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llicular fluid

검색결과 198건 처리시간 0.029초

생쥐 정자의 첨체반응에 미치는 Dimethyl Amiloride의 영향 (Effect of Dimethyl Amiloride on the Acrosome Reaction in Mouse Epididymal Sperm in vitro)

  • 계명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3권1호
    • /
    • pp.87-93
    • /
    • 1999
  • 생쥐 정자의 수정능력획득과 첨체반응에 작용하는 $Na^{+}$/H$^{+}$ antiporter의 역할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Na^{+}$/H$^{+}$ antiporter를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dimethyl amiloride는 정자의 자발적인 첨체반응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한 반면 난포액 및 calcium ionophore인 A23l87에 의해 유도된 첨체반응은 억제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자내 $Na^{+}$/H$^{+}$ antiporter에 의한 1가이온의 출입과 이에 따른 세포질내 pH 조절이 정자의 수정능력 획득과 자발적인 첨체반응에 조절요인으로 작용함을 암시한다. 수정능력을 획득한 정자에서 난포액 등의 agonist 또는 A23l87에 의해 유도되는 첨체반응은 $Na^{+}$/H$^{+}$ antiporter와는 무관하게 진행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체외수정시술시 Sequential ET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 (Effect of Sequential Embryo Transfer in vitro Fertilization)

  • 정병준;김종식;송현진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7권1호
    • /
    • pp.75-81
    • /
    • 2000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fluence of sequential embryo transfers in an invitro fertilization was examined. Method: After in vitro fertilization, a maximum of 6 fertilized oocytes was enrolled in this study. At day 3 after an oocytes retrieval, embryos with good quality were transferred (mean 4.9), remaining embryos (mean 2.0/cycle) were cryopreserved at blastocyst stage (Group 1). At day 5 after oocytes collection, second a embryo transfer (mean 1.2/cycle) was performed, if one of these embryos had reached the blastocyst stage (Group 2) using P1 supplemented with 10 SSS and 30% Follicular fluid.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pregnancy rate could be seen between the group without a second embryo transfer (n=21; 28.6%) and the group with a second transfer (n=52; 28.8%). Results: The incidence of multiple pregnancy rate per embryo transfer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both group and no high-rank multiple pregnancy (greater than triplete) were observed (0.9%, 15.4%, respectively, p=0.74, ${\chi}^2$). Out of 114 cycles (506 embryos) cultured embryos in group 2, 52 cycles (159 embryos, 29.8%) reached the blastocyst stage. Conclusion: The second transfer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egnancy rate.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pregnancy seems to be the quality of the embryos transferred on day 3 following oocyte retrieval. We recommend embryo transfer is performed only one, day $2{\sim}3$ or D5.

  • PDF

안면부 및 경구개부 기형을 초래한 거대 여포성 치아낭종 1례 (A Case of the Dentigerous Cyst which produce the Facial and Palatal Deformity)

  • 박순일;문태용;이석용;윤강묵;심상열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1년도 제15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2.1-12
    • /
    • 1981
  • 여포성 치아낭종은 치아여포와 관련되어 발생하는 낭종으로서, 매몰 혹은 미립치아의 치관부가 완전히 형성된 이후에 치관부와 퇴행성 변화를 일으킨 사기질 상피 사이에 액체가 저류되어 낭종으로 발달된 것을 말한다. 여포성 치아 낭종은 전 치성낭종의 약 20%를 차지하며, 영구치에서 잘 생긴다. 하악골에 주로 발생하며, 특히 매몰치아가 흔한 하악골색 제 3 대구치, 상악골의 견치에서 잘 볼 수가 있다. 안면부 기형이 나타날 때까지는 임상증세가 없는 것이 보통이나 종들이 커지면 안면부 기형과 함께 구개부 융기, 종물부위의 이물감, 암통 및 인접치아의 치근 흡수등을 초래하기도 한다. 드물게는 범람종, 상피암 및 점막상피암등의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조기적출을 하는 것이 좋다. 진단방법으로는 X-선 촬영이 중요하며 이때에 치관주변부가 투명하게 나타난다. 저자들은 최근 안면부 기형 및 경구개 융기를 초래한 거대 여포성 치아남종이 있던 15세 남자 환자를 치험하였기에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Effect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on Porcine In Vitro Maturation

  • Biswas, Dibyendu;Hyun, Sang-Hwan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13-218
    • /
    • 200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EGF on in vitro maturation of porcine oocytes. The base medium for IVM, TCM-199 was supplemented with 0.6 mM cysteine, 0.91 mM pyruvate, 10 ng/ml epidermal growth factor, $75{\mu}g/ml$ kenamycin, $1{\mu}g/ml$ insulin and 10% (V/V) porcine follicular fluid (pFF) as a Group A; Group B was consists of Group A plus 5 ng/ml VEGF; Group C was consists of replacement of pFF by 10% PVA and Group D: was consists of Group C plus 5 ng/ml VEGF. 1. The maturation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control and VEGF+pFF group than other two groups ($76.1{\pm}9.6,\;78.9{\pm}6.0\;vs\;60.4{\pm}14.2\;and\;58.3{\pm}14.3$, respectively). 2. Addition of VEGF without pFF showed a negative effect on oocytes maturation and about 58.26% oocytes were reached to M-II stage. 3. In the parthenogenetic development, the cleavage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control and VEGF+pFF group ($73.2{\pm}1.8\;and\;64.6{\pm}1.1$, respectively) than other groups ($47.9{\pm}1.8\;and\;48.3{\pm}1.7$, respectively). 4. The blastocyst formation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VEGF+pFF group ($32.6{\pm}2.4$) compared to control and other groups. 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ell numbers (inner cell mass or trophectoderm) among these groups.

돼지에서 난자의 체외발육 배양액 내 첨가된 거대분자물질이 작은 난포 유래 미성숙 난자의 성장, 성숙 및 배 발육에 미치는 영향 (Various macromolecules in in vitro growth medium influence growth, maturation, and parthenogenetic development of pig oocytes derived from small antral follicles)

  • 이한나;이용진;이주형;이근식;이승태;이은송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9권2호
    • /
    • pp.81-88
    • /
    • 201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various macromolecules in in vitro growth (IVG) media on the growth, maturation, and parthenogenesis (PA) of pig oocytes derived from small antral follicles (SAF). Immature oocytes were cultured for two days in IVG medium supplemented with 10% (v/v) fetal bovine serum (FBS), 10% (v/v) pig follicular fluid (PFF), 0.4% (w/v) bovine serum albumin (BSA), or 0.1% (w/v) polyvinyl alcohol (PVA) and then maintained for 44 h for maturation. After IVG, the mean diameters of the SAF treated with FBS, PVA, and no IVG-MAF ($113.0-114.8{\mu}m$) were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no IVG-SAF ($111.8{\mu}m$). The proportion of metaphase II oocytes was higher in PFF (73.6%) than in BSA (43.5%) and PVA (53.7%) but similar to that in the FBS treatment (61.5%). FBS and PFF increased cumulus expansion significantly compared to PVA and BSA while the intraoocyte glutathione content was not influenced by the macromolecules. Blastocyst formation of PA oocytes treated with FBS (51.8%), PFF (50.4%), and PVA (45.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BSA-treated oocytes (20.6%). These results show that the PFF and FBS treatments during IVG improved the growth, maturation, and embryonic development of SAF.

In vitro maturation using αMEM with reduced NaCl enhances maturation and developmental competence of pig oocytes after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 Lee, Yongjin;Lee, Joohyeong;Hyun, Sang-Hwan;Lee, Geun-Shik;Lee, Eunsong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3권2호
    • /
    • pp.31.1-31.13
    • /
    • 2022
  • Background: Compared to medium containing 108 mM sodium chloride (NaCl), in vitro maturation (IVM) using a simple medium with reduced (61.6 mM) NaCl increases the cytoplasmic maturation and embryonic development of pig oocytes. Objectives: This study determines the effect of a complex medium containing reduced NaCl on the IVM and embryonic development of pig oocytes. Methods: Pig oocytes were matured in Minimum Essential Medium Eagle-alpha modification (αMEM) supplemented with 61.6 (61αMEM) or 108 (108αMEM) mM NaCl, and containing polyvinyl alcohol (PVA) (αMEMP) or pig follicular fluid (PFF) (αMEMF). Medium-199 (M199) served as the control for conventional IVM. Cumulus cell expansion, nuclear maturation, intra-oocyte glutathione (GSH) contents, size of perivitelline space (PVS), and embryonic development after parthenogenesis (PA) and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SCNT) were evaluated after IVM. Results: Regardless of PVA or PFF supplementation, oocytes matured in 61αMEM showed increased intra-oocyte GSH contents and width of PVS (p < 0.05), as well as increased blastocyst formation (p < 0.05) after PA and SCNT, as compared to oocytes matured in 108αMEMP and M199. Under conditions of PFF-enriched αMEM, SCNT oocytes matured in 61αMEMF showed higher blastocyst formation (p < 0.05), compared to maturation in 108αMEMF and M199, whereas PA cultured oocyt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s: IVM in αMEM supplemented with reduced NaCl (61.6 mM) enhances the embryonic developmental competence subsequent to PA and SCNT, which attributes toward improved oocyte maturation.

체외성숙 과정 중 생쥐와 돼지 난자의 Malate Dehydrogenase(Mor2)의 기능에 대한 비교 분석 (Comparative Functional Analysis of the Malate Dehydrogenase(Mor2) during in vitro Maturation of the Mouse and Porcine Oocytes)

  • 김은영;김경화;김윤선;이현서;김유나;이경아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1권3호
    • /
    • pp.263-272
    • /
    • 2007
  • 생쥐의 난자는 특별한 첨가물이나 난구세포 없이 체외 배양해도 성숙율이 높은 반면 돼지 난자의 체외성숙율은 매우 낮다. 본 연구는 이러한 차이의 원인을 연구하기 위하여 생쥐와 돼지 난자의 에너지 생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malate dehydrogenase(Mor2)의 기능을 RNAi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생쥐와 돼지 각각의 Mor2 double-stranded RNA(dsRNA)를 제작하고, 생쥐는 난구세포를 제거한 미성숙(GV) 난자의 세포질에 mMor2 dsRNA를 미세 주입한 후 16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돼지는 난구세포를 제거하거나(DO) 혹은 그대로인 상태(COCs)로 pMor2 dsRNA를 미세 주입한 후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사용한 배양액은 M199에 10%의 porcine follicular fluid, pyruvate, p-FSH, EGF, cystein, estradiol-$17{\beta}$ 등이 첨가된 배양액을 사용하였고, 배양 후 난자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고, Mor2 mRNA양의 변화를 RT-PCR로 확인하여 RNAi 결과, 염기서열 특이적으로 Mor2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돼지 난자의 pMor2 RNAi 결과, DO 난자에서는 약 58%의 난자가 MI에서 성숙이 억제되었으나, COCs에선 84.4%가 MII로 성숙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돼지의 난구세포가 난자 성숙에 매우 중요하며, 특히 malate 공급에 관여할 것임을 시사한다. 선행 연구 Mor2 RNAi 결과, 생쥐는 GV에서, 본 연구에서 돼지는 MI에서 성숙이 정지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차이가 배양액의 차이인지 다시 mMor2 RNAi 후 생쥐 난자를 M199 배양액에 16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성숙율을 관찰하였더니 MII로의 성숙율은 62%로 대조군과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었다(non-injected: 76.8%, buffer-injected: 73.3%). 이는 mMor2 RNAi 결과가 배양액의 조성에 의해 극복될 수 있음을 보여준 결과다. 생쥐와 돼지에서 서로 다른 대사과정을 갖고 있음은 바로 이 두 종에서의 체외성숙율 차이의 원인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앞으로 두 종에서의 난자와 난구세포간의 상호작용 및 대사 경로 등에 관한 심도 깊은 비교 분석 연구를 통하여 돼지의 체외성숙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배양 시스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眼前房내에 이식한 생쥐배의 초기발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arly Development of the Mouse Embryo Transplanted in the Anterior Chamber of the Eye)

  • 조완규;김문규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5-33
    • /
    • 1972
  • 배아의 발생에 대한 연구는 in vivo 나 in vitro의 방법을 통해 근래 비?적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들의 연구결과에 따르자면, 성분이나 함량 혹은 물리학적 성질이 혈청따위의 체액과는 다른 전방수가 들어차 있는 안전방의 환경은 배아의 발생에 극히 부적당한 곳이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실험의 결과를 보면 초기배아의 발생은 극히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런 점에 비추어 우리는 두 가지 가능성을 추론할 수 있다. 첫째는, 배아의 어느 한정된 범위에서는 그의 환경에 쉽게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배아세포가 미분화의 상태에 있다는 점과 대사의 정도가 분화된 다른 세포들에 비해 비교적 낮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들 배아는 안전방내의 환경과 같은 특수한 곳에서도 능히 생존할 수가 있는 것이다. 둘째는, 배아를 받아들인 후 전방수의 특성이 달라질 것이라는 점이다. 토끼에서는 일단 안전방내의 전방수가 유출되고 나면 혈청과 비슷한 체액이 약8시간 동안 안전방내에 형성되고 그뒤 차차로 본래의 전방수로 대치된다. 쥐에서도 이러한 체액이 안전방내에 형성된다면 배아를 받아들인 안전방내의 전방수의 성질이 혈청과 비슷해지므로 배아의 발생이 가능해질 수가 있다. 단지 그러한 체액이 전방수의 유출 후 120시간까지 그대로 남아있을 것인가에 대한 의문은 그대로 남아있지만 위의 두가지 가능성에 대하여는 배아의 생태나 행동과 관련시켜 앞으로 더 연구해야 할 것이다.

  • PDF

체외성숙 배양액에 첨가된 eCG 및 돼지 FSH가 돼지 미성숙 난자의 체외성숙과 단위 발생 및 핵이식 난자의 체외발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quine Chorionic Gonadotropin and Porcine Follicle-Stimulating Hormone on Oocyte Maturation and Embryonic Development after Parthenogenesis and Nuclear Transfer in Pigs)

  • 유진영;정찬우;김진영;이은송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13-220
    • /
    • 200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CG and various concentrations (20, 40, and 80 ${\mu}g/ml$) of porcine FSH on nuclear maturation and intracellular glutathione (GSH) level of oocytes, and embryonic development after parthenogenetic activation (PA) and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SCNT) in pigs. Immature pig oocytes were matured in TCM-199 supplemented with porcine follicular fluid, cysteine, pyruvate, EGF, insulin, and hormones (10 IU/ml hCG and 10 IU/ml eCG or $20{\sim}80{\mu}g/ml$ FSH) for the first 22 h and then further cultured in hormone-tree medium for an additional 22 h. Nuclear maturation of oocytes ($85{\sim}89%$) was not influencem foreCG and various concentrations FSH. Embryonic development to the cleavage stage ($86{\sim}94%$) and mean number of cells in blastocyst ($33{\sim}37$ cells) after PA were not altered but blastocyst formation e-treignificaddlor(p<0.05) improvem forthe supplementation eith 80 ${\mu}g/ml$ FSHr(64%) compared to 47%, io8%, iand 47% in oocytes that were treated with eCG, 20,i and 40 ${\mu}g/ml$ FSH,i numectivelo. In SCNT, fusion ($78{\sim}83%$) of cell-cytoplast couplets and siosequent embryo cleavage ($82{\sim}88%$) were not influencem fordifferent gonadotropins but blastocyst formation tended to increase forthe supplementation eith 80 ${\mu}g/ml$ FSHr(25% vs. $11{\sim}18%$). Our nuults demonstrated that oocyte maturation and embryonic development after PA and SCNT e-frinfluencem fortype of gcem fortype of gits concentration. In this study, supplementation of maturation medium eith 80 ${\mu}g/ml$ FSHrimproved preimplantation development of PA and SCNT pig embryos, probably by increasing intracellular GSH concentration of matured oocytes.

배양액 용량이 마우스 2-세포기 배의 배반포 형성, 세포수 및 내세포괴 비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dia Volume on Blastocyst Formation, Cell Numbers and ICM Proportion in Mouse Two-cell Embryos)

  • 김성엽;박기상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1권1호
    • /
    • pp.1-7
    • /
    • 2004
  •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마우스에서 배양액의 용량이 배반포 배 형성과 세포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sim}4$주령 ICR 암마우스에게 48시간 간격으로 5 IU PMSG와 hCG 주사 후 (hCG 주사 후 수컷과 동숙) $46{\sim}50$시간에 난관으로부터 총 138개의 2-세포기 배를 회수하여 2 ml (group I) 또는 $50{\mu}l$ (group II)의 배양액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 20% human follicular fluid)에서 72시간 동안 배반포기까지 배양하였다. 배반포 배는 zona-intact (ZiB)와 zona-escape (ZeB)로 등급을 구분하고 나서, propidium iodide와 bisbenzimide를 이용한 differential staining 방법으로 염색하여 평균 세포수, 내세포괴(ICM) 세포수, 영양배엽(TE) 세포수, 총 세포수에 대한 ICM의 비율 (%ICM) 및 ICM:TE 비율을 조사하였다. 결과에 대한 유의성 검정은 $X^2$ test와 t-test를 이용하였으며, p<0.05일 때 통계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하였다. 결 과: Group I과 II에서, 총 배반포 ($62.3{\pm}20.7%$ vs. $63.8{\pm}22.9%$), ZiB ($31.9{\pm}24.0%$ vs. $30.4{\pm}18.2%$)와 ZeB 형성율 ($30.4{\pm}20.8%$ vs. $33.3{\pm}22.3%$)은 차이가 없었다. 87개의 배반포 배를 염색 시도하였는데, 명확하게 differential staining된 41개의 배반포 배만을 대상으로 세포수를 조사하였다. 평균 세포수 ($61.6{\pm}19.5$ vs. $63.7{\pm}26.8$), ICM 세포수 ($13.0{\pm}10.6$ vs. $12.8{\pm}10.5$), TE 세포수 ($49.0{\pm}19.0$ vs. $47.8{\pm}18.7$), %ICM ($21.0{\pm}12.6%$ vs. $21.1{\pm}13.2%$) 및 ICM:TE 비율 (1:$3.77{\pm}4.9$ vs. 1:$3.72{\pm}4.8$)에서도 group I과 II에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마우스에서 배 발생 능력의 척도로 쓰이는 배반포 배 형성율 배반포 배의 등급 세포수 및 %ICM 등이 20% 난포액을 첨가한 MEM 배양액의 용량에 따라 영향을 받지 않았다.