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allergies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4초

제주지역 미취학 아동의 식품알레르기 현황 및 이에 따른 부모의 양육 부담 (The status of food allergy and parental burden of preschoolers in Jeju area)

  • 오정은;김은영;이윤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4권6호
    • /
    • pp.664-67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 일부 만 6세 이하 미취학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아동의 식품알레르기 유병률 및 관리, 부모의 식품알레르기 관련 지식도와 양육 부담의 현황을 식품알레르기 유무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 총 387명으로 남아가 51.4%, 여아가 48.6%이었고, 그 중 식품알레르기를 경험한 아동은 16.8% (남아: 58.5%, 여아: 41.5%)로 조사되었다. 식품알레르기를 경험한 아동 중 실제로 의사로부터 식품알레르기 진단을 받은 아동 44.6%로 나타났다. 식품알레르기를 경험한 아동의 주된 증상으로는 구토, 설사, 기침, 복통, 쌕쌕 거림과 호흡곤란 순으로 나타났으며, 원인 식품으로는 난류가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고, 우유, 갑각류, 땅콩 및 콩류, 밀, 쇠고기 등이 뒤를 이었다. 또한 식품알레르기를 경험한 전체 아동의 부모 중 15.4%만이 대체식품을 사용한다고 조사되어 대부분의 부모가 대체식품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품알레르기를 경험한 아동의 부모에서 식품알레르기로 인한 양육 부담은 정서적 고충이 일상생활의 제약에 비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식품알레르기 관련 지식도는 식품알레르기 경험 유무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즉, 조사대상자의 식품알레르기 관련 지식과 식품알레르기 관련 교육 및 상담 참여경험 (보건소 또는 병원)비율과 의지가 식품알레르기 경험이 없는 아동의 부모보다 높아, 자녀의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관심과 동시에 그에 따른 양육 부담 및 근심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살펴볼 때, 미취학 아동 부모를 대상으로 한 식품알레르기의 예방과 대처방안 및 대체식품을 이용한 영양관리 등 수요자의 니즈-맞춤형 영양교육과 상담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며, 학부모의 접근성을 고려한 교육 및 상담 장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Food allergies and food-induced anaphylaxis: role of cofactors

  • Shin, Meeyo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4권8호
    • /
    • pp.393-399
    • /
    • 2021
  • Food allergies and food-induced anaphylaxis are important health problems. Several cofactors modulating the onset of anaphylaxis have been identified. In the presence of cofactors, allergic reactions may be induced at lower doses of food allergens and/or become severe. Exercise and concomitant infections are well-documented cofactors of anaphylaxis in children. Other factors such as consumption of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alcohol ingestion, and stress have been reported. Cofactors reportedly play a role in approximately 30% of anaphylactic reactions in adults and 14%-18.3% in children. Food-dependent exercise-induced anaphylaxis (FDEIA) is the best-studied model of cofactor-induced anaphylaxis. Wheat-dependent exercise-induced anaphylaxis, the most common FDEIA condition, has been studied the most. The mechanisms of action of cofactors have not yet been fully identified. This review aims to educate clinicians on recent developments in the role of cofactors and highlight the importance of recognizing cofactors in food allergies and food-induced anaphylaxis.

Knowledge of atopic dermatitis and food allergies, as well as health information literacy, among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a descriptive survey study

  • In-Sook Lee;Jeong-Hee Jeon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9권4호
    • /
    • pp.300-312
    • /
    • 2023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knowledge of atopic dermatitis and food allergies, as well as health information literacy, among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with preschool-age children and explored how these variables were related to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Methods: A descriptive study design was used. Data from 130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were collected between January and March 2023. Results: The mean scores were 14.48 of 30 for atopic dermatitis knowledge; 2.77 of 10 for food allergy knowledge, and 56.95 of 80 for health information literac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knowledge of atopic dermatitis based on breastfeeding duration (F=4.12, p=.009), and in knowledge of food allergies based on mixed feeding (F=3.11, p=.049). Health information literacy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education level (F=3.76, p=.026), occupation (F=3.99, p=.021), checking nutritional information (t=2.91, p=.004), mixed feeding (F=4.50, p=.014), and atopic dermatitis diagnosis (t=6.86, p=.001).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atopic dermatitis knowledge, food allergy knowledge, and health information literacy. Conclusion: Personalized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implemented to improve awareness of allergies and health information literacy among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which would help them find, evaluate, and understand health-related information. These programs should focus on providing nutrition and dietary education to promote healthy growth in children and prevent diseases.

The effects of elimination diet on nutritional status in subjects with atopic dermatitis

  • Kim, Jungyun;Kwon, Jaryoung;Noh, Geunwoong;Lee, Sang Su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7권6호
    • /
    • pp.488-494
    • /
    • 2013
  • A food allergy is an adverse health effect arising from a specific immune response that occurs reproducibly upon exposure to a given food. In those with food allergies that are thought to cause aggravation of eczema, food avoidance is importa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nutritional status of patients with food allergies. A total of 225 subjects diagnosed with atopic dermatitis underwent a skin prick test as well as measurement of serum immunoglobulin E. Food challenge tests were conducted using seven food items: milk, eggs, wheat, soybeans, beef, pork, and chicken. At post-food challenge visits to the test clinic, participants completed a three-day dietary record, which included two week days and one weekend day, in order to evaluate energy intake and diet quality during the challenge. We analyzed nutrient intake based on differential food allergens. Subjects with a food allergy to milk showed lower intake of Ca, Zn, and vitamin B2, and subjects with a food allergy to egg showed lower intake of vitamin A, B1, B2, niacin, and cholesterol. Subjects with a food allergy to wheat and soybean showed lower intake of Ca, P, Fe, K, Zn, vitamin B2, vitamin B6, and niacin; and subjects with a food allergy to beef, pork, and chicken showed lower intake of Fe and higher intake of K, vitamin A, B2. Subjects with atopic dermatitis were lacking in several nutrients, including vitamin A and vitamin C. A greater number of food allergies showed an association with a greater number of nutrient intake deficiencies. Allergen avoidance is the basic treatment for atopic dermatitis. However, when the allergen is food, excessive restriction can lead to nutrition deficiency.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cessity for enhanced nutritional education in order to provide substitute foods for patients with food allergies who practice food restriction.

미취학 아동 학부모의 식품 알레르기 인지도와 영양관리 (Food Allergy Awareness and Nutritional Management by the Parents of Preschool Children)

  • 김수빈;김정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26-439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food allergy (FA) awareness and management by the parents of preschool children.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parents of preschool children.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prevalence of food allergies, requirements of food allergy support and differences in food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allergic diseases, using a modified International Study of Asthma and Allergies in Childhood (ISAAC) questionnaire. After excluding incomplete responses, the data of 158 parents of preschool children (90.3%)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rate of the preschool children who had experienced food allergy (FA, ever) was 38.6% while diagnosed for food allergy by doctor (Diagnosis of FA, ever) was 17.7%. Forty nine preschool children (80.3%) had food restriction, and twenty three of them (37.7%) had self-restriction without diagnosis. The consumption frequencies of allergenic foods in FA group, such as ramyeon, noodles, bread, eggs, yogurt and ice cream were significantly (p<0.001) lower than those of the other two groups. The major allergenic foods were eggs, milk, wheat and processed foods in FA group. The overall food allergy-related knowledge level of parents was insufficient. Only 26 parents (16.5%) had received training about food allergies. All parents wanted to receive food allergy-related supports. In addition, most of parents wanted information on substitute menu for children with food allergy. Conclusions: This study identified a lack of food allergy training for the parents of preschool children and the necessity for food allergy education. Food allergy-related supports, such as menus without allergenic ingredients, guidelines for managing food allergy & anaphylaxis emergency care plan etc, should be provided to the parents in order to avoid events related to food allergies.

서울시 일부 아동의 식품알레르기 위험요인 : 식품 섭취와 환경적 요인을 중심으로 (Risk factors for food allergy among children in Seoul: focusing on dietary habits and environmental factors)

  • 장미정;김규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6호
    • /
    • pp.559-568
    • /
    • 2019
  • 서울시 일부 아동 대상의 식품알레르기 유병률과 위험 요인 및 다른 알레르기 질환과의 연관성 조사결과 식품알레르기 의사 진단 유병률은 14.2%, 알레르기 증상을 한번이라도 경험한 아동의 유병률은 20.4%, 최근 12개월 내 증상 경험 유병률은 17.4%이었다. 식품알레르기를 한번이라도 경험한 아동 612명을 대상으로 알레르기 경험 특성을 도출한 결과 대부분 식품 경구 섭취를 통해 발생하였고 증상 유발식품은 난류, 복숭아, 우유, 땅콩, 새우 등이 있었다. 식품알레르기 증상 경험 유병과 12개월 내 주요 알레르기 유발 의심식품 섭취의 위험요인으로는 곡류, 감자류, 패스트푸드, 견과류, 우유 등이 유의한 영향이 있었다. 식품 섭취의 경우 식품알레르기 증상을 경험한 아동일 경우 견과류, 우유 및 유제품, 난류의 섭취 빈도가 낮을수록 위험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환경적 위험요인으로 연령, 부모의 알레르기 질환력, 항생제 복용요인이 도출되었으며, 기타 알레르기 질환과도 관련이 있었다. 최근 식품 알레르기의 또 다른 환경적 위험요인으로 다른 연구들에서도 언급되는 요인이기에 이와 관련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식품알레르기의 경험이 있는 아동은 다른 알레르기 질환으로 이환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이에 따라 규칙적인 식품 섭취와 조기진단을 통하여 유발식품을 명확히 알고 제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이 연구 결과를 통해 서울에 거주하는 아동의 유병률과 증상경험의 특성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중재방안을 도출할 기초자료로의 의미가 있을 것이다.

Food allergen sensitization in young children with typical signs and symptoms of immediate-type food allergies: a comparison between monosensitized and polysensitized children

  • Kim, Na Yeon;Kim, Ga Ram;Kim, Joon Hwan;Baek, Ji Hyeon;Yoon, Jung Won;Jee, Hye Mi;Baek, Hye Sung;Jung, Yong Ho;Choi, Sun Hee;Kim, Ki Eun;Shin, Youn Ho;Yum, Hye Yung;Han, Man Yong;Kim, Kyu-Ear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8권9호
    • /
    • pp.330-335
    • /
    • 2015
  • Purpose: The clinical interpretation of children sensitized to allergens is challenging, particularly in children with food allergies. We aimed to examine clinical differences between children with monosensitization and those with polysensitization to common food allergens and to determine risk factors for polysensitization in young children <10 years of age with immediate-type food allergies. Methods: The study included children <10 years of age with signs and symptoms indicative of immediate-type food allergies. Serum total IgE level was measured, and ImmunoCAP analysis for food allergens was performed. Results: The mean age of the study subjects was $1.6{\pm}1.6$ years (75 boys and 51 girls). Thirty-eight children (30.2%) were monosensitized and 88 children (69.8%) were polysensitize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development of polysensitization to common food allergen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 parental history of allergic rhinitis (adjusted odds ratio [aOR], 6.28; 95% confidence interval [CI], 1.78-22.13; P=0.004), season of birth (summer/fall) (aOR, 3.10; 95% CI, 1.10-8.79; P=0.033), and exclusive breastfeeding in the first 6 months of age (aOR, 3.51; 95% CI, 1.20-10.25; P=0.022). Conclusion: We found significant clinical differences between children with monosensitization and those with polysensitization to common food allergens and identified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polysensitization in young children with immediate-type food allergies. Clinicians should consider these clinical risk factors when evaluating, counseling, treating, and monitoring young children with food allergies.

전남지역 초등학교와 중학교 영양(교)사의 식품알레르기 관련 업무에 관한 인식 및 수행도 (Perception and Practices Regarding Food Allergy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Nutritionists in the Jeonnam Area)

  • 김영미;허영란;노희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51-161
    • /
    • 2014
  • 본 연구는 전남지역 학교 급식에서의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관리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전남에 근무하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영양(교)사 236명을 대상으로 식품알레르기 업무에 관한 인식과 수행도 및 지식수준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품알레르기 업무 우선순위에 대한 인식은 초등학교와 중학교 영양(교)사 모두 식품알레르기 유병 학생 파악, 제거식 대체식 제공, 식품알레르기 표시 식단표 게시 및 발송, 교직원 및 조리종사원 교육과 학생 학부모 교육 순이었다. 전남지역 영양(교)사의 89.3%가 식품알레르기 관련 영양교육 및 상담 자료가 충분치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교육 및 상담 자료는 스스로 인터넷 검색을 통하여 활용하는 경우가 전체 평균 55%로 가장 많았다. 또한 식품알레르기 학생 관리에 대한 영양(교)사의 역할에 대해서는 전체 대상자의 94.0%가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자신의 식품알레르기 지식 및 이해수준은 초등학교 영양(교)사 37.1%, 중학교 영양(교)사 42.4%가 40~60% 정도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식품알레르기에 관한 업무 수행도는 식품알레르기 표시 식단표 게시 및 발송(63.6%), 식품알레르기 유병 학생파악(43.2%), 대체식 및 제거식 제공(23.7%), 식품알레르기 교육 및 상담실시(19.9%) 순이었으며, 이들 식품알레르기 관련 업무 우선순위와 수행도 사이에는 차이가 있었다. 한편 식품알레르기 유병 학생 파악 업무(P<0.001), 식품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 식단표의 게시 및 발송 업무(P<0.05) 수행도는 초등학교가 중학교 영양(교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문항에 대한 정답률은 초등학교 영양(교)사 71.5%였고, 중학교 영양(교)사 65.8%로 초등학교 영양(교)사가 유의하게 높았다(P<0.01). 식품알레르기 관련 교육 및 연수 이수율은 전체 조사대상자의 16.9%로 매우 낮았으며, 식품알레르기 교육 수강여부는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지식 문항 정답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전남지역 초등학교와 중학교 영양(교)사의 식품 알레르기에 대한 업무 우선순위, 영양(교)사의 역할 중요도, 연수 요구도 등에 대한 인식은 높은데 비하여, 업무 과다, 교육 자료 및 연수 기회 부족 등으로 식품알레르기에 관한 업무 수행도는 부분적으로 미흡하였고 지식수준은 분야에 따라 미흡한 상태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들은 학교 급식에서 식품알레르기 관련 업무에 대한 수행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영양교사의 인식수준에 부합하는 체계적인 양질의 교육과 연수 기회 제공, 학생 스스로의 식품알레르기 관리와 예방을 위한 영양교육 시수 확보 및 단위학교에 적합한 식품 알레르기 관리 매뉴얼의 제작 보급이 우선적으로 필요함을 시사한다.

식품 알레르기 관리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설계 (Application Design for Food Allergy Management)

  • 한지욱;김남빈;이예원;양병승;허원회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197-203
    • /
    • 2024
  • 식품 알레르기는 일반적으로 흔하게 발생하며 연례적으로 사고가 발생한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알레르기의 심각성과 식품 성분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상태이다. 현재 시장에 나와 있는 알레르기 관련 애플리케이션들은 특정한 인증을 받은 제품, 식품 성분 미제공, 바코드에만 의존하여 정보를 제공한다는 문제점 등을 가지고 있다. 본 설계에서는 식품 알레르기 환자를 위한 맞춤형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계획한다. 본 애플리케이션은 OCR 기술을 활용하여 이미지의 텍스트를 추출한 후 식품 성분을 읽고 큰 글씨로 표시되도록 하였다. 또한 필터링 기술을 통해 사용자가 섭취하지 못하는 성분을 선택하면 식품 성분 검색시 빠르고 간편하게 제한 식품을 보여주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바코드를 스캔하거나 제품을 검색하면 해당 제품의 성분 정보를 제공하는 바코드 스캐닝 및 검색 엔진 기술을 통해 식품 성분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데이터베이스와 다양한 정보 탐색 방법을 사용하여 식품 알레르기가 있는 사용자들이 식품성분을 간편하게 확인하여 알레르기 반응을 피할 수 있는 앱을 설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보육시설 교사 및 운영자의 식품알레르기 인지도 조사 - 대전광역시 동구, 중구 지역을 중심으로 - (Survey of Food Allergy Perception of Teachers and Operators of Child Care Facilities - Focusing on Jung-gu and Dong-gu in Daejeon -)

  • 이은용;이선영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4권3호
    • /
    • pp.231-245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food allergy knowledge and management of the teachers and operators of child care facilities in the Daejeon Area. Surveys of 262 teachers and 50 operators of child care facilities in Dong-gu and Jung-gu in Daejeon were conducted. The prevalence of food allergies was found to be 3.6% (102 children). The average score of teachers in the anaphylaxis knowledge survey was $0.18{\pm}0.22$. Additionally, the needs for food allergy education among teachers and operators was 88.2% and 98%, respectively. The survey revealed that all child care facilities in this study provide food service menus to parents, but only 14 facilities (28%) provided alternative food to children with food allergies, and some of these 14 facilities did not provide adequate alternatives. To ensure the safety and healthy growth of children with food allergi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food allergy education to teachers and operators, as well as to establish safe food service and allergy management systems in all child care fac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