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doctor(食醫)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음선정요(飮膳正要)』의 편제(編制)와 내용(內容)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Organization and the Contents of Eumsunjungyo(『飮膳正要』))

  • 홍진임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5-65
    • /
    • 2015
  • Objectives : Holsaye, the doctor responsible for the King's health, explained about ways to comfort body and mind and not get diseases for long life ("Yangsaeng") and about food in Eumsunjungyp which was a dietary cure book compiled and published in the Yuan Dynasty. This study examined about what the definition of Yangsaeng, introduced by a doctor from a different countr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ys in treating the sick with Yangsaeng and food in the Yuan dynasty. Methods : This study used Eumsunjungyo from the China Chinese Medicine Publisher as its method. It analyzed the organiz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of Eumsunjungyo, and compared with Korea's first dietary cure book Singnyochanyo("食療纂要"). Results : Eumsunjungyo is a dietary cure book written by a doctor in the Yuan Dynasty. It suggested different ways of Yangsaeng according to specific patients and purposes, and explained the importance of food. Singnyochanyo is a dietary cure book written by a doctor in the Joseon Dynasty. It suggested ways to cure each of categorized diseases using foods. Conclusions : Eumsunjungyo is a dietary cure book written in 1330 to which the unique food culture of the people in other countries applied. Singnyochanyo written in 1460 is a kind of dietary cure book as well, but it categorized foods for each disease and revealed characteristics as an emergency care. However, Eumsunjungyo stressed health management through Yangsaeng and foods throughout the whole life.

"약징(藥徵)"을 통해 본 길익동동(吉益東洞)의 의학사상 연구 III -길익동동의 의사관(醫師觀)과 의학관- (Yoshimasu Todo[吉益東洞]‘s medical theory extracted from ${\ulcorner}$Yakjing(藥徵)${\lrcorner}$ III)

  • 이정환;백유상;정창현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9권2호통권33호
    • /
    • pp.66-73
    • /
    • 2006
  • This study is on Yoshimasu Todo's thoughts of a real doctor and medicine. Conclusions are as below. disease-doctor[疾醫] is a doctor treating diseases by poisonous medicines. His role is different from food-doctor[食醫] who recuperates vital energy by food. Unlike food-doctor, a disease-doctor only detoxicates poisons of diseases by using poisonous medicines. Disease-doctor shall not take credit upon himself for the service of Heaven' s power. This is Yoshimasu Todo's view of a real doctor. Medicine is not an imagination, but a reality. It is the recognition of knowing what can be known and seeing what can be seen The truth of medicine is in ancient words(古語), ancient teachings[古訓] and ancient ways[古法]. To study medicine is not recklessly believing and following the contents of ancient medical texts-${\ulcorner}$Sanghanlon(傷寒論)${\lrcorner}$, ${\ulcorner}$Geumgwe-yolyag(金置要略)${\lrcorner}$,${\ulcorner}$Somun(素問)${\lrcorner}$, ${\ulcorner}$Yeongchu(靈樞)${\lrcorner}$. It is to follow the ancient ways written and left in ancient books and not to follow wrong ways fabricated by after ages. The theories of eum-yang-obaeng(陰陽五行) and o-un-yuggi(五運六氣) are useless to medicine because these are groudless ones. This is Yoshimasu Todo's view of medicine.

  • PDF

의료기관 임상영양사 요구도에 미치는 영향 : 임상영양서비스의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을 매개역할 중심으로 (Needs for clinical dietitian in hospital settings: Importance of doctor's awareness regarding clinical nutrition service as mediating variable)

  • 엄미향;박유경;송윤미;이송미;류은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5호
    • /
    • pp.519-529
    • /
    • 2017
  • 임상영양서비스에 대한 의사의 인식과 임상영양사 요구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에 대한 인과관계를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매개효과를 분석하고 부트스트래핑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한 이 연구의 결과물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5가지 가설을 다음과 같이 세웠다. 가설 1. '의사가 인식하는 임상영양서비스의 실행에 대한 의사의 인식'은 '임상영양서비스의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가설 2. 의사가 인식하는 '임상영양서비스의 질병 치료 효과에 대한 의사의 인식'은 '임상영양서비스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가설 3. '임상영양서비스의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은 '임상영양사 요구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가설 4. '임상영양서비스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은 '임상영양서비스 실행에 대한 의사의 인식'과 '임상영양사 요구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가설 5. '임상영양서비스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은 '임상영양서비스의 질병 치료 효과에 대한 의사의 인식'과 '임상영양사 요구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할 것 이다. 가설검증 결과와 매개효과 분석 결과 가설 1~5까지의 가설이 모두 지지되었다. 결론적으로 1) '임상영양서비스의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이 완전 매개로 작용한 경우는 임상영양서비스 실행 횟수에 상관없이 의사가 임상영양서비스의 중요도를 인식해야만 임상영양사 요구도를 인식한다는 것이며, 2) 임상영양서비스의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이 불완전 매개로 작용한 경우는 임상영양서비스의 질병 치료 효과에 대한 의사의 인식과 임상영양서비스 요구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 사이에서 프로세스 역할을 수행하지만, 임상영양서비스의 질병 치료 효과에 대한 의사의 인식이 임상영양서비스 요구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에 더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따라서 임상영양서비스에 대한 의사들의 긍정적인 인식은 임상영양사 요구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을 높이지만, 단순히 임상영양서비스의 양적 횟수 즉 임상영양서비스의 실행에 대한 의사의 인식이 아니라 환자 치료에 있어서 도움이 되는 질적 효과 즉 임상영양서비스의 질병 치료효과에 대한 의사의 인식과 임상영양서비스의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이 의사들에게서 임상영양서비스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이러한 의료진의 긍정적인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임상영양서비스를 수행하는 임상영양사의 전문성이 요구된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임상영양서비스에 대한 의사의 인식이 임상영양사 요구도에 영향을 준다고 여겨진다. 더불어 영양학 분야의 유사연구에서 사회과학 분야 통계기법을 활용하여 명확한 인과관계를 규명하는데 본 연구가 발판이 되어 질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