강원도에 비해 유효적산온도가 크고 일조시간이 많은 경기도에서 초장과 건물생산량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건물생산량과 기후특성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을 때 월별 온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특히 파종시기인 5월(0.67)과 생육초기인 6월(0.76)에서 가장 강한 양의 상관관계(p<0.01)를 나타내고 유효적산온도에서 5~6월에서 각각 0.82와 0.63으로 높게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초기생육에서 온도가 미치는 영향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최고온도의 경우 5월(0.33)과 6월(0.40)에 양의 상관관계(p<0.05)로 열대성 사료작물인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이 생육기간에 최고온도가 성장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여 나타난 결과이다. 강수일수는 건물생산량과 음의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건물생산량은 평균온도가 낮은 강원도지역보다 경기도 지역에서 많았다. 또한, 기후요건 중 강수일수, 파종에서 수확까지 평균온도, 5~6월 최고온도 및 적산온도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건물생산량은 평균온도와 적산온도에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나 강우에 대한 영향은 분명하게 확인할 수 없었다. 향후 기후요소가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생육과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강우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Lactobacillus plantarum Improves the Nutritional Quality of Italian Ryegrass with Alfalfa Mediated Silage

  • Ilavenil, Soundarrajan;Arasu, Mariadhas Valan;Vijayakumar, Mayakrishnan;Jung, Min-Woong;Park, Hyung Soo;Lim, Young Cheol;Choi, Ki Choon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74-178
    • /
    • 2014
  • The present study was planned to analyze the nutritional quality, microbial counts and fermentative acids in Italian ryegrass (IRG) 80% and alfalfa 20% (IRG-HV) mediated silage inocula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LAB) as a probiotic strain for 3 months. Crude protein (CP),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and In-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lactic acid bacteria (LAB), yeast and fungi counts and fermentation metabolites such as lactic acid, acetic acid and butyric acids were analyzed. The result shows that the nutritional quality and metabolite profiles of silag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with LAB. For microbial counts, LAB showed dominant followed by yeast as compared with control silage. The pH of the silage also reduced significantly when silage inoculated with LAB. The result confirmed that silage preparation using different crops with L. plantarum inoculation is most beneficial for the farmers.

Lactic Acid Bacteria Mixture as Inoculants on Low Moisture Italian Ryegrass Silage Fermentation

  • Soundharrajan, Ilavenil;Kuppusamy, Palaniselvam;Park, Hyung Soo;Kim, Ji Hea;Kim, Won Ho;Jung, Jeong Sung;Choi, Ki Choon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27-131
    • /
    • 2019
  • The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LAB) mixtures on low moisture Italian ryegrass (IRG) silage fermentation was evaluated in field conditions. The experiment was categorized into two groups: Un-inoculated (Control) and Inoculated with LAB mixture for four storage periods (45, 90, 180, and 365 days, respectively). Silage inoculated with the LAB mixture had the lowest pH with highest lactic acid production than the control from beginning at 45-365 days at all moistures. Higher LAB counts were observed in inoculated silages than the control silages at whole experimental periods. It is a key reason for the rapid acidification and higher lactic acid production in silages during the storage periods. Overall results suggest that an adding of LAB mixture had positive effects on the increasing aerobic stability of silage and preserved its quality for an extended duration.

초지에서 시비관리의 차이가 사초생산과 식생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ifferent Fertilizer Management on Forage Production and Botanical composition)

  • 류종원;헬무트야콥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9-26
    • /
    • 1998
  • The effects of different fertilizer management on herbage production and botanical composition were determined.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during 1991 - 1993 on sandy loam soil at Allgiu south western Germany under variabling fertilizer management; cattle slurry, NPK, PK chemical fertilizer management and zero fertilization. The dry matter yield of forage was the highest in the plot of mineral fertilizer and lowest in the plot of without fertilization. The dry matter yield of P-K application was higher by 1.2 ton than that of without fertilization. The content of crude protein, crude fibre, digestible dry matter yield, net energy and nitrogen content of plant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different fertilizer management. N uptake of plants was in the order NPK chemical fertilizer (347kg N/ha) > cattle slurry (337kg N/ha) > P-K chemical fertilizer (325kg N/ha) > without fertilization (3 15kg N/ha).

  • PDF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와 우분의 시용이 총체 밀의 생산성과 유기한우 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wing Mixed Legume Forage and Applying Cattle Manure on the Productivity and Organic Hanwoo Feeding Capacity of Whole Crop Wheat)

  • 조익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59-372
    • /
    • 2015
  • 본 연구는 토양오염을 감소시키고 유기축산물의 생산에 기여할 수 있는 유기조사료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대표적인 동계작물인 총체 밀에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와 발효우분을 시용하여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하고, 토양의 지력 향상과 가축분뇨의 자원화를 위한 단위면적당 유기한우 사육능력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2년(2012~2013년) 평균 총체 밀의 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6.10~7.70, 0.59~0.76 및 3.84~4.74톤/ha으로 단파로 재배했을 경우의 4.07, 0.35 및 2.54 톤/ha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혼파구 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발효우분의 질소시용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총체 밀의 평균 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100~150 kg N/ha (7.24~7.59, 0.67~0.73 및 4.43~4.69톤/ha)가 무비구(5.96, 0.57 및 3.71톤/ha)에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총체 밀의 조단백질 함량은 콩과사료작물의 혼파구에서 평균 9.83~10.03%로 총체 밀 단파구의 8.37%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ADF 함량은 헤어리 베치 혼파구 그리고 RFV는 사료용 완두 혼파구가 다른 처리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발효우분의 질소시용수준에 따른 조단백질 함량은 9.17~9.52%로 처리수준 간 차이가 없었고 ADF 함량은 시용수준이 100 kg N/ha 까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TDN 함량은 반대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총체 밀에 의한 유기한우 사육능력(체중 450 kg, 400 g 일당증체 목표)은 평균 3.99~4.20두로 단파구(평균 2.21두)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발효우분 시용수준이 증가됨에 따라 질소 수준 100 kg/ha(평균 3.68두)까지 무비구(평균 3.09두) 보다 총체 밀에 의한 유기한우 사육능력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총체 밀 재배 시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 하였을 경우에는 단파재배 보다 발효우분의 질소시용수준을 ha 당 50 kg 이상 줄이면서도 건물수량을 포함한 생산성과 유기한우 사육능력 증대는 물론 조단백질 함량 등 사료가치를 향상을 시켜 한우사양 시 조사료자원의 다양화 뿐 아니라 저투입에 의한 양질의 조사료 생산으로 유기축산물 생산에 크게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EFFECT OF FEEDING LEGUME FORAGE WITH STRAW SUPPLEMENTATION ON MILK PRODUCTION AT PABNA MILK SHED AREA

  • Islam, M.;Sarker, N.R.;Islam, M.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8권2호
    • /
    • pp.107-111
    • /
    • 1995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at Pabna milkshed area under Bathan condition during November, 1992 to February 1993 with 16 milking cows fed legume forage with straw supplementation (treated group) and 8 milking cows fed legume forage only (control group). From the study, the results revealed that supplementation of straw with leguminous diet increases the total dry matter intake (DMI) of 11.83 kg/d/cow for the treated group and 11.53 kg/d/cow for the control group. The average daily legume forage intake was $37.39{\pm}8.67kg/d/cow$ and $49.62{\pm}10.57kg/d/cow$ for the treated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p < 0.05). The results also exhibited that due to the supplementation of straw, the legume forage intake reduced by 12 kg/d/cow. The forage dry matter intake (DMI) kg/d/cow for the treated and control groups were $6.18{\pm}1.44kg$ and $8.38{\pm}1.95kg$ respectively. The milk production was $8.64{\pm}1.15litre/day$ for the treated group which was significantly (p < 0.05)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7.74{\pm}1.24litre/day$). The average initial body weight of the supplemented and control groups were $338.06{\pm}39.32kg$ and $329.87{\pm}48.03kg$ respectively. Whereas, the final body weight of supplemented group was $344.33{\pm}35.90kg$ and control group was $330.35{\pm}37.28kg$. It may be concluded that straw supplementation with legumes diet could save legume forage for further use as well as increase milk production.

남부지방 논에서 사일리지용 옥수수 품종의 생육특성, 생산성 및 품질 비교 (Evaluation of Agronomic Characteristics, Forage Production and Quality of Corn Hybrids for Silage at Paddy Field in Southern Region of Korea)

  • 지희정;이종경;김기용;윤세형;임영철;권오도;이희봉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3-18
    • /
    • 2009
  • 본 시험은 남부지방에 벼 대체 여름 사료작물인 옥수수를 파종하여 조사료를 생산하는데 논 재배에서 적응성 및 생산성이 우수한 품종을 선발할 목적으로 2007년부터 2008년까지 2년간에 걸쳐 전라남도 농업기술원에서 수행하였다. 국내육성 2품종과 도입품종 4품종 등 6품종 을 시험한 결과 광평옥 품종이 간장이 198cm 로 다른 품종들보다 크고 경직경이 굵으며 내습성 및 후기 녹체성이 좋고 우수한 특성을 보였으며 수량 측면에서도 생초수량은 ha당 생초 수량은 38.5톤이며 건물수량은 14톤이고 TDN 수량은 9.6톤으로 P3156, P3394에 비해 최고로 높은 편이지만 이와 같은 수량은 밭 재배에서의 수량에는 다소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 OF FLOCK SIZE ON THE PERFORMANCE OF GOATS FED GLIRICIDIA-SUPPLEMENTED DIET IN DRYLAND FARMING IN BALI, INDONESIA

  • Sukanten, I.W.;Nitis, I.M.;Uchida, S.;Putra, S.;Lana,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9권3호
    • /
    • pp.271-279
    • /
    • 1996
  • On-farm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dryland farming in Bali for 48 weeks to study the effect of flock size on the growth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cross-bred goat fed gliricidia-supplemented diet. Eighty four bucks with average live weight of 15.87 kg were allocated in a completely randomized block design arrangement, consisted of three treatments and four blocks. The treatments were $3goats/2.7m^2$ (A), $6goats/5.4m^2$ (B) and $12goats/10.8m^2$ (C), while the floor density was the same ($0.9m^2$ per goat). Feed consumed by goat B was similar (p > 0.10), while feed consumed by goat C was lower (p < 0.10) than goat A. Live weight gain of goat B and C were lower (p<0.05) than goat A. FCR of goat B was higher (p < 0.10) than goat A, while FCR of goat C was similar (p > 0.10) with goat A. Goat B has heavier (p < 0.10) head and digestive tract, while goat C has heavier (p<0.10) hindlegs and digestive tract than goat A. Goat B has lighter (p < 0.10) shoulder, while goat C has lighter shoulder and heavier legs (p < 0.10) than goat A. The carcass quality (measured in terms of loin eye muscle area, meat, bone and fat portions) were not affected (p > 0.05) by the flock sizes.

Effects of Ensiling Period and Bacterial Inoculants on Chemical Compositions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Rye Silage

  • Lee, Seong Shin;Joo, Young Ho;Choi, Jeong Seok;Jeong, Seung Min;Paradhipta, Dimas Hand Vidya;Noh, Hyeon Tak;Han, Ouk Kyu;Kim, Sam Churl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59-266
    • /
    • 2021
  •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estimate the effect of ensiling period and bacterial inoculants on chemical compositions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n rye silage harvested at delayed stage. Rye (Secale cereale L.) was harvested after 20 days of heading stage (29.4% dry matter, DM). The harvested rye forage was applied with different inoculants following: applications of distilled water (CON), Lactobacillus brevis (LBB), Leuconostoc holzapfelii (LCH), or mixture of LBB and LCH at 1:1 ratio (MIX). Each forage was ensiled into 20 L mini bucket silo (5 kg) for 50 (E50D) and 100 (E100D) days in triplicates. The E50D silages had higher in vitro digestibilities of DM (IVDMD, p<0.001) and neutral detergent fiber (IVNDFD, p=0.013), and lactate (p=0.009), and acetate (p=0.011) than those of E100D, but lower pH, lactic acid bacteria (LAB), and yeast. By inoculant application, LCH had highest IVDMD and IVNDFD (p<0.05), while MIX had highest lactate and lowest pH (p<0.05). The CON and LCH in E50D had highest LAB and yeast (p<0.05), whereas LBB in E100D had lowest (p<0.05).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LCH application improved the nutrient digesbility (IVDMD and IVNDFD) of lignified rye silage, and longer ensiling period for 100 days enhanced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silage compared to ensiling for 50 days.

국내 육성 사료작물의 생산성 및 사일리지 품질 평가 (Evaluation of Productivity and Silage Quality for Domestically Developed Forage Crops in Korea)

  • 김종근;박형수;이상훈;정종성;이기원;고한종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45-151
    • /
    • 2015
  • 본 시험은 국내에서 육성된 신품종 사료작물의 생산성 및 사일리지 품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호밀(곡우), 귀리(삼한), 3품종의 이탈리안라이그라스(코그린, 코스피드, 코위너리) 및 2품종의 청보리(영양, 유연)에 대하여 생산성 시험을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 시험포장에서 수행하였다. 건물수량에 있어서는 곡우가 가장 높았고 삼한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조단백질(CP) 함량은 귀리(삼한)외 이탈리안라이그라스 품종들에서 높았다. 가소화영양소총량(TDN)은 호밀을 제외하고는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귀리(삼한) 사일리지의 pH는 비교된 사료작물중에서 가장 낮았다. 또한 코그린과 삼한 품종에서 젖산균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Flieg 점수에 따른 사일리지 품질등급은 호밀을 제외하고는 모두 1등급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국내에서 육성된 사료작물 품종은 생산성과 품질면에서 높은 능력을 보여 한국에서의 조사료 생산에 적극 권장된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