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age Intake

검색결과 281건 처리시간 0.036초

INTERACTIVE INFLUENCE OF DIETARY PROTEIN AND LIPID IN LACTATION

  • Park, C.S.;Choi, Y.J.;Fisher, G.R.;Erickson, G.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권1호
    • /
    • pp.7-12
    • /
    • 1988
  • Twenty cows, by order of calving, were used in a completely randomized $2{\times}2$ factorial experiment. Variables were tow protein levels (14 and 18% crude protein) and concentration of fat (2 and 6% ether extract) in diets. Fat addition, via unprocessed whole sunflower seed, insured forage utilization in diets to meet energy requirement of cows. A total of 36 wks of lactation was subdivided into three 12-wk stages of lactation. Net energy lactation was set at 1.72, 1.57 and 1.42 Mcal/kg for each stage. Higher protein diets improved the efficiency of energy (FCM/net energy intake) which was particularly noted for diets containing high fat (85.7%). However, diets with low protein-high fat resulted in the lowest efficiency (67.7%). No difference in milk yield and butterfat was due to different levels and combinations of protein and lipid in diets. High protein diets depressed blood cholesterol and glucose compared to low-protein counterparts. Relative decline in milk production was slower for lower fat diets than for higher fat groups, especially mid to later stage of lactation. Results of this experiment tend to support our thesis on the synergistic effect of dietary protein and energy (lipid) upon efficiency of lactation.

Influence of Whole Crop Corn Silage Ensiled with Poultry Manure on the Performance and Carcass Quality of Hanwoo Steers

  • Ko, Y.D.;Kim, J.H.;Kim, C.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8호
    • /
    • pp.1133-1137
    • /
    • 2001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Hanwoo steers fed whole crop corn silage ensiled with poultry manure (PM) for 18 months. The experiment was designed as a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three phases. Steers were allotted in one of three dietary treatments, which were ammonia-treated rice straw (AS), whole crop corn silage (CS) and whole crop corn+30% PM silage (based on DM; MS). All diets were supplemented with concentrate. Total body weight gain and average daily gain (ADG) in MS group were increased (p<0.05) by 6% over AS group. The MS treatment enhanced (p<0.05) total and daily intakes of forage compared with the AS and CS treatments while there was compensatory effect on concentrate intake by AS group. Carcass characteristics were improved by feeding MS. MS increased (p<0.05) carcass weight and marbling score (7.5 and 22.5% of AS, respectively), and reduced (p<0.05) backfat thickness (13.2 of AS and 16.6% CS). Carcass grade and meat quality grade were also improved by MS compared with AS and CS. Under the conditions of this study, MS was an efficacious replacement for corn silage for steers.

Chemical Composition, In situ Digestion Kinetics and Feeding Value of Oat Grass (Avena sativa) Ensiled with Molasses for Nili-Ravi Buffaloes

  • Khan, Muhammad Ajmal;Sarwar, M.;Nisa, M.;Iqbal, Z.;Khan, M.S.;Lee, W.S.;Lee, H.J.;Kim, H.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8호
    • /
    • pp.1127-1133
    • /
    • 2006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ane molasses and fermentation time on chemical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oat grass silage (OGS) and its in situ digestion kinetics, intake, digestibility, milk yield and composition in buffaloes (Bubalus bubalis). Oat grass (OG) harvested at 50-days of age was ensiled in laboratory silos with cane molasses at the rate of 0, 2, 4 and 6% of OG dry matter (DM) for 30, 35 and 40 days. Silage pH was decreased while lactic acid content increased with increasing level of cane molasses and fermentation time. Dry matter (DM), crude protein (CP) and true protein (TP) content of OGS were (p<0.05) significantly higher with higher cane molasses levels. However, they were not affected by the fermentation time. Similar trends were observed for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cid detergent fiber (ADF), cellulose, acid detergent lignin and ash content of OGS. The OG ensiled for 30-days with 2% molasses was screened from laboratory study and used to determine comparative in situ DM and NDF digestion kinetics of OG and its silage. In situ DM and NDF digestibilities of OG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OGS. Ruminal DM and NDF lag time, rate and extent of digestion of OG and its silage were similar. Two experimental diets of OG and OGS were formulated using 75:25 forage to concentrate ratio on a DM basis. Dry matter and CP intakes were similar in lactating buffaloes fed either OG- or OGS-based diets. However, NDF intake was higher in buffaloes fed the OG-compared with OGS-based diet. Apparent DM, CP and NDF digestibilities were similar in lactating buffaloes fed either OG- or OGS-based diets. Milk yield (4% FCM) was similar in buffaloes fed either OG-(10.3 kg/d) or OGS-(9.95 kg/d) based diets. Milk fat, total solids and true protein content were higher with OG compared with the OGS diet. Solids not fat and CP content were similar in milk of buffalo fed either OG or OG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OG ensiled with 2% molasses could safely replace 75% DM of green oat fodder in the diets of lactating buffaloes without negatively affecting intake, digestibility, milk yield and composition.

Effects of Supplements with Different Protein Contents on Nutritional Performance of Grazing Cattle During the Rainy Season

  • Figueiras, J.F.;Detmann, E.;Franco, M.O.;Batista, E.D.;Reis, W.L.S.;Paulino, M.F.;Valadares Filho, S.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12호
    • /
    • pp.1710-1718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supplements with different crude protein (CP) contents on grazing cattle intake, digestibility, ruminal fermentation pattern, and nitrogen (N) metabolism characteristics during the rainy season. Five ruminal and abomasal cannulated Holstein${\times}$Zebu steers (296 kg body weight, BW) were used in a $5{\times}5$ Latin square design. The animals grazed five signal grass paddocks (0.34 ha). The five treatments evaluated were: Control (no supplement) and 1.0 g of supplement/kg BW with 0, 330, 660, and 1,000 g of CP/kg as-fed. The supplement was composed of starch, soybean meal, urea, and ammonium sulphate. There was a positive linear effect ($p{\leq}0.033$) of the CP content in the supplements on the organic matter (OM), CP, and digested OM intakes. The provision of supplements did not increase ($p{\geq}0.158$), on average, total and ruminal digestibilities of OM and CP. However, the increase in CP content in the supplements caused a positive linear effect ($p{\leq}0.018$) on ruminal digestibilities of OM and CP. Additionally, a quadratic effect of the CP contents of the supplements were observed (p = 0.041) for the ruminal digestibility of neutral detergent fiber corrected for ash and protein, with the highest estimate obtained with the CP content of 670 g/kg. The supply of supplements increased (p<0.001) the ruminal ammonia N concentration, which also changed linearly and positively (p<0.001) according to increase in CP content in the supplements. The apparent N balance and relative N balance (g/g N intake) were not, on average, changed ($p{\geq}0.164$) by the supplements supply. However, both showed a tendency of a linear increase ($p{\leq}0.099$) with increasing supplement CP content. The supplements increased (p = 0.007) microbial N production in the rumen, which also changed linearly and positively (p = 0.016) with increasing supplement CP content. In conclusion, protein supplementation in grazing cattle during the rainy season, while stimulating voluntary forage intake, results in higher efficiency of N utilization when compared to energy supplementation. This is a possible response to increased microbial protein synthesis in the rumen and improved N status in the animal body.

사료급여체계가 재래종 및 교잡종 흑염소의 영양소 이용율, 질소축적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Feeding Systems on Nutrient Availability, Nitrogen Retention and Blood Characteristics in Native or Crossbred Korean Black Goats)

  • 정기웅;조익환;황보순;이성훈;송해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41-350
    • /
    • 2008
  • 본 시험은 흑염소의 효율적인 사양관리체계의 확립에 기여하기 위하여, 재래흑염소 10두(male)와 교잡흑염소(재래흑염소$\times$호주야생염소 교잡종; 50:50%) 10두(male)를 공시하여, 시판 배합사료와 조사료를 급여하는 관행사료와 TMR 사료를 각각 급여하였을 때, 흑염소의 사료섭취량, 영양소소화율, 질소축적율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실험기간은 사료 적응기간 14일 예비기간 10일을 거친 후, 14일간의 본 실험 기간을 두어 총 38일간 실시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1일 두당 건물의 섭취량은 TMR을 급여한 교잡종이 가장 높았고(p<0.05), 품종간에서는 재래종 보다 교잡종지, 사료급여체계간에는 관행구보다 TMR구가 높았다(p<0.05). 일당증체량은 재래종 관행구, 재래종 TMR구, 교잡종 관행구, 교잡종 TMR구의 순으로 유의하게 높아졌다(p<0.05). 건물 소화율은 사료급여체계간에서는 TMR구가 관행구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품종간에도 교잡종이 재래종 보다 높았다(p<0.05). 질소축적량 및 질소축적율은 교잡종 TMR구가 가장 높았고, 재래종 관행구가 가장 낮았다(p<0.05). 혈중 glucose의 함량과 PUN(plasma urea nitrogen)은 교잡종이 재래종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TMR 형태의 사료급여가 재래종 보다는 교잡종에 흑염소의 생산성과 사료섭취량, 소화율, 질소축적을 및 혈액성상에 양호한 영향을 나타내어, 효율적인 사양관리체계의 확립과 함께 흑염소 생산농가에 경제적 이득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청보리 사일리지 급여 시 농후사료 급여수준이 흑염소의 가소화 영양소 섭취량, 영양소 이용율 및 질소축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Level of Concentrate on the Digestible Nutrient Intake, Using Efficiency of Nutrients and Nitrogen Retention of Korean Black Goat Fed Whole Crop Barley Silage)

  • 최순호;황보순;김상우;김원호;조익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9-66
    • /
    • 2010
  • 본 연구는 조사료원으로 청보리 사일리지 급여시 농후사료 급여수준이 육성기 흑염소의 가소화 영양소 섭취량, 영양소 이용율 및 질소축적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험구는 4처리구 (볏짚+농후사료 체중의 2.0%, 청보리사일리지 + 농후사료 체중의 2.0%, 체중의 1.5%, 체중의 1.0%)로 나누어 처리구당 3두씩 라틴방각법으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기간 동안의 1일 두당 가소화 조단백질 섭취량은 대조구, 청보리 사일리지에 농후사료를 각각 체중의 2.0과 1.5% 급여구가 농후사료를 1.0% 급여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0.05). 가소화 NFC 섭취량은 청보리 사일리지와 농후사료를 체중의 2.0% 급여구가 가장 높았고, 농후사료를 1.0% 급여구가 가장 낮았다 (p<0.05). 일당 증체량은 청보리 사일리지+농후사료 2.0%, 청보리 사일리지+농후사료 1.5%, 볏짚 + 농후사료 2.0%, 청보리 사일리지+ 농후사료 1.0%, 순으로 유의하게 낮아졌다 (p<0.05). 건물소화율은 청보리 사일리지와 농후사료를 1.5% 급여구가 대조구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05). 질소축적량은 대조구와 청보리 사일리지에 농후사료를 각각 체중의 2.0과 1.5% 급여구가 농후사료 1.0% 급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청보리 사일리지를 조사료원으로 급여시 육성기 흑염소의 생산성과 효율적인 영양소 이용을 위한 농후사료 급여수준은 1.5%가 적정한 것으로 사료된다.

사과박 첨가 볏짚 사일리지가 한국 재래산양의 사료 섭취량과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ddition of Apple Pomace to Rice Straw Silage on Feed Intake and Digestibility of Korean Native Goats)

  • 조익환;황보순;전하준;안종호;이주삼;한태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07-114
    • /
    • 2002
  • 본 실험에서는 볏짚에 사과박의 첨가비율을 달리하여 조제한 사일리지(볏짚:사과박 = 100:0, 80:20, 60:40, 40:60) 혹은 옥수수 사일리지에 건초 및 시판사료의 혼합 비율을 각각 40:40:20로 조제하여 한국 재래산양에게 급여하였고, 이들에 의한 사료섭취량, 소화율 및 질소 축적율 등을 조사하여 농산 가공 부산물의 사료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시험사료의 화학적 조성분은 조단백질 함량이 6.3∼7.3%이었고 ADF, NDF 및 조회분 함량은 볏짚 혼합비율이 100%(A구)가 각각 39.4, 61.6 및 8.9%로 가장 높았으며 옥수수 사일리지 급여구(E구)가 30.3, 53.4 및 4.9%로 가장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NSC 함량은 E구가 31.4%로 가장 높았다. 1일 두당 건물섭취량 및 대사체중 당 건물 섭취량은 사과박 혼합 비율이 가장 많은 D구가 각각 605.3과 69.5g으로 옥수수 사일리지 급여구인 E구의 394.0과 46.8g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일당 증체량은 사과박 혼합비율이 40(C구)과 60%(D구)에서 각각 16.7과 22.9g으로 사과박 혼합비율이 0(A구)과 20%(B구)의 0.17과 4.3g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건물 및 유기물 소화율은 D와 E구가 A와 B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ADF와 NDF 소화율도 D구가 각각 50.2와 57.4%로 A, B 및 E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질소 축적량과 축적율은 사과박 혼합 비율이 가장 높은 D구가 각각 1.4g과 20.4%로 가장 높았으며 A구가 -0.3g과 -7.75%로 가장 낮았다.

수입건초의 품질 및 기호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Quality and Palatability of Imported Hay and Straw)

  • 한상철;이인덕;이형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3-82
    • /
    • 2009
  • 본 연구는 2008년 1월부터 12월까지 충남대 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과 가축유전자원시험장에서 수행하였다. 공시가축은 유산양(Sannen, Capra aegagrus) 12두(female, $30{\pm}1.8kg$), 재래산양(Korean native goats, Capra hircus) 12두(female, $24{\pm}2.4kg$), 꽃사슴(sika deer, Servus nippon) 5두(female, $92{\pm}5.2kg$)를 공시하였다. 공시재료는 2006년에 미국에서 수입된 annual ryegrass straw, perennial ryegrass straw, tall fescue straw 및 Kentucky bluegrass straw 등 4종과, 2007년에 미국에서 수입된 alfalfa hay, bermudagrass hay, timothy hay, klein grass hay, oat hay 및 orchardgrass hay 등 6종 등 총 10종과 대조구로 국내산 혼합 목건초(mixed hay) 등 총 11종을 공시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입건초는 종류에 따라 화학적 성분과 건물소화율(in vitro digestibility, IVDMD)는 현저한 차이를 보였으며 (p<0.05), alfalfa hay와 orchard-grass hay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수입건초는 대조구에 비하여 조단백질(crude protein, CP)함량과 IVDMD가 낮은 반면에, NDF와 ADF 같은 섬유소물질의 함량은 상당히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RFV(relative feed value)는 수입건초의 종류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대부분의 수입건초의 RFV는 $4{\sim}5$등급에 해당되었다. 유산양, 재래산양 및 꽃사슴에 의한 채식량과 기호성은 수입건초의 종류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공통적으로 orchardgrass hay와 bermudagrass hay가 높았던 반면에, Kentucky bluegrass straw, tall fescue straw, annual ryegrass straw 및 perennial ryegrass straw 등은 채식량과 기호성 순위가 상당히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공시된 수입건초는 종류에 따라 품질과 기호성이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수입건초의 품질평가에 대한 기준설정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한우 미경산우 임신 단계가 채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gnancy Stage on Eating Behaviors of Hanwoo Heifers (Bos taurus coreanae))

  • 변병현;이재훈;이상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1-49
    • /
    • 2016
  • 본 연구는 한우 암소의 임신 단계에 따른 채식 및 반추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공시한우는 미경산 육성우(C), 미경산 임신 3개월령(T1), 미경산 임신 6개월령(T2) 그리고 미경산 임신 9개월령(T3)을 각각 3두씩, 총 12두를 4처리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그리고 사료급여는 배합사료 체중의 1%, 조사료는 자유 채식시킨 후 육안으로 48시간 행동관찰을 실시하였다. 조사료 섭취량은 T3구(3.68 kg)에서 가장 높았던 반면, C구(1.02 kg)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총사료 섭취량은 T3 > T2 > T1 > C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또한 체중 대비 건물 채식량 역시 T3 > T2 > T1 > C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채식시간, 반추시간 및 저작시간은 유의적으로 T3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p<0.05), 휴식시간은 C구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식괴수와 총 저작수는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T3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식괴수 당 반추시간은 처리구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식괴 당 저작수는 C > T1 > T3 > T2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분 당 식괴수는 처리구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음수 회수 및 배분 회수는 각각 C, T1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배뇨 회수는 임신기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채식율과 저작 효율은 임신기간이 진전됨에 따라 유의적으로 높게(p<0.05) 나타났다. 반추 효율은 T1구가 다른 처리구들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p<0.05).

분만 전·후 사료급여 형태가 젖소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partum and Postpartum Feeding System on Postpartum Productivity of Dairy Cows)

  • 기광석;김현섭;이왕식;이현준;김상범;정하연;은정식;김용국
    • 농업과학연구
    • /
    • 제34권2호
    • /
    • pp.151-159
    • /
    • 2007
  • 본 시험은 분만 전 3주부터 분만 후 3주까지 전환기라고 지칭되는 시기의 젖소들에 대한 대사적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료 섭취량 저하를 방지하고 분만 후 대사성 질병의 발생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어졌다. 대사성 질병에 관여하는 주요 요인으로는 건물섭취량, 혈중 glucose 함량, NEFA 함량, 반추위 환경, 면역 등인데, 분만 전 후 Holstein 젖소에 사료급여 형태를 조 농분리(저질 조사료와 양질 조사료 급여구) 및 TMR로 다르게 하였을 때 사료섭취량 변화와 혈중 NEFA 및 glucose 함량 변화를 측정하고 분만 후 젖소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처리별 사료 건물 섭취량은 저질 조사료 조 농 분리, 양질 조사료 조 농 분리, TMR 급여구에서 각각 13.48, 13.10, 17.11kg으로 TMR 급여구에서 유의성 있게 높았으며(P<0.05), TDN 섭취량은 처리 구별 각각 7.35, 7.19, 5.66kg으로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P>0.05). 신체충실지수(BCS)는 저질 조사료구에서는 3.03이였으며, 양질 조사료구와 TMR 급여구에서는 각각 3.19, 3.16이었다. 분만 후 1주부터 5주까지 측정한 평균 산유량은 저질 조사료 조 농 분리, 양질 조사료 조 농 분리, TMR 급여구에서 각각 34.1, 35.1, 35.6kg 였으며, 분만 후 4~5주에 최고 비유기에 달했다. 처리별 평균 유지율은 저질 조사료 조 농 분리, 양질 조사료 조 농 분리, TMR 급여구에서 각각 3.74, 3.68, 3.95%였다. 혈청내 NEFA 함량은 저질 조사료 조 농 분리, 양질 조사료 조 농 분리, TMR 급여구에서 각각 744.4, 381.8, $266.7{\mu}Eq/L$로 처리간에 큰 차이를 보여 양질 조사료 급여와 TMR 급여시 혈중 NEFA 함량이 저질 조사료 급여에 비해 유의성 있게 낮았다(P<0.05). 혈청내 glucose함량은 저질조사료 및 양질 조사료 조 농 분리, TMR 급여구에서 각각 39.3, 56.3, 62.4mg/dl로 양질 조사료 급여와 TMR 급여시 혈중 glucose 함량이 저질 조사료 급여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분만 전 3주부터 분만 후 3주까지의 전환기 동안 사료섭취량 증가와 대사성 질병의 지표로서 혈중 NEFA 및 glucose 함량 변화를 살펴 본 결과 분만 전 3주부터는 양질의 조사료나 TMR 형태로 급여하는 것이 사료섭취량 증가와 대사성 질병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