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service industry

검색결과 1,062건 처리시간 0.021초

Consumer perceptions on sustainable practices implemented in foodservice organizations in Korea

  • Ju, Seyoung;Chang, Hyeja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0권1호
    • /
    • pp.108-114
    • /
    • 2016
  • BACKGROUND/OBJECTIVES: Sustainable practices in foodservice organizations including commercial and noncommercial ones are critical to ensure the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for the future. With the rapid growth of the foodservice industry, wiser usage of input sources such as food, utilities, and single use packaging should be reconsidered for future generatio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stomer's perceptions on sustainable practice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sustainable practices, social contribution and purchase intention. SUBJECTS/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content analyses by reviewing articles on sustainable food service practices published domestically and abroad. Thereafter, data were collected with a face-to-face survey using a questionnaire and analyzed with factor analyses and multiple regressions. RESULTS: Sustainable practices classified with factor analysis consisted of 6 dimensions of green food material procurement, sustainable food preparation, green packaging, preservation of energy, waste management, and public relations on green activity, with a total of 25 green activities in foodservice operations. Consumers were not very familiar with the green activities implemented in the foodservice unit, with the lowest awareness of "green food material procurement (2.46 out of 5 points)", and the highest awareness of "green packaging (3.74)" and "waste management (3.28).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erception of social contribution by foodservice organizations among 6 sustainable practice dimensions were found to be public relations on green activity (${\beta}=0.154$), waste management (${\beta}=0.204$) and sustainable food preparation (${\beta}=0.183$). Green packaging (${\beta}=0.107$) and the social contribution of the foodservice organization (${\beta}=0.761$) had strong relationships with the image of the organization. The purchase intentions of customers was affected only by the foodservice image (${\beta}=0.775$).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ustainable practices by foodservice organization present a good image to customers and increase the awareness of valuable contributions that benefit the customer as well as the community.

남원 향토음식에 대한 관광객의 인지도 및 만족도 (Tourist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Native Local Foods of Namwon)

  • 김병숙;김연주;이영은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85-390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unique native local foods of Namwon and to provide basic data needed to reinvigoratethe tourist industry and local economy.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native local foods of Namwon were surveyed in 483 tourists (246 men and 237 women 53% visiting Namwon for the first time). Of the participants, 41.2% did not stay or eat in Namwon. Most tourists visited with other family members and spent approximately 20,000 won per capita on food. Of the foods sampled for the first time, preferred foods were (in order of preference and intention to order again) Chueo-tang, Hanjeongsik, wild edible greens-jeongsik, and black pork. The degree of food satisfaction was relatively favorable (3.54${\pm}$0.08 points on a 5-point satisfaction scale), with taste being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r 92.9% of the subjects. However, willingness to revisit Namwon on the basis of the local foods was not as high as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foods. Insufficient information and publicity concerning Namwon local foods were cited as impediments, and suggested improvements included taste, sanitation and food-based tourism. The degree of satisfaction was higher in men than in women. Age, residence, and occupation were not related to the degree of satisfaction. But, the willingness to revisit Namwon to sample local foods was related with gender (men more willing) and occupation (public service personnel, business owners, salaried employees, professionals, and housewives more willing, in order). Women in general and housewives in particular were most critical in food assessment.

인삼, 더덕 및 도라지 피클의 품질 특성 연구 (Physiological Evaluation of Korea Ginseng, Deoduk and Doragi Pickles)

  • 김애정;한명륜;정경희;조재철;박원종;한치원;장경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43-447
    • /
    • 2008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physiological evaluation of Korea Ginseng, Deoduk and Doragi pickles. Prior to the processing of the 3 kinds of pickles, total phenolic acid contents, lecithin oxidation inhibitory effect, SOD -linked activity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Korea Ginseng, Deoduk and Doragi water extracts were assessed. After the processing of 3 kinds of pickles, we conduct a sensory evaluation and color values assessment. The total phenolic acid contents of Korea Ginseng, Deoduk and Doragi water extracts were $1.66{\sim}1.70mg/m{\ell}$, levels which were similar to that of tocopherol($1.81mg/m{\ell}$) but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BHT($4.06mg/m{\ell}$)(p<0.05). The lecithin oxidation inhibitory effects of the Ginseng extract(98.86%) were similar to those of BHT(98.90%), bu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Deoduk(35.70%), Doragi(78.07%) and tocopherol(65.91%). SOD-linked activity of Korea Ginseng water extract (42.58%) was similar to those of BHT(47.86%) and tocopherol(50.47%), bu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Deoduk (17.98%) and Doragi(20.75%). The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Ginseng water extract(87.85%) was similar to that of BHT(8.58%), bu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Deoduk(79.51%), Doragi(77.62%) and tocopherol(78.95%). In the results of our sensory evaluations of the 3 kinds of pickles, the Ginseng pickle evidenced significantly lower acceptance scores in taste, color, flavor, texture, and overall quality. The luminance of the Ginseng pickl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Deoduk pickles, the value of the Doragi pickl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Ginseng and Deoduk pickles, and the b value of the Deoduk pickl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Ginseng pickle.

국가 나트륨 저감화 정책에 따른 생산 및 조리 주체별 나트륨 섭취 감소 기여 요인 분석 (Factors contributing to the reduction of sodium intake by food manufacture and cooking venues according to the national sodium reduction policies)

  • 김기랑;박소현;김지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3권6호
    • /
    • pp.648-662
    • /
    • 2020
  • 국내 나트륨 평균 섭취량은 2017년 3,477 mg으로 2010년 4,876 mg 대비 71.3%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나트륨 섭취량 감소 추이에서 생산 및 조리 주체별 구분에 따른 기여도에서는 산업체에서 생산된 식품과 가정에서 조리한 식품으로부터의 나트륨 섭취량 감소 비율이 단체급식과 외식업체에서 조리하여 제공하는 식품으로부터의 나트륨 섭취량 감소 비율보다 컸다. 식품군과 음식군으로부터 나트륨에 가장 많이 기여하는 요인은 생산 및 조리 주체별로 다르게 나타났는데, 산업체 생산에서는 김치류에서, 가정과 단체급식에서는 조리한 국/탕/찌개/전골류에서, 외식업체에서는 조리한 면/만두류였고, 나트륨 기여도가 가장 높았던 이들 식품 및 음식들은 연도에 따른 나트륨 섭취량 감소 폭도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정에서 조리한 국/탕/찌개/전골류와 면/만두류의 나트륨 함량 감소 폭은 외식업체 및 단체급식에서 조리한 음식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나트륨 섭취량에 주로 기여하는 주요 식품군과 음식군의 종류는 연도가 증가함에 따라 나트륨 급원 식품이 특정 식품 위주에서 다양한 식품으로 확대되는 경향을 보여, 향후 나트륨 저감 대상 품목에 대한 다양한 접근이 요구됨을 시시하였다. 국내 나트륨 섭취에 기여하는 식품은 가공식품을 완제품 형태로 섭취하는 것 외에도 조리 단계에서 식재료로 다양하게 사용하는 비율이 높으므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생산 및 조리 주체별로 식품군 또는 음식군을 분류하여 나트륨 섭취 주요 급원 및 감소 요인을 파악한 결과는 저염 식품의 개발 및 생산, 저염 섭취와 관련된 식생활 교육 등과 같은 분야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식문화를 고려한 다양한 식품 분류체계 방법을 마련하여 나트륨 섭취량 분석 및 저감 전략 수립에 활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Increasing Profitability of the Halal Cosmetics Industry using Configuration Modelling based on Indonesian and Malaysian Markets

  • Dalir, Sara;Olya, Hossein GT;Al-Ansi, Amr;Rahim, Alina Abdul;Lee, Hee-Yul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4권8호
    • /
    • pp.81-100
    • /
    • 2020
  • Purpose - Based on complexity theory, this study develops a configurational model to predict the profitability of Halal cosmetics firms in the Indonesian and Malaysian markets. The proposed research model involves two level configurations-industry context and selling strategies-to predict high and low scores of a firm's profitability. The industry context configuration model comprises industry stability, product homogeneity, price sensitivity, and switching cost. Selling strategies include customer-focused, competitor-focused, and margin-focused approaches. Design/methodology - This is the first empirical study that calculates causal models using a combination of industry context and selling strategy factors to predict profitability. Data obtained from the marketing managers of cosmetics firms are used to test the proposed configurational model using 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fsQCA). It contributes to the current knowledge of business marketing by identifying the factors necessary to achieve profitability using analysis of condition (ANC). Findings - The results revealed that unique and distinct models explain the conditions for high and low profitability in the Indonesian and Malaysian halal cosmetic markets. While customer-focused selling strategy is necessary to attain a higher profit in both the markets, margin-focused selling strategy appears to be an essential factor only in Malaysia. Complexity of the interactions of selling strategies with industry factors and differences between across two study markets confirmed that complexity theory can support the research configurational model.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also illustrated. Originality/value - Despite the rapid growth of the global halal industry, there is little knowledge about the halal cosmetic market.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current literature of the halal market by performing a set of asymmetric analytical approaches using a complex theoretical model. It also deepens our understating of how the Korean firms can approach the Muslim consumer's needs to generate more beneficial turnover/revenue.

유립연합 형성과 역내 직접투자 흐름 (The Enlargement of EU and the Flows of Direct Investment within EU)

  • 문남철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371-388
    • /
    • 2004
  • 유럽연합은 확대과정을 통해 지리적으로 크게 확대되고 있으며, 유럽연합(EU)과 유럽통화통합(EMU)의 출범을 통해 단일 경제권의 기능을 더욱 강화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지리적 확대와 경제적 통합의 강화에 따른 역내기업들의 투자지역 선택 범위의 확대로 역내 회원국간 직접투자는 크게 증대되었으며 지역간의 흐름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우선 유럽연합은 회원국간 경제발전수준의 격차로 인한 경제적 요소의 차이성에 의해 남-북 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단일시장 출범 이후 급격히 성장한 직접투자의 역내 통합은 북 유럽연합국에 의해 주도되었다. 둘째, 산업별 역내 직접 투자는 단일시장 형성 이후 제조업에 대한 투자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그리고 역내 직접투자 유출 입은 남 유럽연합국들이 서비스업부문의 유출과 제조업부문에 높은 유입비중을 보인 반면에 북 유럽연합 회원국들은 상대적으로 제조업부문의 유출과 서비스부문에 높은 유입비중을 나타내었다. 셋째, 제조업종별 역내 직접투자는 북 유럽연합국들은 석유 화학, 금속 기계, 음 식료업종에 높은 역내 투자 유출 입의 집중을 보인 반면에 남 유럽연합국들은 특정 제조업종에 대해 역내 투자 유출 입의 집중을 나타내지 않고 상대적으로 업종별 고른 투자경향을 보였다.

  • PDF

마 분말을 첨가한 어묵의 제조 및 특성 (Making Fish Paste with Yam(Dioscorea japonica Thumb) Powder and Its Characteristics)

  • 김정선;변광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57-69
    • /
    • 2009
  • 본 연구는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마의 섭취를 증대와 식품 제조에의 마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부재료의 첨가가 쉽고 소비자의 기호도가 높은 어묵 제조에 활용하여 마 분말을 첨가한 어묵을 제조하였다. 마 분말을 첨가한 어묵의 수분함량은 마 분말의 첨가 여부 및 첨가 비율에 관계없이 각각 79.53~80.44%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마 분말을 첨가한 어묵의 L값(Lightness)은 마 분말의 첨가 비율이 높아질수록 감소하였으며,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과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마 분말의 첨가 비율이 높아질수록 증가하였다. 마 분말 첨가 비율에 따른 어묵의 절곡 검사 결과는 마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Control)와 1%, 2% 첨가구는 A로 측정되었으며, 3~5% 첨가구는 AA로 측정되었다. 어묵의 조직감의 특성 중 강도(Strength), 껌성(Gumminess), 응집성(Cohesiveness), 탄력성(Springness)은 마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졌다. 마 분말 첨가 어묵의 관능 특성 중 갈색의 정도(외관)는 마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대체적으로 갈색의 정도가 강해졌으며, 윤기의 정도는 5.00~5.47의 범위로 보통 정도의 윤기를 나타내었다. 냄새의 항목 중 마 냄새의 정도는 마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강하게 평가되었으며, 생선 비린내는 마 분말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생선 비린내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구수한 냄새의 정도는 2%의 마 분말 첨가 어묵이 구수한 냄새의 정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맛의 항목 중 구수한 맛의 정도는 2% 마 분말 첨가 어묵이 가장 강한 것(6.00)으로 평가되었으며, 느끼한 맛의 정도는 마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어묵이 5.74로 가장 강하게 평가되었다. 조직감의 항목 중 강도(Strength)는 마 분말 첨가 어묵이 무 첨가 어묵보다 높은 강도로 평가되었으며, 껌성(Gumminess), 응집성(Cohesiveness), 탄력성(Springiness)의 정도는 마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강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마 분말 첨가량에 따른 어묵의 관능적 선호도는 전체 어묵 반죽 중량대비 2%의 마 분말을 첨가한 어묵이 색, 맛, 전체적인 선호도의 항목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조직감 또한 마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어묵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써, 마 분말을 첨가한 어묵은 어묵의 주요 품질 요인인 탄력성을 증가시키고 관능검사에서도 우수한 선호도를 나타내었으므로 대중적인 가공 제품으로써의 제조 가능성이 충분할 것으로 생각되며, 그 중에서도 어묵 반죽의 총 중량에 대하여 2%의 마 분말을 첨가하는 것이 마 분말 첨가 어묵 제조에 있어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대구지역 사업체급식소에 대한 HACCP 적용 효과 (Effects of HACCP Implementation on an Industry Foodservice Operation in Daegu)

  • 남은정;김미라;이연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6권2호
    • /
    • pp.223-230
    • /
    • 2003
  • 사업체급식소와 HACCP 적용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대구지역 특정 위탁급식소의 급식종사자 21명을 대상으로 2회에 걸친 HACCP 교육과 수시 현장지도를 통하여 HACCP을 적용한 후 미생물적 품질, 조리 및 배식온도와 소요시간을 측정하였다. 미생물 검사를 위한 음식물의 채취는 비가열조리식품, 가열후처리식품, 가열조리식품의 세 가지 조리 공정별로 CCP를 정하고 CCP별로 검수단계, 전처리단계, 조리단계, 배식단계에서 각각 취하였다. 미생물검사는 표준 평판균수와 대장균군수를 측정하였다. HACCP 적용 전에 비해 적용 후, 조리 및 배식단계에서 급식종사자들이 식품내부온도를 74$^{\circ}C$ 이상으로 유지하고, 위험온도대인 5~6$0^{\circ}C$ 에 보관하는 것을 피함으로써 가열조리식품에서 미생물적 품질은 향상되었으며, 조리기구의 미생물적 품질도 HACCP 적용 후 향상되었다. 그러나 HACCP 적용 후에도 비가열 조리식품과 가열후처리식품에서의 미생물적 품질은 기준에 적합할 만큼 향상되지 않았다. 비가열조리식품과 가열후처리식품은 검수단계에서의 식재료 및 양념류의 철저한 품질 검사부터 배식단계의 배식온도까지 세심한 주의가 요구되며, 조리종사자의 개인위생과 조리기구의 교차오염도 신경을 써야 한다. 그러므로 식품안전성이 보장된 급식을 위해서는 단체급식소의 조리종사자를 대상으로 하는 HACCP 교육을 통하여 HACCP을 적용할 뿐 아니라 식품제조업체에서의 HACCP 적용 또한 절실히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시판 차류의 Catechins, Theaflavins 및 Methylxanthins 함량에 관한 연구 (Catechins, Theaflavins and Methylxanthins Contents of Commercial Teas)

  • 김수연;소궤신행;한재숙;이갑랑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46-353
    • /
    • 2005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녹차, 현미녹차, 홍차 2종류, 오룡차 1종류 및 자스민 차 1종류의 티백 제품을 $80\%$ 에탄올과 물로 추출하여 7종의 catechins, 4종의 theaflavins 및 2종의 methylxanthins의 함량을 HPLC로 동시에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 catechins의 함량은 에탄올과 물 추출 모두 자스민 차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에탄을 추출은 녹차, 홍차(II), 오룡 차, 현미 녹차, 홍차(I)의 순이었으며 물 추출은 홍차(II), 녹차, 현미 녹차, 오룡 차, 홍차(I)의 순이었다. 또한 두 추출법에서, 녹차, 현미녹차, 오룡차, 홍차(II)의 경우는 총catechi 중 EGCG가 차지하는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홍차(I)과 자스민 차는 ECG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2. Theaflavin류는 TF, TF3G, TF3'G, TF33'G의 4종류가 홍차에만 분석되어 에탄을 추출은 홍차(I)과 홍차(II) 모두 TF33'G가 가장 높았으며 물 추출은 홍차(I)은 TF33'G가 홍차(II)는 TF가 가장 높았다. 3. Methylxanthin류로 caffeine과 theobromine은 에탄올과 물 추출에서 홍차(II)와 자스민차가 다른 차에 비하여 높았으며, 모든 시료에서 caffeine이 theobromine 보다 훨씬 더 많은 함량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 13종의 차 성분 중 홍차(I)에서 caffeine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낸 것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차에서 catechin 중 ECG와 EGCG의 함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성분이 차의 기능성 물질로 지배적인 물질이었다.

지리적 표시제에 대한 소비자 생산자,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Consumers, Producers, and Government Employees toward Geographical Indications)

  • 김현정;김동진;조정은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77-189
    • /
    • 2010
  • 본 연구는 소비자, 생산자, 지방자치단체 관련부서 공무원에 따라 농산물 및 가공품의 지리적 표시제에 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먼저, 인증 마크를 접해본 경험 유무에 대해 소비자의 경우 응답자의 약 56%가 접해본 경험이 없다고 밝혀 지리적 표시제 인증 마크에 대한 인지도가 매우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리적 표시제를 시행하고 있는 생산지역의 생산자들조차도 인증 마크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으며, 지방자치단체 관련 부서 공무원 역시 지리적 표시 인증 마크에 대해 잘 모르거나 접해본 경험이 없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리적 표시제 활성화 여부에 관하여는 소비자와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경우 지리적 표시제의 활성화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반면, 생산자는 활성화 되지 않거나 잘 모르겠다 등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지리적 표시제가 활성화 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소비자와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경우 소비자들의 낮은 인식으로 활성화 되지 못할 것이라는 이유가 높게 나타났으나, 생산자의 경우는 복잡한 등록 절차 및 부대 비용이라는 이유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소비자, 생산자, 지방자치단체 관련 부서 공무원들이 생각하는 농산물 및 가공품 분야별로 국내산과 수입산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 16개 품목 중 10개의 품목에서 생산자 또는 지방자치 단체 관련 부서 공무원이 소비자가 수입산을 더 선호할 것이라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생산자와 지방자치단체 관련 부서 공무원이 소비자의 선호도에 대해 잘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