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Pen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31초

Effects of Package Materials on Quality Change of Pine Bud Beverage Under Ultraviolet Light

  • An, Duek-Ju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4권4호
    • /
    • pp.349-353
    • /
    • 2009
  • The effects of packaging materials on preserving the functional component of pine bud beverage stored under UV (ultraviolet) light exposure conditions were studied. The order of UV light blocking properties of the selected packages was: opaque can> opaque PET (polyethylene terepthalate) with green lamination=transparent PET with 10% PEN (polyethylene naphthalate) blending> transparent PET, and did not depend on film thickness in specified range. At 20${^{\circ}C}$, the order of preserving degree of original color and endobornyl acetate, which is quality index of pine bud beverage, was the same as above. Exposure to UV light can cause of deterioration of functional food components, but green color lamination and blending of PEN materials with transparent PET help to preserve the UV sensitive pine bud beverage components. However, the treated PET bottles have poorer preservation capabilities than the opaque cans. Transparent PET with PEN blending, in particular, will be very useful packaging material for colorful functional beverage preservation by helping to protect the ingredients while attracting consumer attention.

Poly (ethylene naphthalate) (PEN 수지)의 2,6-디메틸나프탈렌 디카복실레이트 (2,6-NDC)과 2,6-나프탈렌디카복실산(2,6-NDA) 분석법 확립 (Analytical Method Development of 2,6-dimethylnaphthalene Dicarboxylate (2,6-NDC) and 2,6-naphthalene Dicarboxylic Acid (2,6-NDA) in Poly (ethylene naphthalate) (PEN))

  • 성준현;오재명;신동우;최재천;임호수;박세종;박건우;김소희;김미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6-62
    • /
    • 2013
  • 연구에서는 PEN 수지 안전관리를 위하여 HPLC-UV 검출기를 이용한 2,6-NDC 및 2,6-NDA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분석법 검증 결과, 2,6-NDC 및 2,6-NDA 모두 $0.002{\mu}g/mL$ 검출한계, $0.005{\mu}g/mL$ 정량한계 및 $0.05{\sim}1{\mu}g/mL$의 농도 범위에서 $r^2$= 0.999 이상의 직선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회수율도 90~110%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3D펜의 디지털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igitalization of 3D Pen)

  • 김종용;전병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583-590
    • /
    • 2021
  • 본 연구는 아날로그 3D펜의 디지털화에 대한 연구이다. 디지털은 항상성과 변형가능성, 결합성, 재생산성 그리고 보관의 편리성 등의 특징이 있다. 이런 디지털 특성과 생산을 융합한 장치가 3D프린터인데 낮은 생산성과 재료, 물리적 특성의 한계로 산업적 활용이 제한적이다. 특히 3D프린터를 사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모델링 소프트웨어 및 프린터 장치에 대한 전문기술로 인하여 사용자 접근성이 떨어지는 등의 개선 점이 있다. 이것을 보완한 3D펜은 휴대성과 사용용이성이 뛰어난 반면 디지털화가 불가능하다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디지털화 능력과 사용편이성을 확보하고 프린팅공정 중 유해성 논란이 있는 프린팅 재료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푸드를 결합하여 연구문제와 대안을 도출하였으며 개발한 3D펜을 통하여 디지털화를 실증하였다. 3D펜의 디지털화를 위하여 구조화된 장치를 통하여 아날로그적 3D펜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특정하고 이 움직임을 공간해석 알고리즘을 통하여 3차원 데이터인 X,Y,Z 좌표값으로 변환하였다. 이를 증명하기 위하여 Meshlab v1.3.4을 이용하여 시각화하고 유사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이 장치(푸드펜)을 통하여 청소년 교육 및 시니어헬스케어 프로그램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키조개 부산물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휘발성 향기성분에 관한 연구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Pen Shell By-product Hydrolysate)

  • 차용준;김은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964-971
    • /
    • 1995
  • 키조개 부산물로 부터 향미제로 응용하기 위하여 제조한 가수분해물의 유리아미노산 및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유리아미노산의 경우 가수분해물이 생시료에 비해 3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taurine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생시료와 가수분해물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 109종의 화합물이 동정되었는데 이중에서 생시료는 88종, 가수분해물은 65종이 검출되었다. 그리고 이들은 주로 알데히드류(16종), 케톤류(17종), 알콜류(31종), 함질소화합물류(16종), 방향족화합물류(8종), 에스테르류(3종) 및 기타 화합물류(17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특히 생시료에서의 산화취 성분인 알데히드류 및 방향족화합물은 가수분해물에서 상당량 감소되었으며 반면에 고소한 향기성분인 heterocyclic 화합물이 상당량 검출되었다.

  • PDF

Spontaneous Release of Bacteriophage Particles by Lactobacillus rhamnosus Pen

  • Jarocki, Piotr;Podlesny, Marcin;Pawelec, Jaroslaw;Malinowska, Agata;Kowalczyk, Sylwia;Targonski, Zdzislaw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3호
    • /
    • pp.357-363
    • /
    • 2013
  • The identification of bacteriophage proteins on the surface of Lactobacillus rhamnosus Pen was performed by LC-MS/MS analysis. Among the identified proteins, we found a phage-derived major tail protein, two major head proteins, a portal protein, and a host specificity protein. Electron microscopy of a cell surface extract revealed the presence of phage particles in the analyzed samples. The partial sequence of genes encoding the major tail protein for all tested L. rhamnosus strains was determined with specific primers designed in this study. Next, RT-PCR analysis allowed detection of the expression of the major tail protein gene in L. rhamnosus strain Pen at all stages of bacterial growth. The transcription of genes encoding the major tail protein was also proved for other L. rhamnosus strains used in this study. The present work demonstrates the spontanous release of prophage-encoded particles by a commercial probiotic L. rhamnosus strain, which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bacterial growth of the analyzed strain.

한국 재래식 누룩 중의 곰팡이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Fungi from Nuruk)

  • 조갑연;이철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759-766
    • /
    • 1997
  • From Nuruks, a traditional Korean starter for rice wine, collected from 42 different areas in Korea, 111 fungal strains were isolated. These isolates were identified as 25 species belonging to seven genera of Rhizopus oryzae(14 strains), R. oligosporus(8 strains), R. nigricans(5 strains), R. arrhizus (5 strains), Aspergillus oryzae(12 strains),Asp. parasiticus(8 strains), Asp. fumigatus(3 strains), Asp. ochraceus(7 strains), Asp. wentii(5 strains), Asp. parasiticus(8 strains), Asp. penicilloides(3 strains), Asp. clavatus(4 strains), Penicillium purpurogenum(2 strains), Pen. glabrum(1 strain), Pen. granulaturm (1 strsin), Pen. fellutanum(1 strain), Geotrichum candidum(2 strains), Absidia corymbifera(12 strains), Mucor racemosus(2 strains), M. plumbeus(2 strains) and Curvularia lunatus(3 strains).

  • PDF

변질미(變質米)에서 분리된 독소생성(毒素生成)곰팡이의 방사선(放射線) 감수성(感受性) (Radiation Sensitivity of Some Toxigenic Molds Isolated from Deteriorated Rice)

  • 최언호;김홍열;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48-153
    • /
    • 1975
  • 국내의 변질미(變質米)에서 분리, 동정된 7종의 독소생성(毒素生成)곰팡이 Aspergillus clavatus, Asp. flavus var. columnaris, Asp. fumigatus, Asp. ochraceus, Penicillium citrinum, Pen. implicatum 및 Pen. islandicum의 코발트-60 감마선에 대한 감수성(感受性)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공시(共試)한 모든 곰팡이의 분생포자(分生胞子)에 대한 생존곡선(生存曲線)은 S자형을 나타냈으며 11.56 krad/min의 선량율(線量率)에서 $D_{10}$값은 $14{\sim}33$ krad, 유도선량(誘導線量)은 $12{\sim}56$ krad, 200 krad 에서의 불활성화계수(不活性化係數)는 $4.6{\sim}12.8$이었다. Asp. flavus와 Pen. islandicum분생포자(分生胞子)의 방사선(放射線) 감수성(感受性)에 미치는 선량율(線量率)의 영향을 보면 고선량율(高線量率)(11.56 krad/min)은 저선량율(低線量率)(2.67 krad/min)보다 $D_{10}$값의 감소를 가져왔다.

  • PDF

Differentiation of Three Lactobacillus rhamnosus Strains (E/N, Oxy, and Pen) by SDS-PAGE and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of Surface-Associated Proteins

  • Jarocki, P.;Podlesny, M.;Wasko, A.;Siuda, A.;Targonski, Z.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3호
    • /
    • pp.558-562
    • /
    • 2010
  • SDS-PAGE of extracted surface-associated proteins of Lactobacillus rhamnosus strains E/N, Oxy, and Pen, was performed. The obtained protein patterns allowed differentiation of the examined strains, which was not accomplished by the commonly used RAPD genotypic method. The differentiation by the SDS-PAGE method proved to be a useful tool for strain-specific identification, which was further confirmed by 2DE analysis. Therefore, it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or complementary method for both conventional and genotypic identification procedures, especially when closely related lactobacilli isolates are identified.

Penicillium citrinum 생육과 citrinin 생성에 미치는 젖산균의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Lactobacillus spp. on the Growth and Citrinin production by Penicillium citrinum)

  • 신동균;이용욱;김종규;정덕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19-126
    • /
    • 1991
  • Penicillium citrinum의 생육과 citrinin 생성에 젖산균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Penicillium citrinum을 치이즈 열성균인 Lactobacillus casei 및 Lactobacillus Bulgaricus와 혼합배의를 실시하였다. 즉 glucose를 7% 첨가한 APT 배지에 공식균을 각각 독립배의한 경우(Pc, Lb 및 Lc) , Penicillium citrinum 과 Lactobacillus spp.를 동시에 접종, 배양한 경우(ST; Pc+Lb 및 Pc+Lc) , Lactobacillus spp.를 접종하여 3일간 배양한 후 Penicillium citrinum을 접종하여 배양한 경우(LbPc 및 LcPc), 그리고 Penicillium citrinum을 접종하여 3일간 배양한 후 Lactobacillus spp.를 접종하여 배양한 경우 (PcLb 및 PcLc)로 구분하여 각각 30℃에서 15일간 정식 배의하면서 경시적으로 (0, 3, 6, 9, 12, 15일) 배의 액의 pH와 산도를 측정하고 공식균의 생육과 citrinin 생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 균의 생육은 혼합배의 의 경우 Penicillium citrinum의 성장이 크게 둔화되었고 특히 젖산균을 먼저 접종한 군(PcLb 및 PcLc)의 경우 더욱 현저히 나타났다. Citrinin의 생성은 곰팡이 대조군(Pc)과 곰팡이를 먼저 접종한군(PcLb 및 PcLc) 에서는 비슷한 함량을 보였으나 곰팡이와 세균을 동시 접종한 경우 (ST) 감소되었고, 특히 Lactobacillus spp. 배양 후 Penicillium citrinum을 접종한 군(LbPc 및 LcPc)에서는 citrinin 생성이 나타나지 않아 Penicillium citrinum의 생육과 citrinin 생성이 경쟁적으로 작용하는 microflora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가리비(Patinopecten yessoensis) 및 키조개(Atrina pectinata)의 부위별 중금속 함량 및 위해도 평가 (Heavy Metal Contents in Internal Organs and Tissues of Scallops Patinopecten yessoensis and Comb Pen Shell Atrina pectinata)

  • 최우석;윤민철;조미라;권지영;김지회;이희정;김풍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487-493
    • /
    • 2017
  • Recent years have seen steadily increasing concerns about human exposure to heavy metals through seafood consumption. In Korea, the diverse dietary patterns of different bivalve shellfish necessitate tissue-specific evaluation of heavy metal contents for risk assessment. We analyzed the heavy metal contents of various tissues in scallops (Patinopecten yessoensis) and pen shells (Atrina pectinate). In both species, we found higher levels of cadmium (Cd) in the mantle than in the adductive muscle,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tissue types in total mercury (THg) and lead (Pb) (P<0.05). Levels of THg and Pb were acceptable by Korean standards. However, the level of Cd in pen shell mantle tissue exceeded the standard by 40%. The rate of heavy metal exposure from consumption of these species was shown to be 0.003-0.010% of the provisional tolerable weekly intake of THg and 0.312-0.600% of the provisional tolerable monthly intake (PTWI) of Cd as recommended by the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These findings on the tissue-specific heavy metal contents of these species will be useful in assessing the health risks of Korean dietary hab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