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Interest

검색결과 1,031건 처리시간 0.041초

두릅나무 25개 선발 클론의 형태적 특성과 유연관계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 of 25 Selected Clones of Aralia elata Seem)

  • 김세현;김문섭;한진규;김혜수;문흥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6-4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약용식물로 부가가치가 높은 두릅나무 선발클론을 대상으로 잎, 가시 그리고 동아의 형태적 특정을 조사하고 다변량 분석 방법을 통하여 선발클론 간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주성분 분석 결과, 제4 주성분까지의 누적 기여율은 76%로 나타났으며, 유집분석 결과 거리 수준 2.0을 기준으로 I그룹은 강원 연곡 등 15클론, II그룹은 경기 여주 등 5클론, III그룹은 봉화와 울릉 클론, IV그룹은 용문과 보성 클론 그리고 V그룹은 신구 클론으로 총 5개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외식산업 관리자의 리더십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 (New Trends of Managers' Leadership Style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 전경철
    • 산학경영연구
    • /
    • 제19권1호
    • /
    • pp.223-240
    • /
    • 2006
  • 최근의 외식산업은 치열한 경쟁력과 함께 인력수급이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인적서비스의 효율적인 관리가 중요시 되면서 리더십에 대한 연구가 호텔과 패밀리 레스토랑을 대상으로 관리자와 종사자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되고 있지만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외식산업에서의 최근 연구동향을 토대로 향후 연구의 방향을 살펴보면 첫째, 외식산업에서 직속상사를 포함한 관리자와 종사자에 관한 국내 연구가 미미한 상황에서 외식산업 관리자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가 최근의 변화한 조직내 구성원에 대한 실증연구를 토대로 호텔과 패밀리레스토랑을 대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또한 과거 대부분의 종사자에 대한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등의 연구가 임금이나 승진 등에 초점을 두었는데 과거보다 학벌수준이 높고 젊은 층이 많은 조직내 구성원에 대한 조직문화에 초점을 둔 시대의 흐름에 맞는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한다. 둘째, 변혁적 리더십과 리더-구성원 교환관계는 각기 독립적으로 연구에서 관리자의 리더십이라는 하나의 틀 속에서 분석해 실증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기업의 핵심인재의 관리와 함께 금전적 보상체계의 개혁뿐 아니라 비금전적 차원에서의 배려나 지원이 요구된다. 네째, 외식산업 관리자의 역할 또한 전문가로서 평생직장의 개념보다 평생직업으로서 자신의 능력과 함께 매뉴얼이 있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구성원들에게 지속적으로 교육훈련을 시킬 수 있는 리더십개발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하며 마지막으로 환경과 조직문화에 따라 리더십 유형의 적용이나 선택이 외식업채 특성에 맞는 실증적 연구가 앞으로도 계속 진행되어야 될 것이다.

  • PDF

고등학교 가정과학의 운영실태 및 교과에 대한 담당교사들의 인식 -부산시, 울산시, 경남지역 일반계 고등학교 가정과학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The Current Practice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High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Focusing on Busan, Ulsan and Kyoungnam Area-)

  • 김상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61-77
    • /
    • 2005
  • 본 연구는 부산시, 울산시, 경남지역에 소재하는 일반계 고등학교 중 여자고등학교와 남녀공학에 근무하는 가정과학 담당 교사 70명을 대상으로 가정과학의 운영실태와 교과에 대한 인식을 통하여 향후의 수시개정에 대비하고 보다 바람직한 가정과학의 교육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2004년 10월 20일$\~$11월 26일까지에 걸쳐 조사대상학교로 설문지를 우송하는 우편설문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보면, 가정과학은 여고일수록 총학급 규모가 클수록 가정과학을 이수하고 있었으며, 근무교사 수도 많았다. 수업내용으로 다루고자 하는 영역을 살펴보면, $70\%$의 교사들이 4-5개 대영역을 선택하고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가족생활과 식생활 영역을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하였다. 가정과학의 수업 시 가장 큰 애로사항은 학생들의 흥미부족과 참고서 부족으로 나타났다. 가정과학 고과에 대한 인식에서 교사들은 가정과학이 기술${\cdot}$가정과는 연계성이 높다고 보고 있었으며, 교과목 표면에서 진로와 직업탐색에서 취약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가정과학의 교과내용에 대한 필요도는 전반적으로 높게 인식되었으나, 교사들이 본 학생들의 흥미도는 이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특히 가족생활과 식생활 영역에 관해서는 필요도와 흥미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기능을 많이 다루는 의생활과 주생활 영역에서는 필요도와 흥미도가 낮게 나타났다. 미래 요구도 면에서는 교과내용의 전반에 걸쳐서 다소의 수정/개선과 강화가 요구되고 있었는데, 그 중에서도 '소비자역할과 보호' 및 '가족의 영양과 건강' 에 대해서는 강화, '편물과 자수', '의복의 디자인과 제작'은 내용적 축소가 요구되고 있었다. 향후 추가되어야 할 내용으로는 최근의 가정 및 사회의 변화 현상을 반영할 필요가 제기되었고, 교사들은 가정과학이 지닌 문제점으로 교과내용의 과다, 중복, 진부성, 심화수준의 불충분함 등을 지적하고 있었다.

  • PDF

주요일간지의 건강관련기사내용 분석 (An Analysis on the Contents of the Health Related Articles in the Newspapers. (From the points of view of Health Education))

  • 김지미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9-42
    • /
    • 198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ducatconal function of the health related articles. The health articles of the four major daily newspapers from Jan. 1st, 1980 to Dec. 31th, 1984 were used and examined for the study. Editorials were excluded. The major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total number of the health articles subjected to the study in the four major daily newspapers was 4,431. On the whole, the health articles were appeared most frequently in 1981. As for monthly distribution, the health articles were appeared most frequently on June.(9.3%). As for weekly distribution, the health articles were appeared most frequently on wednesday and saturday(50.8%). As for the subjects of content; the health articles related to the health & disease management were appeared most frequently(52.8%), but the health articles on industrial health were showed least frequently(0.6%). 2. Reviewing the chronological trend of the health articles,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the public health administration was tended to increase year by year, whereas that of enviornmental health, industrial health and population decrease relatively. As for appealing method, it was observed that the articles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were steadily increasing. As for the motives of writing the health articles, there was a tendency that seasonal motive, symphosium & seminar and compaign were increasing, but motive of legislative action and administrative action were gradually decreasing. As for type of the health articles, it was observed that interpretation and research result were steadily increasing. As for the writer of the health articles, there was a tendency that writing by reporter was increasing, whereas writing by experts was decreasing. As for tone of head, the health articles written by identification statement was tended to increase. As for the appearance of photograph & cut, it was observed that the health articles excluding photograph & cut were increasing. 3. When contents were analyzed by subject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information was used most frequently as appealing method for all subjects. As for the motive of writing, "from the interest of writers" was most frequent. As for the type of articles, interpretation type was most prevalent for the public health administration, enviornmental health, food hygrene & nutrition, population and health behavior, while contribution by experts was most frequent for the health & disease management. As for the size of articles, all subjects except the population were appeared most frequently on the column. size between 100㎠ and 199㎠.

  • PDF

외식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전통주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ection Attributes of Traditional Liquor by Life-style of Eating-out Consumers)

  • 권용주;이재훈;송흥규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90-107
    • /
    • 2012
  • 본 연구는 전통주의 소비시장을 세분화하고 관련 산업에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전통주를 음용하는 외식 소비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전통주 선택속성을 측정하여 그 차이를 규명하고 전통주 선택속성 중에서 구매만족에 미치는 변수를 찾는데 있다. 조사대상은 서울의 대도시 상권에 소재한 민속주점을 이용하고 있는 20대 이상의 성인으로 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10년 8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전통주와 관련된 외식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은 사회형, 마니아형, 지식추구형, 문외형으로 분류되었고, 전통주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소비자 그룹은 군집분석에 의해 전문가, 애호가, 초보자, 무관심자로 구분되었다. 그리고 전통주 선택속성은 전통주의 특성요인, 맛과 향요인, 대중성요인, 조화요인, 관심 요인 등 총 6개 요인으로 나타났다. 검증결과, 외식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분류된 소비자의 그룹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전통주 선택속성과의 차이점에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비자의 그룹에 따른 전통주에 대한 선택속성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전통주 선택속성은 구매만족에 부분적으로 영향관계에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중 맛과 향, 대중성이 긍정적인 정(+)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Strategic Vitalization Plan of Korean Integrated Medical Tourism

  • Kweon, Kee-Tae;Kim, Hwa-Kyung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41-50
    • /
    • 2013
  • Objectives: As a newcomer to the medical tourism industry, Korea needs to differentiate itself from the leading competing countries to vitalize its early-stage medical tourism industry.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a strategic plan to vitalize the Korean integrated medical tourism so that Korea can differentiate itself from competing countries and create high added value. Methods: The concept and actual conditions of medical tourism and Oriental medical tourism were examined. A plan to differentiate Korea from the competing countries in the medical tourism industry was studied to create high added-value through strategic vitalization of its medical tourism industry. Results: Korean integrated medical tourism must be developed differently from those of other South-East Asian countries in order to strategically promote the cash-cow medical tourism industry. In order to develop such medical tourism, Korean medical practice, which integrates Western and Oriental medicine, is to be developed through mutual understanding and fusion of other disciplines among medical doctors and Oriental medical doctors who are working in local healthcare for health promotion of local residents and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This will play a key role in developing a unique medical tourism product of Korea by means of strategic alliances as an integrated medicine. Manpower specialized for integrated medicine is to be specially supplied for Oriental medicine-related business lines at city, county and borough levels, among local governments, that are enthusiastically carrying forward Oriental medical tourism with an interest to promoting more active and strategic business development and raise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public health centers handling related medical tourism. Manpower specialized for Korean integrated medical tourism is to be specially supplied for the Ministry of Culture, Health and Tourism, a policy control tower to develop and vitalize high value-added fusion (theme) tourism products such as the Korean integrated medical tourism, in order to discover, promote and support Korean integrated medical tourism's differences from existing medical tourism. Conclusions: The differentiated integrated medical tourism that only Korea can offer in a variety of forms, in order to create a key area of high value-added medical tourism, should be strategically vitalized through a liaison between integrated medicine and tourism and the realization of patient-centered health care services with medical technology developed based on mutual understanding of Western and Oriental medicine.

초.중.고 국어교과서에 나타난 농업.농촌 다원적 기능 교육 내용 분석 (Content Analysis on Rural Multi-Functionality Published Language Textbooks in Elementary.Middle.High School)

  • 김은자;임칠성;김영;이상영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19-640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alternative plans on the prejudiced and distorted parts in school textbooks in the aspect of multi-functionality of agriculture and rural community. This was done through analysis of the contents in 44 kinds of schoolbooks in Korean language (30 of elementary school, 12 of middle school and 2 of high school). This will lead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about the multi-functionality and form the proper value system related to agriculture and rural community for children and juveniles using schoolbooks. A content analysis which is a research tool to classify all contents of materials containing the properties to become the object of interest in a systematic way, was employed to examine to what extent the contents on agriculture and rural community were reflected in the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he content analysis was done in two categories, namely; application method and function view. Application method had four types of texts, cases, figures pictures, and activities, while function view emphasized the relevance for the multi-functionality of agriculture and rural community (i.e., function of environment preservation, function of rural scenery and rural traditional culture conservation, function of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local society, and function of food security). The results of application method in elementary school showed that the textbook of the second-year class having a large amount of figures pictures related to agriculture and rural community, had the highest frequency in all six grades. In the function view, the environment preservation function was most abundant among a variety of multi-functionalities. In middle school, the average frequency had shown a rapid decrease. However, the function of environment preservation in the function view and the texts by application method were most frequent. in the first-year class. In high school, however, any mention related to agriculture and rural community was not made,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ten parts of textbook contained a lot of contents with a reasonable level. Based on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by part in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have been drawn, and several examples for the content development to be included in the textbooks were listed.

  • PDF

동물실험에서 인삼의 항비만 효과: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을 위한 연구 프로토콜 (Anti-Obesity Effect of Panax Ginseng in Animal Models: Study Protocol fo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조재흥;김고운;박혜성;윤예지;송미연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7-45
    • /
    • 2017
  • 최근 비만이 전 세계적인 문제로 대두되면서 임상 연구의 해석에 필요한 중요 자료를 제시해 줄 수 있는 동물 모델을 이용한 생리학적 기전 연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인삼은 많은 동물 실험에서 항비만 또는 항당뇨 효과가 보고되었으나 인체의 임상에서 비만을 연구한 논문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신체계측치수와 대사지표를 활용한 동물 모델에서의 인삼의 항비만 효과의 근거수준을 평가하고자 한다. 전임상 단계에서 비만에 대한 인삼의 효과를 연구한 대조군 연구, 비교 연구를 포함시키고자 한다. 실험적으로 비만을 유도하는 도중 혹은 이후에 인삼을 투여하고, 일차평가변수는 신체계측치수, 이차평가변수는 지방조직의 무게, 섭취음식의 총량, 대사지표 등을 포함한다. 언어, 출판일 등 특별한 제한 없이 MEDLINE, Embase, PubMed, Web of Science, Scopus를 통해 논문 검색을 시행한다. 본 연구에서의 자료 수집은 개인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며, 사생활 침해의 우려가 없으므로 윤리적 승인 대상에서 제외된다. 연구의 전체과정을 수행한 후 연구결과는 연관 저널에 출간하거나 관련 학회에 발표할 예정이다. 본 연구 프로토콜은 the Collaborative Approach to Meta-Analysis and Review of Animal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CAMARADES) website (http://www.camarades.info)에 등록되었다.

이온수기 필터(pH)의 안정화 성능평가 (Stabilization Performance Evaluation of Filter(pH) Using Ionic Water Generator)

  • 남상엽;권윤중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3호
    • /
    • pp.199-205
    • /
    • 2015
  • 본 연구는 이온수기의 필터에 관련된 것으로 요즘 건강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물은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하다. 그 중에서 이온 수기는 의료기기로 분류되어 식약청에서 승인을 거친 후 제조할 수 있고, 기능을 가지고 있는 물을 만드는 시스템이다. 이온 수기는 기본적으로 저장되고 포장된 물이 아니며 이온 수기는 수도나 지하수에 직접 연결되어 여러 가지 필터를 통해 깨끗하게 정수된 pH7~7.5의 중성수를 격막을 이용하여 전기 분해하면 물속에 있는 음이온과 양이온을 격막을 통해서 -전극 쪽에는 칼슘($Ca^+$), 칼륨($K^+$), 마그네슘($Mg^+$), 나트륨($Na^+$)을 포함한 물로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이 포함된 알칼리이온수를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온수기에서 전기분해의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여 Ph농도를 5~9까지 변화를 주어 사용한다. 통상1단(pH8), 2단(pH8.5), 3단(pH9), 4단(pH9.5)으로 알칼리 이온 수에 사용되고 -1단(pH6.0), -2단(pH5.0)의 산성이온수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초기 필터의 상태를 확인해 보면 직수에서 필터를 통과한 정수상태에서 물은 약알칼리로 출수된다는 것이 큰 문제이다. 따라서 초기에 설정된 이온수의 pH값은 필터가 안정화된 후 값은 전혀 틀린 값이 나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초기에 설정된 이온수기의 pH 값은 사용 중 크게 변화하여 참값이 될 수 없음을 규명하였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필터를 일정시간 통수 세척을 해서 사용하거나 필터의 초기 산성화 처리를 해서 중성화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Bioimpedence to Assess Breast Density as a Risk Factor for Breast Cancer in Adult Women and Adolescent Girls

  • Maskarinec, Gertraud;Morimoto, Yukiko;Laguana, Michelle B;Novotny, Rachel;Guerrero, Rachael T Leo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1호
    • /
    • pp.65-71
    • /
    • 2016
  • Although high mammographic density is one of the strongest predictors of breast cancer risk, X-ray based mammography cannot be performed before the recommended screening age, especially not in adolescents and young women. Therefore, new techniques for breast density measurement are of interest. In this pilot study in Guam and Hawaii, we evaluated a radiation-free, bioimpedance device called Electrical Breast Densitometer$^{TM}$ (EBD; senoSENSE Medical Systems, Inc., Ontario, Canada) for measuring breast density in 95 women aged 31-82 years and 41 girls aged 8-18 years. Percent density (PD) was estimated in the women's most recent mammogram using a computer-assisted method.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linear regression were applied for statistical analysis. In adult women, mean EBD and PD values of the left and right breasts were $230{\pm}52$ and $226{\pm}50{\Omega}$ and $23.7{\pm}15.1$ and $24.2{\pm}15.2%$, respectively. The EBD measurements were inversely correlated with PD ($r_{Spearman}=-0.52$, p<0.0001); the correlation was stronger in Caucasians ($r_{Spearman}=-0.70$, p<0.0001) than Asians ($r_{Spearman}=-0.54$, p<0.01) and Native Hawaiian/Chamorro/Pacific Islanders ($r_{Spearman}=-0.34$, p=0.06). Using 4 categories of PD (<10, 10-25, 26-50, 51-75%), the respective mean EBD values were $256{\pm}32$, $249{\pm}41$, $202{\pm}46$, and $178{\pm}43{\Omega}$ (p<0.0001). In girls, the mean EBD values in the left and right breast were $148{\pm}40$ and $155{\pm}54{\Omega}$; EBD values decreased from Tanner stages 1 to 4 ($204{\pm}14$, $154{\pm}79$, $136{\pm}43$, and $119{\pm}16{\Omega}$ for stages 1-4, respectively) but were higher at Tanner stage 5 ($165{\pm}30{\Omega}$). With further development, this bioimpedance method may allow for investigations of breast development among adolescent, as well as assessment of breast cancer risk early in life and in populations without access to mammograp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